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03/28 12:15:42
Name 망고샴푸
Subject 못 배운 사람이 대체로 예의가 없나요?
질문이긴 하지만, 우선 편견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어리기도 하지만, 주위에 참 개념없는 애들이 많습니다.
기본 예의를 모르는거죠. 한 마디로 말하면.
이런 애들이 많으니까 문제이긴 한데, 제가 대학오면서 확연히 깨달았습니다.

100%는 아니어도 어느정도 학력과 예의는 비례한다는 것.
그게 가식이고 진심이고를 떠나서 겉으로 보이는거에서 차이가 나더군요.

이게 그냥 제 주변만의 일인가요? 아니면 원래 대체로 이런가요?

+)어렸을 때 가난하셔서 못 배운 어르신들은 지칭하는게 아니라,
제 또래(20대)에서 학력이 뒤처지는 쪽을 지칭한 것입니다. 오해 없으시길.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핫타이크
08/03/28 12:20
수정 아이콘
그.. 글쎄요.
배워도 예의없는 인간 많죠-_-;;;;;
그냥 가정교육의 문제라고 봅니다.
군대에서 느낀건데~ 고졸만해도 착하고 순한사람 많아요.;
타락토스
08/03/28 12:23
수정 아이콘
반대로 짚어가는게 옮을듯 ^^; 저도 못배운 쪽에 속하지만..
예의없는 사람중 못배운 사람이 배운사람보다 비율이 높을뿐, 꼭 못배웠다고 예의없는건 아니죠.

다른 예로...
범죄자중 편부모 가정에서 자란 사람의 비율이 높다고 해서 편부모 가정의 자녀를 다 예비범죄자라고 할수는...없겠죠?
08/03/28 12:23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엔 원래도 그렇진 않을거 같고, 망고 샴푸님 주변도 그렇지 않을것 같습니다.
사람이 사람을 평가한다는 것만큼 주관적이 없다고 생각하고요, 더욱이 나름의 인생이 있고 생각이 있는데
내 기준이라는 주관적인 잣대로 이리저리 재보는건 위험해보입니다.
설령 눈에 띄게 예의없는 사람이 있다해도 그것을 학력이라는 변수로 상관관계를 설명하는건 위험해보이네요.
차라리 예의를 가르친 사람 (선생님 혹은 부모님)과의 관계가 더 맞을것 같네요.
천사들의제국
08/03/28 12:29
수정 아이콘
'배움을 통해 깊게 사고할 수 있는 사람들이 타인을 더 잘 헤아리고 타인을 위한 행동을 더 잘 행한다' 라고 전 생각하는데요.
이 배움은 비단 학력이 아니라, 실생활의 경험과 지혜가 될 수도 있겠고 다양한 독서와 예술활동을 통한 영감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아요.

극단적으로 학력과 예의의 상관관계는, 저도 글쎄요. 고개가 갸우뚱 하네요.
XiooV.S2
08/03/28 12:30
수정 아이콘
배운사람이 대체적으로 예의라기보단 에티켓이 더 좋은거 같기도 합니다만...그 예의란게 행동이냐 말투냐에 따라 약간 다른듯 합니다.
행동이나 몸에 밴 그런거 같은경우는 가정교육인듯 하고..
말투나 그런건 대체적으로 많이 배운사람or 지식이 많은 사람들은(잘낙척 하는 사람들 말고..)
대체적으로 말투가 무게가 있다고 해야하나... 그런게 느껴지더군요.
뭐 ..빈깡통이 요란하다고... 없다고 단정지을순 없는듯 합니다.
08/03/28 12:35
수정 아이콘
가장 중요한건 유년시절 가정 교육이 중요하지 않나요??
*블랙홀*
08/03/28 12:36
수정 아이콘
상대적입니다.
가장 중요한건 집안교육입니다-_-
덴나우
08/03/28 12:44
수정 아이콘
배운사람이 예의있는 경우가 확률적으로 많죠...
많이 배우면 사람이 보다 이성적으로 행동하는경우가 많고 배우지못한 사람의 경우 감정에 치우쳐 행동할 확률이 높으니...
그리고 공부는 인내를 배우는것이라고 봅니다. 감정조절을 못하면 집중을 못하게 되니 공부를 할 수 없죠...
물론 배우지 못한 사람의 경우는 일을 통해 인내를 배웁니다. 인내를 배우면 스스로를 조절할 수 있어 사람이 생각하고 행동하게 됩니다.
물론 가정교육이 젤 첫번째인게 맞고요
지나가다...
08/03/28 13:16
수정 아이콘
학력과 예의가 비례한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상급 학교로 간다고 상급 예의를 배워 본 적이 없거든요.-_-

가장 중요한 것은 가정 교육이고 그 다음에는 그것을 지키려는 본인의 의지라고 봅니다.
08/03/28 13:22
수정 아이콘
비율적으로 봤을 때, 입문계학생 100명과 공고학생 100명이 있다고 치면 버릇없는 학생이 더 많은 쪽은 공고 쪽 학생들이죠.
제가 애들을 가르쳐봐도 입문계 진학반과 실업계 진학반의 수업태도는 하늘과 땅차이 입니다.(수학능력이 아닌 수업태도)
08/03/28 13:30
수정 아이콘
인문계 학생들은 공부에 관심? 이나 공부에 답을 찾는 학생들이고
실업계 학생들은 공부에 관심이 없는 친구들 아닌가요??
수업 태도도 선생님들깨 예의 이긴 하지만 관심 분야가 너무나도 다르기에..
실업계 학생들 체육시간이나 선배들한테 깍듯하게 대하는거 <- 이런거 쫌 억지 인가..
실업쪽 학생들도 공부에 관심이 없을뿐 다른쪽에서는 예의 있던데요
전 인문계 나왔습니다..66
연휘가람
08/03/28 13:31
수정 아이콘
저도 학력과 예의가 비례한다고 보지는 않습니다.
고학력이지만(소위 sky) 4가지 없는 사람들을 참 많이 봐왔거든요.
반대의 경우도 많이 봐왔구요.

그런데 이런 생각은 듭니다.
예의가 없는 사람이 안배우려 하는 경우는 많을 것 같은..
히로하루
08/03/28 13:31
수정 아이콘
학력이 아니라 가정교육이 문제이긴한데,
반대로 생각을 해보면....

가정교육이 잘된 학생이 공부를 더 잘할 가능성이 높은건 사실 아닌가요?;;
08/03/28 13:34
수정 아이콘
저는 비례한다고 봅니다. 완벽한 선형관계는 아니지만,
제 경험상으로는 놀라울 정도로
망고샴푸
08/03/28 14:38
수정 아이콘
다들 답변 감사드립니다. 교육이 영향이 없다고는 못하겠군요.

맨위에 핫타이크님// 저도 지금에서 군대에서 느끼는건데, 희안하게 못 배운 사람이 좀 그런게 있어서 올려본겁니다.
오히려 고졸은 낫습니다. 어정쩡한 학력이 더 문제. 물론 이렇게 말하는 저도 미칠듯한 학벌은 아닙니다.
정지연
08/03/28 15:11
수정 아이콘
연휘가람님 말씀이 많이 와 닿네요..
예의없는 사람이 안 배우려 한다는거...
08/03/28 17:54
수정 아이콘
사실 공부 잘 하는 사람이라는 것이 뭘 의미하겠습니까.
혈기왕성한 청소년 시절에 자기를 억누르면서 열심히 공부했다는거니까,
그만큼 인내심이 더 강하기 마련이죠.
극기복례라는 말도 있듯이 예의라는 것이 인내에서 나오는 것이 아닐까요.
물론 가끔씩 청소년 때 너무 자신을 억눌러서 반작용으로 더해지는 사람도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공부를 많이 한 사람이 더 예의바른 경우가 많다고 봅니다.
후루꾸
08/03/28 18:10
수정 아이콘
공부와 학생의 인격은 아무 관계 없다라고 말하고 싶지만.. 역시 이상적인 이야기이고..
실업계 학생이지만 참 착한 제 사촌동생같은 케이스도 수도 없이 얼마든지 있지만..
역시 조금이기는 하지만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이네요..
A.ra.shi
08/03/28 18:55
수정 아이콘
가정교육 이라든가 인간 됨됨이가 좌우하는 것 같네요. 제 친구만 보더라도 내신은 90퍼센트 정도 되는 친구가 있지만 그 친구 보면 싹싹하고 전화하는 것도 보면 상당히 예의바르게 행동하는것을 보면서 성적은 낮더라도 그친구는 노력하면 뭐가 되도 뭐가 될것같다고 느낍니다.
08/03/28 20:04
수정 아이콘
LSY님 말씀에 공감합니다.
한쪽이 나머지 한쪽의 원인일 수도 있겠지만, 양쪽을 형성하는 토대 중 인내심이 상당 부분을 차지하다 보니 상관관계가 생긴다고 봅니다.
08/03/28 20:40
수정 아이콘
예의 = 배려심이라 한다면, 배려라는데는 당연히 인내와 성실함이 따라오기 마련입니다.
그리고, 인내와 성실함이 있다면, 학교 공부는 당연히 잘 하게 마련이죠. 학교 공부가 무슨 천재적인 재능을 필요로 하지는 않으니까요.
게다가, 상급 학교에 진학할수록, 더 다양한 스펙트럼의 사람들과 접할 기회가 생기고, 거기서 자연스럽게 또 배려심을 배우게 되죠.
arq.Gstar
08/03/29 00:27
수정 아이콘
배웠다는게 학력을 말하는게 아니라 가정교육을 말하는게 아닐지요.
가정교육을 제대로 못받으면 예의없는사람이 되는 경우를 많이 봤어요.
parallelline
08/03/29 17:08
수정 아이콘
공부만해대는 사람이 더 이기적인가요와 맞먹는질문인듯;;
헤르젠
08/03/29 21:47
수정 아이콘
배운만큼 예의 있는거 맞습니다..

국회의원들..딱 보면 답이 나오지않나요??

일반인들은 잘 쓰지않는 멘트들..그런거 생각해내려면 많이 배워야합니다
Minkypapa
08/03/31 23:42
수정 아이콘
확률만 따지자면, 사실에 가깝죠. 최소한의 예의를 따지자면 그렇습니다.
하지만 4가지없는 정도를 따지면 천차만별이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5288 다이렉트 9.0c 8.1로 다운그레이드를 할수 없나요?? [3] 나를찾아서3499 08/03/29 3499
35287 MP3 하나 추천해주세요. [2] A.ra.shi2097 08/03/29 2097
35286 수학 질문 문제...;; [10] 하늘에속한이2103 08/03/29 2103
35285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이상해요 ;; [1] deadbody2175 08/03/29 2175
35284 대학교1학년 영어공부 질문입니다. [1] UnderPressure2226 08/03/29 2226
35282 이 음악은 어떤 버전인지요? 쿠므1510 08/03/29 1510
35281 이거 아시나요?? [6] Dis-v2397 08/03/29 2397
35280 정치 질문 및 넋두리.. egoWrappin'1518 08/03/29 1518
35278 윈도우비스타 보안센터 문제입니다. [1] 도시의미학2118 08/03/29 2118
35277 아랍어에 대해 조금 아시는분.. [6] 오월2101 08/03/29 2101
35276 청바지 + 정장 마이 [4] arq.Gstar7058 08/03/29 7058
35275 미즈노 축구화 질문좀 할게요.,.. [3] 언젠가는..2099 08/03/29 2099
35274 워싱턴DC 지역에서 갈만한 곳? [3] 마술사2475 08/03/28 2475
35273 고등학교 1학년 진로.... [4] A.ra.shi2157 08/03/28 2157
35272 스포츠프레스 왜 안들어가지는 지 아시는 분 계시나요? 리틀세브첸코1984 08/03/28 1984
35271 돈이 한 300정도 있는데...이걸 어디다 투자해야 될까요? [11] Frostbite.2156 08/03/28 2156
35270 주식배당 관련 질문입니다 wish burn1630 08/03/28 1630
35269 티파니의 눈이 슬퍼보이는 이유가..? [4] 바카스3317 08/03/28 3317
35268 증권투자상담사 자격증 있으신분? [4] 터닝포인트2071 08/03/28 2071
35266 PMP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3] 땅과자유2152 08/03/28 2152
35265 컴퓨터 최종 견적 좀 봐주세요 오늘 결제합니다 ^^;; [3] 와이숑1796 08/03/28 1796
35264 못 배운 사람이 대체로 예의가 없나요? [25] 망고샴푸6736 08/03/28 6736
35263 사랑니가 나는중인데요 [4] Xavi1962 08/03/28 196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