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02/19 00:51:59
Name 잘가라장동건
Subject 후삼국시대 역사중 후백제에 관해서 질문 드려요...
견훤의 넷째아들이자 신검형제의 이복동생인 금강태자가 내분에 의해서

죽었다고 들었습니다... 제가 잠시 그 의견가지고 부모님이랑 이야기를 했더니

부모님이 하시는 말씀이... 이건 엄밀히 말해서 견훤이 잘못한거다 라고 하더군요...

왜 첫째한테 황제자리를 안물려주고 막내한테 물려주냐면서... 막내아들만 편애한걸 탓하시더군요;;

신검태자가 반란을 일으킬만 했다라고 말하면서요...

꼭 황제자리를 물려줄때 아무리 막내가 전쟁에서 나가면 이겨서 자기 아버지한테 좋게 평가 받아도...

첫째 아들이 물려받는것이 당연한겁니까?? (반란 일으킨 놈들이 말 하나는 잘하더군요... 순리를 어기는건 곧 죽음이다;;

웃기는 소리 하지 말라고 하세요... 서열만이 꼭 정답은 아닙니다-_- 꼭 서열순으로 줘야한다는 명문규정이 없잖습니까...)

제가 견훤이라면 서열은 둘째문제로 놓고 철저하게 능력에 따라 후계자를 뒀을겁니다... (욕 먹어도 그렇게 합니다)

그리고... 드라마를 보니까 막내아들이 엄밀히 따지면 형의 자리를 훔쳤다고 말하는데... 자기들이 잘했으면

그 자리를 지키는건 당연한거 아닙니까?? 막내 이복동생이 훔친 자리를 힘으로 찾겠다는 명분도 그저 웃기는 소리고...

후백제의 황제 견훤의 막내아들 금강이가 죽은것은 누구 책임이 더 큰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2/19 01:09
수정 아이콘
웃기는 소리가 아니죠. 첫째에게 큰 문제가 없는한(반란이라도 일으키면 모를까..) 첫째한테 왕을 물려주는게
당연한 사회였습니다. 그시대상을 그 시대 시각으로 바라봐야지 지금 현대시각으로 바라보면 말이 안되는게 한두가지인가요.
역사 통틀어서 첫째가 아닌 다른사람한테 왕위를 물려주면 크던작던 굴곡이 있었던것만 봐도 알수있는거죠.
대부분 사극 드라마의 주제가 왕위 서열다툼인데 세자를 일찍 안정한 경우나 첫째가 힘이 없어서 다른
아들들이 자리를 노리는 경우가 많죠. 이런걸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첫째를 왕위로 세우는게 당연한 사회였죠.
와이숑
08/02/19 01:32
수정 아이콘
삼국지에서만 보셔도 잘알겠지만, 조조가 은근히 조식을 후계자로 삼고싶어하자 가후가 펄쩍뛰며 원소와 유표의 예를 잊었느냐며 당연히 조비를 책봉해야한다고 주장하죠.
밀가리
08/02/19 02:13
수정 아이콘
삼국지 읽어보심 알죠. 세종대왕같이 형들이 양보하지 않는 이상 (그것도 첫째형은 미친척하고 둘째형은 절에 갔으니 뒷탈도 없고..) 맏이가 물려받아야죠. 그래야 왕가의 정통성이 사는데..
덴나우
08/02/19 03:22
수정 아이콘
그때 당시에는 서열이 곧 순리였죠.. 왕, 양반, 상놈 계급사회에서는 그것이 좋은방법인 것이고, 현대 자유경쟁사회에선 경쟁에서 이기는 자가 우선되야하는거구요
Rosencrantz
08/02/19 03:59
수정 아이콘
만약 장남이 아닌 다른자가 왕이 되도 이상하지 않다면 왕자들간의 세력다툼만 일어나게 되죠...
포셀라나
08/02/19 08:03
수정 아이콘
그 시대의 논리와 지금의 논리는 차이가 있는 것이죠.
기사도
08/02/19 08:06
수정 아이콘
현대적인 개념으로는 능력으로 뽑는 것이 최고의 선택이겠지만
당시의 개념으로는 그것이 아니겠지요.
실제로도 장남 이외에게 왕위를 물려주다가 나라 말아먹는 수많은 사례가 나왔었죠.
단, 예외로 세종대왕의 일처럼 형들이 정말 현명하고 개념이 충만하다면 이런 멋진 일도 있을 수는 있겠지요.
큰 문제가 없다면 장남에게 물려주는 큰 이유 중 하나가
당시에는 명분이 정말 중요해서 (유교적 사상으로...)
다수를 쉽게 설득할만한 명분이 없다면 그 누구라도 쉽게 반역에 성공하기 어려웠습니다.
그러므로 세습상 장남에게 물려준다면 동생들을 이길 힘이 비록 부족할지라도
대부분의 민심과 신하들의 도움으로 왠만하면 버텨낼 수 있습니다.
물론 동생들도 쉽게 형을 공격하기 어려워지죠.
하지만 둘째 이하에게 물려주게 된다면
장남은 동생을 공격할 명분이 생기고 (지금은 말이 안되지만 당시의 분위기상...)
상황은 폭풍속으로....
FC Barcelona
08/02/19 12:18
수정 아이콘
지금도 어지간하면 맏아들한테 물려주는 세상인데 그 당시에는 더 했겠죠
게다가 금강태자는 적자도 아니였고 후궁의 자식이였는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4112 그래픽 드라이버 업데이트할떄 [2] 가을의전설1920 08/02/19 1920
34111 테테전에서 노바락더블이 성공 후의 운영 [2] 공유1559 08/02/19 1559
34109 베컴방한경기 (3/1 vsFC서울) 티켓 구할수있을까요? [1] 크라잉넛1546 08/02/19 1546
34108 웨파컵에 대한 질문입니다. [2] 리틀세브첸코1367 08/02/19 1367
34107 xpeed사용중인데 지역을 옮기고 싶습니다..위약금에 대해.. [6] 몽정가1727 08/02/19 1727
34106 복합기 usb케이블를 분실했습니다.(쬐금 급해요!;) [3] 도시의미학1920 08/02/19 1920
34105 펀드에 가입할려고하는데요.. [4] SeraphH1677 08/02/19 1677
34104 요즘 소위 대세라는것에는 어떤것이 있을까요? [8] 착한밥팅z1942 08/02/19 1942
34103 박태민 선수 존 크레이머(직쏘) 닮지 않았나요? [3] 첼로4829 08/02/19 4829
34100 광명사거리역 근처 PC방 추천 바랍니다. [1] 엑스칼리버3377 08/02/19 3377
34099 로지텍 미니옵 - 축구공 [5] 항즐이3739 08/02/19 3739
34098 컴퓨터 견적 궁금합니다^^ [10] Zergman[yG]1610 08/02/19 1610
34097 후삼국시대 역사중 후백제에 관해서 질문 드려요... [8] 잘가라장동건2152 08/02/19 2152
34095 부산에서 스키장 가려고 하는데요.. [5] 참소주2165 08/02/18 2165
34094 인수위가 원래 하는일이 뭐죠? [4] Bikini2171 08/02/18 2171
34092 ROTC가 뭔가요?? [9] culture2686 08/02/18 2686
34091 cpu온도 어디서 보나요 [2] 가을의전설1905 08/02/18 1905
34090 소개팅 이후......에대해서좀알려주세요 [2] ..ㄹㄹ..2288 08/02/18 2288
34089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뭔가요? [2] 박인성1952 08/02/18 1952
34088 예비고3 언어 문제집 관련 .. [5] Sun+_+1290 08/02/18 1290
34086 뭉개구름 악보를 구합니다. [2] 푸른화병2452 08/02/18 2452
34085 군입대에 관해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5] TheOthers1546 08/02/18 1546
34084 컴퓨터구입관련 이것저것 질문드려요~ [2] WAN'T YOU1583 08/02/18 158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