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2/18 14:28
뭔가 착각하셨네요. 한나라당이건, 열린우리당이건, 민주당이건...
자신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당의 성격은 '중도 보수'라고 말합니다. 민노당도 사실상, 진짜 진보세력이라 보기엔 좀 거리가 있는 것 같고... 우리나라에는 녹색당이나, 사회당 세력이 없다고 봐야죠. 당 자체는 있긴 하지만;;
08/02/18 16:31
진보의 최소한의 기준은 '경제적 영역에 대한 민주적 통제'입니다. 정당을 보면 한국에서 진보 정당은 민노당이 유일하며(그나마 색채가 분명하지 않음), 신문 중에서 진보 신문은 없습니다.(한겨레, 경향 모두 보수적인 신문입니다. 다른 보수 신문들과 구분하자면 '자유주의적'인 신문입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전형적인 보수주의자입니다. 노무현 대통령이 집권한 이후로 시행한 정책 중 '진보적'이라고 할만한 정책은 없다고 봐도 됩니다.
진보-선, 보수-악은 잘못된 도식입니다. 아예 영역이 다른 개념입니다. 진보-보수는 정치적인 개념이며, 선-악은 도덕적인 개념입니다.
08/02/18 17:24
우리나라는 6.25를 거치면서 소위 진보세력를 사회악으로 칭하는 경향이 강했습니다.
그런 경향이 우리나라는 이념적으로 편향되게 만들었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보를 추구하는 정당은 민노당밖에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애매모호하긴 하지만 과거 열린우리당은 중도진보, 한나라당 모두 중도 보수정당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건 아무래도 득표를 위한 전략적 선택이 강합니다. 극단적인 이념을 지향하면 득표에 불리하니 적당한 이념을 지향하는 것이죠. 그래서 이회창씨가 보수정당의 정체성을 강조하며 창당을 하게 된 것도 이런 맥락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정당은 이념적 정체성이 모호합니다. 추구하는 바와 정책을 딱잘라 구분하기 힘듭니다. 그나마 진보정당이었던 열린우리당도 어떤 정책은 한나라당보다 더 보수적이고, 어떤 정책은 진보적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진보, 보수과 확실히 구분될 수 있는 것은 대북정책밖에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나머진 모두 혼재되어 있습니다. 이게 우리나라 정당의 문제점 중 하나죠.
08/02/18 20:08
제가 알기로 보수는 현 체제의 유지, 진보는 현 체제의 개혁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같은 보수라도 우리나라의 보수와 북한의 보수는 다른 성향을 갖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사회주의자는 진보이기에 과거에 진보가 안좋은 의미로 쓰였죠. 뭐... 지금도 안좋게 쓰시는 분들이 있긴 합니다만...
08/02/18 22:27
진리탐구자님// 님 진보와 보수는 정치적인 개념만은 아니죠~ 예를 들어 저는 사회문화적으로는 보수적이지만 정치경제적으로는 진보적인 생각을 가진 사람입니다~ 그리고 한겨레와 경향이 보수신문이라는 근거가 무엇인지요? 또 자유주의적인 신문이란 권력에 유착하거나 사실관계를 왜곡하지 않는 자기 소리를 내는 신문을 말하나요? 그리고 노무현 정부가 진보적인 정책을 하나도 시행하지 않았다는 의견은 동의할 수 없네요~ 현 정부의 정책을 북유럽의 좌파정권과 비교하여 내리신 결론인가요? 아니면 진리탐구자님의 정치적 성향이 좌파적이라 그런 건가요? 역대 정권 중에 현 정권 만큼 진보적인 정책을 많이 시행한 정부도 없다고 생각하는데요... 진보적인 생각을 가지신 분 같은데 저와는 생각이 다르기도 하고 신문에 관련한 생각들은 제가 잘 몰라서 한 번 묻고 싶네요.
08/02/18 23:12
진보라는 개념은 정의하는 사람과 시대 장소에 따라 다르죠~(여기서 진보란 정치경제적 의미의 진보입니다) 예를 들어 독일에서의 진보와 일본에서의 진보가 다르고 일제시대의 정부와 현재 우리나라의 진보가 다르죠~ 또 우리나라 유일의 진보정당이라는 민주노동당 내에서도 진보에 대한 생각이 다르죠~ 그래서 평등파니 자주파니 이념 문제로 분당위기를 겪고 있는 거구요~ 이명박당선인도 자신의 정책이 중도진보적이라고 한 일이 있구요~(이건 좀 웃기죠) 얼마 전에는 유시민 전 장관이 새로운 유연한 진보정당을 만든다며 탈당 하기도 했구요~ 너도 나도 진보를 외쳐대니 뭐가 진짜 진보인지는 잘 모르겠어요~ 결론적으로 진보의 개념은 지극히 상대적이라는 거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