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01/12 20:53:30
Name 티티
Subject 예비고2 수학공부를 하고 있는데요.
지금 일단 기본정석을 미리 보는 중입니다.
문과라서 많은 선수학습은 필요없다고 들었습니다.

1. 수1 정석을 1학기 진도까지만 보고 계속 복습
2. 수1 정석을 일단 한 번 다 보고 1학기 내용 복습
3. 기타 다른 방안.

어떤 방법이 가장 괜찮을까요?


그리고 쎈까지 병행하면 너무 진도가 느려지는 것 같아서, 쎈을 정석하고 같이 병행할까 아니면 정석만 나가면서 진도를 좀 더 빨리 빼야할까 고민하고 있습니다.

뭐 쎈 말고 좋은 문제집 있으면 추천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정리하면


1. 겨울방학 때 문과 예비 고2의 수학 선수학습 범위, 방법
2. 문제지와 정석 병행 여부
3. 기타 좋은 문제집


많은 답변 바라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하이맛살
08/01/12 20:59
수정 아이콘
수학 공부는 개인적인생각으로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기때문에(잘하고 못하고가 아니라 공부하는 방법이 사람마다 다르다는뜻...)
저같은경우는 2번이 좋다고 보긴하는데.....개념,정의,공식유도 과정 같은건 확실히 알고 넘어갔죠...공식유도를 자신이 할수 있을정도로..

문제집 추천은
아이윈, 비콘 <- 뭐 별로 알려지진 않았지만 아이윈은 수1을 비콘은 미적을 학교에서 보충교재로 썼는데 문제가 많지도 않고 그렇다고 적지도 않고 수능+학평문제들도 은근히 다 나와있고 그냥 혼자 풀기가 편하더군요......(둘중에 택하라면 비콘이 좀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호랑이잡자
08/01/12 21:17
수정 아이콘
전 1번추천이요,, 공부는 얼마나 많이하냐보다,, 얼마나 많이 기억하냐가 중요한 것 같구요.. 진도빼기에 급급한공부는
다 까먹습니다.. 적어도 전 그랫습니다.. 머리가 나빠서..
예비 고2시라는데,, 더군다나 문과는 진도 그렇게 빨리 안빼셔도 충분할 것 같은데요.. 주위 친구들이
난 이번 겨울방학때 뭐 수1을 다뗏다,, 이런거 전~혀 신경 안쓰셔도 됩니다. 정말입니다.. 또 문제집 몇권풀었다
이런거 전~~~~~~~혀 신경 안쓰셔도 되구요 100% 무시하세요. 믿어주세요...
예비 고2시라면 겨울방학때 1학기부분의 정석책을 마르고 닳도록 보셔도 무방하구요,,개념꼼꼼히,틀린것들 확실하게..
예제, 유제 몇번이고 반복해서 푸셔서 비슷한 유형을 몸이 기억하도록,, 2학기 진도는 1학기중에 틈틈히 나가도 충분합니다
이렇게 반복해서 본것들이 오래 기억에도 남는답니다. 문과는 정말로 진도 빼는것,, 정말 중요치 않습니다.
님이 굳이 다른 책을 보시고 싶으시다면,, 수1을 정석과 병행하는것보단 ,, 전 10-가,나를 얇게 정리하는걸 더 추천하구요.
고3때는 수능, 평가원 기출 보고 여러 문제집들 접해야하겠지만,, 님은 예비 고2자나요.. 예비 고2때는 모든 욕심 다버리고
정석,, 정석을 통째로 머리에 집어넣는다는 맘으로 해보세요..
이렇게 해서 올해 6,9 평가원과 수능 모두 수리 100점맞았습니다..
08/01/13 01:40
수정 아이콘
수학은 왜 이런 공식이 생겨났는가 이해하면 70%는 먹고 들어갑니다. 그다음부터는 응용문제에 대한 응용력이죠.
전 하루에 한시간만 이런식으로 공부했더니 수능에서는 수학 만점이 나오더군요.
응용력은 많이 풀어보면 늘고요. 여러가지공식들이 왜 이런 공식이 나왔나 풀어보거나 역순으로 만들어서 해본다거나 그러는게 도움이 제일 되는것 같습니다.
수학은 잘해두면 도움이 됩니다. 주식이나 제태크, 도박이나 토토승률 분석 등등..
후루꾸
08/01/15 04:26
수정 아이콘
빨리 볼 자신이 있다면 2번.
일반적으로는 1번 입니다. 여름방학이 있으니까요.
그리고 굳이 정석에 얽매일 필요는 없고 그냥 자기가 보기 편하고
난이도도 자기에게 맞다고 생각되는 문제집을 고르면 됩니다. 쎈은 문제가 좀 많고 특히 C형 같은 경우는 혼자 보기 힘들텐데요.
굳이 쎈같은 스타일을 원한다면 쎈을 보고 두산에서 따라만든 수류탄도 괜찮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2888 최근 영화 질문... [2] 휘루루1705 08/01/12 1705
32887 영화로 영어공부를 하려고하는데요. [5] non-frics2112 08/01/12 2112
32886 예비고2 수학공부를 하고 있는데요. [4] 티티1571 08/01/12 1571
32885 저그대저그 빌드상성좀 가르쳐주세요 [4] Xavi2136 08/01/12 2136
32884 그래픽 카드 비교.. [4] 휘루루1598 08/01/12 1598
32882 영화 철콘근크리트 화보집 구할수 있는데 없을까요? [2] 종종종그그미2112 08/01/12 2112
32881 ome에 관하여. [14] JPstyle2133 08/01/12 2133
32880 이번 이명박 대통령 취임식 때.. [4] 바카스2680 08/01/12 2680
32879 프로리그를 비롯한 모든 스포츠의 리그일정에 관한 질문. [1] 히든고수1933 08/01/12 1933
32878 "~하다는" 이 말투. 유행인겁니까? [29] 밀가리2958 08/01/12 2958
32877 fm2008 질문 한번 더 합니다. [2] worcs2561 08/01/12 2561
32876 상품권 10만원으로 살만한 것이 뭘까요? [8] 제3의타이밍2237 08/01/12 2237
32875 편입관련해서 질문 드릴께요. 꼭 답 부탁드립니다. [2] 의정부프레임2128 08/01/12 2128
32874 요즘 '의룡'이라는 드라마를 보다가 드는 의문점 몇가지.. 수술할때 말입니다 [7] 지포스22610 08/01/12 2610
32873 2006년 글은 못보는 건가요?? [2] 길시언 파스크1932 08/01/12 1932
32872 게임 이름좀 알고싶어요 [1] 루트1891 08/01/12 1891
32871 이런 영화 좀 추천해주세요.. [10] 웨인루구니2376 08/01/11 2376
32870 무방비도시 보신분께(스포일러 있어요!) [4] 대장균3007 08/01/11 3007
32869 컴퓨터 사운드에 대한 질문있어요~ 제나로가축소2069 08/01/11 2069
32868 mbcgame 이사어디로? [3] LOPTIMIST1961 08/01/11 1961
32867 지갑 좀 추천해주세요 [4] worcs2168 08/01/11 2168
32866 슬림본체 → 보통본체 옮기는것 질문~ [2] CheerfuL2116 08/01/11 2116
32865 17, 19인치 CRT모니터 구할 방법 없을까요? [7] 나늬1916 08/01/11 19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