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1/15 19:30
http://www.krx.co.kr/index.html
대학에서의 과제, 하다못해 1 page 짜리 레포트라 할지라도 네이버 검색으로 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08/01/15 21:08
경제학 원론에 선물은 절대 없는데..
시간과 조건을 기준으로 보면..현물......선도......선물...이정도로 보면 될겁니다. 선물 개념잡을때 가장 많이 나오는 배추가 현재 얼마고 얼마에 계약을 하고..이런건 직접 찾아보면서 공부해 보시는게..좋을듯합니다.
08/01/16 06:33
선물은 파생금융상품의 하나입니다.
파생금융상품이란 주식이나 채권같은 금융상품을 기초자산으로 해서 만들어진 금융상품이고요. 파생금융상품에는 대표적으로 선물과 옵션이 있는데 이들은 주식, 채권등의 '가격움직임' 자체를 상품화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선물의 개념을 정확히 알기 위해선 현물거래와 선도거래, 선물거래의 차이점을 알아야 하는데요. 우선 현물거래는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직접적인 거래방식을 말합니다. 거래시에 물건과 대금을 맞교환하는거죠. 선도거래는 일종의 선계약 후교환 방식입니다. 현재시점에 계약을 해놓고 미래의 특정시점에 약속된 현물과 현금을 맞교환하는거죠. 선물거래는 선도거래를 체계화시킨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선도거래는 1:1로 당사자들간의 합의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위험성도 높고 형식도 제각각이라서, 거래형식이나 계약내용, 결제형식 등을 표준화하여 다수가 안전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 바로 선물거래입니다. 선물의 종류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KOSPI 200 주가지수선물이 있죠. 선물거래의 핵심은 최종결제일(현금을 지불하는 시점)에 해당 선물의 가격이 오를 것이라 생각하면 매수를, 떨어질 것이라 생각하면 매도를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선도거래는 장외시장에서 이루어지지만 선물거래는 선물거래소에서 이루어지고요, 1:1 거래인 선도거래와는 달리 선물거래는 당사자 사이에 청산기관이 존재합니다. 선물거래에서 거래 상대가 누구인지는 별 의미가 없다는거죠. 선도거래의 불안정성(1:1 거래에 체계화된 규약이 없으니 위험성이 높은건 당연하겠죠?)은 선물거래에서 증거금제도로 극복이 되는데.. 증거금제도란 계약불이행이 최소화되도록 선물거래소에 일정액의 매매증거금을 위탁해 놓는 것을 말합니다. 이 매매증거금은 일일정산제에 의해 매일 변동되며, 선물거래를 하고자 하는 사람은 이 증거금을 초기에 납입한 개시증거금의 일정 수준(유지증거금이라 하며 개시증거금의 75% 정도)으로 항상 유지시켜줘야 하고, 유지를 위해 납부하는 증거금은 변동증거금이라 합니다. 마진 콜이라는 제도가 이 변동증거금 납부와 관련된거죠. 참고로 한국의 선물거래 시장은 세계 최대규모라고 알고 있습니다. 파생금융상품 시장 자체가 단기간에 엄청나게 성장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