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01/22 10:53:57
Name 장군보살
Subject 논리와 지성에 대해 빠삭하신분 좀 봐주십시요
저는 취미가 인터넷 서핑밖에 없는 처지라서

이것을 주로 합니다. 거의 대부분 인터넷 커뮤니티를 통해서 다른사람들의 논쟁과 토론을 즐겨서 방관하는 입장인데요.


그런데 그들중 가장 최강자는 논리로 무장한 집단이 아니라는겁니다.  예를 들어볼께요

인터넷 뉴스보면 사형제 폐지에 대해 찬/반 토론이 많이 오고 갑니다.  그런데 항상 그기에는 이런 부류들이 이런 주장을 하며

등장합니다.

A: 전 사형제를 반대합니다. 인권을 유린하는 법제도입니다. 인간이 인간을 심판하다니 그럴 자격이 없어요.

B: 야이 XXX AX아. 그럼 니 누나 니엄마가 강간당해서 살해당했다고 생각해봐라 ㅋㅋ 그래도 사형 반대할거냐? 그 범인이 실실웃으면서 죄도 안늬우치는데?

--------그리고 보통 이 경우에는 A라는 분이 아무말없이 사라짐-----------------------------

항상 이런 논쟁의 최종 승리자로 보여지는 (아마도 최후까지 남아서 아무런 반발도 못하게끔 만들어버리는) 부류들은

B형태의 사람입니다. 최강의 논리로 무장하고있습니다. 항상 가족을 들먹이며

"니 가족이 살해당했는데도 넌 범인 인권 옹호하며 사형반대할거냐?"


뭐 말이 필요없는 최강의 논리죠. 그런데 전 이런거 볼때마다 이건 아니지싶습니다.


정말 극단적으로 개연성이 떨어지는것까지 끌어들여서 무작정 이기려고만 하는 것 같습니다. 왜 사형제가 있어야하는지 그기에대해서

논리적으로 설명을 해주면 반대측도 이해할텐데. 그게 아니고 그냥 단순무식하게 무작정 B와 같은 주장만 합니다.


지하철에 여성칸을 따로 만들어준다는 네이버기사에도 저런 부류들이 있습니다

A:전 이러이러한 이유로 여성칸만 따로 만들자는 것에 반대합니다. 이것 역시 남녀 차별입니다.

B: 야이 XXX한 A야. 그럼 니누나 니엄마. 나중에 결혼할 니 마누라가 지하철에서 강간당하고 성추행당해도 그런말 할거냐?


.........

어찌보면 B의 주장은 감성에 호소하고있고. 그들의 주장이 맞는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왜 그런 주장밖에 못 펼치는걸까요?

쓰잘데기없이 3자까지 끌여들여서 인간의 마음을 자극하면서 감성적으로만 자신의 주장을 펼치고있습니다.



보통 이 부류가 항상 인터넷 논쟁의 최종 승리자가 되던데요..


논쟁이나 토론의 고수분들은 이런 부류의 인간들을 어떻게 상대하십니까? 그냥 무시하는것인가요?

분명한건 논쟁게시판에서 무작정 무시는 답이 아니며

그들로 하여금 논리에 반박당해 꼬리를 내리고 도망쳤다는 인상만 심어줄것같습니다. 정말 명쾌하게 이런 감정적인 주장에

제대로 논리로 맞설수있는 분들이 PGR에는 있지않을까싶어서요.

이런 부류의 인간들을 어떻게 상대하십니까?  저도 오늘 보다 보다 댓글 좀 달았습니다.

왜 자꾸 그런 공격적인 어조로 감성적으로만 논쟁하냐고. 왜 항상 가족을 끌어들이냐고. 그런 극단적인 예가 아니면

논리를 펼치지못하냐고 하니까 저에게도 뭐 마찬가지로 (전 사형제 반대의견자도 아닌데요.) 니 가족이나 부모가 살해당했다고 생각해봐라 ㅋㅋ 뭐 이런식으로만 나오는군요.

도대체 이런인간들을 어떻게 납득시킬수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새벽의사수
08/01/22 10:58
수정 아이콘
제가 2000년부터 지금까지 인터넷을 하고 커뮤니티 활동을 하면서 확실히 알게 된 딱 하나의 진리는,
"인터넷에서 논리를 통해 남을 설득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는 겁니다.
비꼬는 게 아니라, 진심으로 말씀드립니다.
괜히 신경쓰면서 괴로워하지 마시고 포기하시는 게 가장 편할 거예요. =_=;
08/01/22 11:27
수정 아이콘
그냥 무시하세요 -_-
전 사형 찬성이기 때문에 사형 문제에 대해서는 별로 할 말이 없지만
여성칸 관련한 저 논리는 허점이 너무 많이 보이는데요... 반박할 여지가 많습니다~

그리고 `납득`이라는 건 쉽지 않습니다. 저런 논리로만 접근하려고 하는 사람들에게는 더더욱 쉽지 않구요.
장군보살
08/01/22 11:45
수정 아이콘
인터넷에서 남을 납득하는것이 불가능하다는건 알아요.

하지만 단순히 댓글란을 벗어나서 인터넷 커뮤니티 토론장과 논쟁란에서까지 저런 논리로 단순무식하게 들이대는사람이 있습니다.

저것이 논쟁인지, 토론인지 궁금합니다. 그런데 저같은 경우는 아직 눈팅을 해봐도 저 논리에 제대로 반박을하시는분을 못봤습니다.

물론 제가 못본것일수도있구요. 저런 사람이 최후에 남아 논쟁의 승리자가 된다면 저 역시 인터넷 논쟁이나 토론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하고 그냥 보지않기로했습니다.
IntiFadA
08/01/22 11:56
수정 아이콘
위의 세 개의 댓글을 본다면, 저들도 최후의 승리자는 아닌 것 같네요..^^
명왕성
08/01/22 11:57
수정 아이콘
인터넷을 통한 토론은 한계가 있습니다.

토론의 목적을 상대방을 설득시키는 것이라 생각하신다면... 네 무의미 합니다. 상대방은 논리에서 밀린다 싶으면 익스플로어를 꺼버리고 딴 짓을 해버리면 그만입니다.

하지만 토론의 목적을 해당 문제에 대한 지식을 넓히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것이라 여긴다면, 인터넷 토론도 나름 의미를 찾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임요환의 DVD
08/01/22 12:06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임요환의 DVD입니다.
저도 예전에(고등학교 때까지)는 장군보살 님처럼 생각했지만 생각이 바뀐 경험이 있습니다.
남을 설득할 때 논리에 집착하는 것은 결국 두마리 토끼를 다 잃는 결과만을 낳습니다.
설득은 커녕 상대방 화만 부추기고 결국 논리도 실패합니다.
왜냐하면 사람은 절대로 세상일을 다 알 수 없기에 어떤 경우에도 완전한 논리는 없고 모든 논리는 사람이 만들었으므로 불완전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모든 세상 일은 많은 사람들의 개인 사정과 수만가지의 원인이 맞물려서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간편한 논리로 세상일을 풀어보겠다는 생각 자체가 비현실적이고 비논리적입니다.

한 사람이 버스 정류장에 있습니다. 세 대의 버스가 서지 않고 지나갔습니다.
'버스가 버스 정류장에 서지 않는 것은 명백히 불법이다'는 논리로 피해보상 소송을 걸었습니다. 쉽게 이길 수 있을까요? 어렵습니다.
버스가 버스 정류장에 서지 않은 것은 누구의 책임일까요? 기사가 서기 싫어서 안 섰을까요? 왜 기사는 서기 싫었을까요?
버스 기사가 자기 코스를 돌고 남은 시간은 쉰다고 할 때, 쉬는 시간을 늘리기 위해서는 코스를 빨리 돌아야 하겠죠?
근데 그 정해진 쉬는 시간이 애초에 코스를 아주 빨리 돌지 않으면 빠듯하게끔 설계되어 있다면 어떨까요?
누가 버스 기사를 급하게 만들었나요? 그러면 버스 회사 책임인가요? 버스 회사는 할 말이 없을까요? 있죠... 끝이 없는 핑계 속에 결국 누구 책임인가요? 알기 어렵습니다.

학생때 논리와 법이 주는 단순하고 명쾌한 맛이 좋아서 '법은 최소한이다'라는 말을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이해하려고 노력중입니다. 사람이 더불어 사는 질서는 현실이므로, 법과 논리보다 훨씬 복잡하고 우선하기 때문입니다.
차가 무단횡단 하는 사람을 치면 무죄인가요? 빨간 불인데 횡단보도를 건너면 무조건 벌을 받나요? 그렇지 않다는 사실이 그 증거입니다.

따라서 '만약 당신의 가족이 ~라면 어떨까?' 이런 극단적인 의견은 논리적으로 매우 타당할 수 있습니다.
사람이라면 누구나 '남의 문제'와 '나와 내 가족 문제'를 다르게 보는 것이 인지상정이기 때문입니다.
진정 논리가 뛰어난 사람일 수록 자기가 아는 것이 항상 불완전함을 알기에 그것을 너무 믿지 않고 '더불어 사는 사회' 속에서 '인간 본성'을 이해하려고 노력합니다. 이게 끝이 없는 길이죠.

사람들은 우수하고 앞선 논리를 뒤따라오는 게 아니라 그냥 많은 사람들이 그렇다고 생각하는 방향으로 갑니다.
따라서 때때로 더 우월한 논리를 찾아서 사람을 납득시키려는 시도는 오히려 헛되고 비논리적일 수 있습니다.
와후-만세
08/01/22 12:39
수정 아이콘
여기서 질문하는 내용은
왜 개연성 없는 내용을 끌고 오는거냐 이겁니다.
만약 당신의 가족이 ~라면 어떨까?를 생각하게 하는 것도 훌륭합니다만 저 위에서 예를 든 여성칸 대화와 같이 성폭력 당하는 것이 깊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지 않으면 소용 없습니다.
인터넷 댓글창이나 토론장 같은 곳 가보면 위 글에서 여성칸 문제에 들어진 예보다 더욱 심각하죠.

그리고 이 글과는 다른 이야기라서 죄송하지만 사람이 만들었다고 무조건 불완전하다고 하는 것은 아닌 것 같아요 ~_~
장군보살
08/01/22 12:47
수정 아이콘
댓글들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많은것들을 배우고갑니다.


논리로 상대방을 완전히 납득시키는것은 불가능하며,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고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방향으로 저도 따라가야겠습니다.


전 우월성을 내세우고싶었던건 아니지만, 어떻게하면 '만약 당신의 가족이 ~라면 어떨까?'식의 언급에 어떻게 대답할지 고민했었습니다.

사형제 찬성자이긴한데. 전 '만약 당신의 가족이 ~라면 어떨까?'식의 논리를 내세운적이 한번도 없었답니다. 그게 예의가없고 논점을

흐린다는것을 알고있었어요. 전 단순하게 사형제도를 유지해서 죄의 무거움을 계속 각인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어요. 그리고 그분은

인간이 법을 내세워서 인간을 살인하는것도 이치에 맞지않다며. 사람이 사람을 심판하는것은 옳지않다고 했고 저 역시 그 의견에

동조를 했습니다. 하지만 다른분이 끼어든것이지요. 만약에 니가족이 살해당하고도 그렇게 고상한 논리를 펼칠래~ 이러면서..

당연히 게시판은 그야말로 냉담하게 변했지요. 치열하게 오고가던 토론도 갑자기 끊어져버리고

다른사람들의 생각도 궁금했고 뭔가 의미를 찾아가며 사회여론도 궁금해서 토론게시판에 참여를 했던것인데 그런식으로 등장하는 부류

들이 전 예의가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저 역시도 그런 주장에 제대로 된 답을 하기가 망설여지는 입장이고. 바로 부정할수도

긍정할수도 없는 자극적인 질문이라고 느꼈거든요. 만약에 내 가족이 그런일을 당하게 되면 난 과연 이성을 찾을수있을것인가.


하지만 이제는 그들을 이해하고. 그들의 생각과 주장도 결코 틀린것만이 아니며, 많은 사람들이 그렇다고 생각하는 방향이라는 면에서

그들의 주장도 가치가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물론 최대한 예의를 갖추어서 " ~~님의 가족분을 누군가가 무참하게 살해하였는데도 그의 사형을 반대하실수 있습니까?"라고

물으신다면 괜찮습니다.

하지만 다짜고짜 " ~~ 가족이 강간당하고 살해당해도 그넘 용서해줄래? 앙?" 이런식으로 예의없이 들이댄다면 무시해야겠지요.


게다가 저도 사형 찬성자인 입장이라서;; 하지만 제 가족문제까지 결부시켜본적은 없구요. 그냥 단순히 죄의 무거움을 각인시키려면

법정최고형인 사형제도가 있어야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08/01/22 12:54
수정 아이콘
설득은 단지 이성적인 결론을 주입 하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 합니다.

제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1) 서로를 인지하는 단계
2) 서로의 의견을 이해하는 단계
3) 서로를 의견을 인정하는 단계
4) 서로의 의견을 조율 하는 단계
5) 서로가 서로에게 설득 당하는 단계

정도로 나눌 수 있다고 생각 합니다.

즉 누가 누군가를 설득 할 수 없다는 것이지요. 자신이 설득 하면서도... 결국은 자신도 설득 당하고 있다는 의미 입니다.

저 모든 단계를 뛰어넘어 자신의 생각을 남에게 주입하는 것은 설득이 아니라, 최면 혹은 쇄뇌라고 생각 합니다.

따라서, 인터넷에서는 그리 깊은 설득이 이루어 지기 힘들다 입니다....
08/01/22 14:02
수정 아이콘
논리 자체가 '이성'을 의미하는데,
니네 누나/엄마/마누라가 들어간다는거 자체가 '감정'이 드러가니까 일단 논리가 되지 않는거죠.

그리고 인터넷에서는 상대방 토론에는 의미가 없습니다.
항상 순환논증이거든요. 'A하기때문에 A해야한다.'
다만, 나와 반대되는 분들의 논리가 무엇인지 보고, 그 논리에 대해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저는 토론을 즐겨합니다.
다만, '논쟁'은 그만두고 싶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3219 3:3팀플 고수님께 물어봅니다.. [2] 이의경1850 08/01/22 1850
33218 카툰 뷰어 어디로갔죠? [1] 펠레1542 08/01/22 1542
33217 RPG게임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언데드네버다1325 08/01/22 1325
33216 블루스톰 테저전에 대해서요.. [3] Xavi1734 08/01/22 1734
33215 파이썬에서 저그전때문에 질문드립니다 꼭 답변좀 해주세요 !! [4] 이상범1572 08/01/22 1572
33214 한성대 야간 말입니다. [3] worcs8214 08/01/22 8214
33212 음악교육과 편입에 대한 질문 드립니다. [1] 모모리2229 08/01/22 2229
33211 아이튠즈 사용하시는 분들께 질문 드립니다. [9] 신예ⓣerran1661 08/01/22 1661
33210 횡단보도 신호등에서 사고 유발시 책임은? [2] 소나비가1578 08/01/22 1578
33209 컴퓨터 모니터를 사려고 합니다. 도와주세요ㅠㅠ [4] 탱구야♥1482 08/01/22 1482
33208 프로리그 결승 장소에 대한 문의 [4] HalfDead1520 08/01/22 1520
33207 [TvZ] 투스타 레이스 후 SK테란체제 [8] ArtOfakirA1937 08/01/22 1937
33206 그래픽 카드가 인식이 안 됩니다; [3] Left Alone1673 08/01/22 1673
33205 아 학교때문에 고민입니다. [8] 낚시꾼1877 08/01/22 1877
33204 신소재공학부와 고분자시스템공학부 에 대하여.. [2] SwEeTy1986 08/01/22 1986
33203 이 동영상에 쓰인 노래 제목좀 가르쳐 주세요 [1] 워크초짜1536 08/01/22 1536
33201 육군훈련소에 관한 질문입니다. [7] 슈렉1917 08/01/22 1917
33200 유게에 올라왔다가 삭제된 웹툰뷰어 만화방 어떻게 되었나요? [2] 레종블랙1649 08/01/22 1649
33199 논리와 지성에 대해 빠삭하신분 좀 봐주십시요 [10] 장군보살1594 08/01/22 1594
33197 카풀 교통사고시에... [3] My name is J2152 08/01/22 2152
33196 프린터포트에 관해 질문 [1] 선비테란1488 08/01/22 1488
33195 계산 작업에 최적화된 컴퓨터 사양에 대해 [7] 사이몬PHD2473 08/01/22 2473
33194 피부가 나빠졌어요. [6] 오즈의맙소사2081 08/01/22 208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