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29 20:09
https://n.news.naver.com/article/448/0000566867?sid=101
JP모건 "코스피 내년 5000 간다…6000도 가능"
25/10/29 19:53
이것도 한국 입장에서 개비싼거죠. ㅜㅠ
이명박때 처럼 환율 겁나 쳐올려서 방어해야 될 겁니다. 기본 1600원 되지 않을까 싶네요. 하 트럼프 진짜
25/10/29 19:48
돌고 있는 협상 요약 내용입니다.
■ 한미 무역·관세 협상 · 한미 양국은 10월 29일 관세협상 세부내용에 최종 합의했다. · 자동차 및 부품 관세는 15%로 인하하고, 상호관세는 15% 수준으로 유지한다. · 반도체 관세는 대만 대비 불리하지 않은 수준으로 조정한다. · 의약품·목재 등 일부 품목은 최혜국 대우를 적용하고, 항공기 부품·의약품 일부는 무관세로 전환한다. · ‘상업적 합리성(Commercial Rationality)’ 원칙에 따라 대미투자 원금회수 장치를 MOU에 명시한다. · 미국은 의약품 등 품목관세 분야에서 한국에 최혜국 대우를 부여한다. ■ 대미 투자 및 금융 협력 · 총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투자 합의. - 현금 투자 2,000억 달러, 조선업 협력 1,500억 달러로 구성. · 연간 투자 상한은 200억 달러로 설정해 외환시장 충격을 완화한다. · 외환시장 불안 우려 시 납입 시기·금액 조정이 가능하다. · 대미 금융투자 중 조선업 관련 자금 1,500억 달러는 협력 프로젝트에 투입된다. · ‘마스가(MASGA)’ 조선·에너지 협력 펀드는 한국 기업 주도로 추진되며, 기업 보증도 포함된다. ■ 조선·산업 협력 · 한미 양국은 NSC(국가안보회의) 산하 조선협력 협의체를 신설하기로 합의했다. · 양국 조선 협의체는 단기간 내 가시적 성과를 도출하도록 운영된다. ·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추진 필요성에 공감했고, 후속 협의를 제안했다. · 위성락 안보보좌관은 트럼프가 원자력 등 핵심 전략산업 협력에도 관심을 표했다고 밝혔다. · 한국의 핵잠수함 능력 필요성에 미국이 공식적으로 공감했다. ■ 기타 발표·외교 관련 · 트럼프 대통령은 이재명 대통령을 백악관에 초청할 뜻을 밝혔다. · 트럼프 대통령은 “어려운 일이 있으면 언제든 연락하라”고 메시지를 전했다. · 북핵 대응을 위한 한미동맹 억지력 강화의 필요성에 양국이 의견을 같이했다.
25/10/29 19:58
"반도체 관세는 대만 대비 불리하지 않은 수준으로 조정한다."
이내용은 애매하게 보이는데 어떻게 해석 될까요? 나중에 트럼프가 다시 언급할 여지도 있어 보이는데
25/10/29 20:01
(수정됨) 반도체 개별관세를 먹일 생각인데 그 수치가 100퍼까지도 먹이겠다 이러고 있긴 하지만 실제 수치는 미정이라 저렇게 나오는거 같은데...(공장 지어라 공장 지어라 하는 중...)
그러니 얼마 먹일진 모르는데 대만에 비해 왕창 먹이진 않겠다 이정도로 봐야죠...
25/10/29 22:43
반도체는 어차피 한국과 대만 딱 두나라밖에 없는 수준이라 한나라를 죽여버려야지 하고 마음먹지 않는 한 이렇게 될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25/10/29 20:05
총액은 어쩔 수 없을 거지만, 세부적인 사항에서 좀 더 합리적인 선으로 조정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요.
솔직히 현대 문명국 외교에서 있을 수 없는 일 아닙니까 크크크크
25/10/29 20:06
모르겠습니다 바이든 때도 동맹국에게 강탈해가는 건 똑같았거든요 이제 천조국이 거리낌없이 갈취해가겠다는 게 미국민주당이든 공화당이든 뉴노멀 같아서요
25/10/29 20:06
핵연료는 중국 일본이 다 싫어하는내용이고 스와프는 연준이 싫어합니다.
이 반대를 뚫고 협상을 하려면 우리가 줘야하는 내용이 저정도가 아닐거라고 생각합니다.
25/10/29 19:57
근데 뭐 어느정도 해도
마이너스가 아닐 순 없으니까 거길 붙들고 늘어질거고, 니네가 했으면 더 잘했겠냐 할거고 야당은 못했다고 뭐라할꺼고 지지자들도 거기 동의할거고 여당 및 그 지지자들은 잘했다고 할거고 중도같은 사람도 결국 너 이걸 잘됐다고 해? 저쪽이지! 너 이걸 안됐다고 해? 저쪽이지! 당할거같고 그래서 싸움날 걸 생각하면 뭐 사람들 반응은 거기서 거기일듯도 하고..
25/10/29 19:58
(수정됨) 잘했네요 APEC에서까지 협상 못하면 골치아팠었는데 다행입니다. 다만 지난번에도 그랬듯이 안심은 금물이기는 합니다.
25/10/29 20:34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557980?sid=101
[달러·원 환율 1440원 돌파…6개월 만에 최고치 경신] 2025.10.23. <이창용 총재 평가> 환율 상승 요인의 4분의 1 : 달러 강세 환율 상승 요인의 4분의 3 : 위안화, 엔화 약화, 관세 및 대미투자 3500억달러 문제 등
25/10/29 20:28
억울하기도 합니다 FTA 그 힘든걸 체결했는데...
왕관주고 금덩어리 훈장줄때 합의는 되겠다 생각은 했다만... 그렇게 정말 반대가 심했고, 힘들게 만든 FTA였는데 말입니다 ㅜ
25/10/29 20:34
말도 안되는 세계긴 하죠.
양국 모두 국회 비준까지 받은 국가협정을 그냥 하루아침에 없던일(심지어 우리는 FTA지킴)로 된다는게... 드라마도 이렇게 만들면 개연성 없다고 욕먹을듯요.
25/10/29 20:40
한국에선 FTA 찬성도 하고, 반대도 하고 힘들게 협정 맺어서 그 이후로 지키고 있는데 미국은 트럼프 딸깍 하나로 모든 협정이 다 종이쪼가리가 되어버리니 매우 화가 나긴 합니다.
25/10/29 20:31
협상은 잘 해서 다행이긴한데 정말 최근 관세 협상이나 여러 일을 보면서 느끼는게 이제는 미국이라는 나라가 중국만큼 비호감이네요. 저런 트럼프 뽑은 미국인들도 이해 안 가고
25/10/29 20:36
워낙 막무가내라 혹시 깽판날까 걱정했는데 (그래서 자산시장에 풀롱을 때리지 못했는데) 아주 선방했다고 봐야겠네요. 내일 날라가겠어요.
25/10/29 20:38
이준석, 한미 관세협상 타결에 "최선에 가까운 결과" 호평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549418?sid=100 오오
25/10/29 20:55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66/0000084712?sid=100
[이준석 "李대통령, 대미협상 성과 부진에 바나나로 시선 돌려"] 2025.10.02 성장했군요 준석쿤...
25/10/29 20:57
(수정됨) 기아차 애프터마켓에 114600에 500주 매수 건 제 자신을 칭찬합니다...밥먹다가 무심코 주식들어가봤는데 빨간색 500이상 떠 있어서 순간 오류인줄 알았습니다
25/10/29 20:59
일단 환율 급락으로 떨어지고 주식 시간외 쭈욱 올라가는거 보니..
내일 주식은 호황이겠네요. 일단 계속 오를거 같기는 하네요. 흠..
25/10/29 21:06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8/0006150473?sid=101
[이창용 한은 총재, 한미 협상타결 소식에 “굉장히 잘 됐다, 다행”] 2025.10.29.
25/10/29 21:40
상한이 200억달러면 상한을 다 안채울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머릿속을 잠시 스치는데 일단 올해는 다 채워야겠죠?
친구비 뜯어가는 일진놈이 "불편한거 있으면 말만 해 내가 해결해줄께" 따위의 말을 하는걸 보면 꿀밤마려운데요 크크크
25/10/29 21:42
올해는 모르겠고 투자처를 한국에서 결정하기 때문에 200억달러 반드시 채울 필요도 없는 조건인거 같아요. 투자할데가 없으면 안하는걸로
25/10/29 22:47
200억달러면 대략 30조인데 매년 30조짜리 프로젝트를 만드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죠. 경우에 따라 100억불, 혹은 50억불만 투자할 수도 있는 것이죠.
25/10/29 21:53
저번에 깠었는데 지금 나온 내용이 사실이면 정말 잘 됐습니다. 문서로 확인까지 되면 참 좋겠습니다.
문서까지 확인한 지금까지도 일본 협상관계자는 현금 지원 적다 어쩐다 입털고 미국은 선불이다 이러긴 하는데 문서만 보면 둘다 틀린 말이거든요. 일본 협상내용 보면 선불은 일단 아니고, 투자는 현금이 맞는 것 같고, 투자처는 미국이 정하지만 그 전에 제동장치 하나 있고. 더 구체적인 내용이 있는 이면합의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요.
25/10/29 21:56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710420
[한미 관세협상 세부합의 주요 내용] 2025.10.29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710596 [김용범 "관세협상 당일 급진전…국내 외환시장 신규 충격 없다"] 2025.10.29. "상업적 합리성 있는 프로젝트만 투자…5대 5 이익배분 비율은 아쉬워" "11월 중 특별법 제정 위해 노력…원자력 협정은 향후 구체적 협의" Q. 관세 인하가 시작되는 시점이 정확히 언제인지 궁금하다. A. MOU에 이를 이행하기 위해 법이 제정돼야 하고 그 법이 국회에서 통과돼야 한다는 조항이 있다. 11월 1일 정도로 소급해서 관세 인하 시점이 결정될 것 같다.
25/10/29 22:17
일본보다 더 상황이 낫는건가요 크크크 어쨌거나 중국빼고 다 패고 있는 트럼프 대단합니다 중국은 누구보다 사랑하는 크크크크크 덕분에 중국만 잘나가겠네요
25/10/29 22:27
북한이 제일 신났죠. 제재도 없어 규탄도 안 해 그런데 계속 만나자고 신호는 보내와 저게 노벨평화상 때문이라는 속셈은 다 보이고. 얼마나 좋을까요?
레드팀들을 사랑하는 (전)블루팀 대장입니다
25/10/29 22:40
그나저나 일본은 어떻게 되지..... 한국과 반대로 이 쪽은 조건이 참 골 때리는 게 많던데 ( 그 중 백미는 미국이 지정한 계좌에 일본은 돈을 넣는다...)
한국이 이거 원안대로 하면 IMF온다고 징징대서 겨우 조건이 좀 좋아졌는데, 그 원안대로 쳐맞으면 일본이라도 괜찮은게 아니거든요..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10291207i 벌써부터 이러고 있구요... 일본은 아마도 정부단계에서 다 도장 찍어준 다음에 기업투자 시에 최대한 개겨볼려는 거 같은데, 이게 정부도 못 버텼는데 기업더러 버티라는 게 될까 모르겠어요...
25/10/29 22:49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710797?sid=104
[美국방 "전작권환수 훌륭한 일…한국은 믿음직한 전투 파트너"] 2025.10.29. 어 이거 완전 빨...?
25/10/29 23:0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79/0004080484?sid=100
[국힘 "외환 불안 우려, 협상 과정 공개"…관세합의 비판] 2025.10.29. "한국 GDP, 일본 절반 수준인데 유사한 구조로 진행" "통화스와프 빠졌고, 200억 달러 상한 투자도 무리" "국회 비준 동의 대상…정부, 구체적 과정 밝히라" 이동네에선 못한거라는것 같군요.
25/10/29 23:32
日은 없는 ‘연 투자 한도’ 200억 달러, "외환위기 위험 최소화"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549452?sid=101 일단 1년에 투자하는 한도가 있다는게 무엇보다 가장 큰 차이점이고 현금으로 투자하는 액수도 일본은 5500억달러 전액 현금인데 우리나라는 2000억달러라서 총액으로도 차이가 크네요
25/10/30 00:10
일본도 지금 말한거랑 다르다고 또 난리던데 이 트럼프랑 하는 협상은 진짜 협상 끝마치고 투자하는 거까지 봐야 믿을 수 있겠네요
대통령 하나에 휘둘리는게 도대체 몇억명인지
25/10/30 04:36
상대가 자연재해 트럼프니 이게 끝일리는 없지만 일단 협상에 참여하신 모든 분들에게 고맙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네요. 고생 많으셨습니다.
25/10/30 09:23
잘 했는데 좋아해야 하나는 좀 의문이 드는 상황?
어차피 우리가 미국의 경쟁상대는 아니고 다른 주요 경쟁국들에 비해서 덜 맞으면 좋은 상황인 거겠죠? 중국이 어떨지를 봐야되긴 하겠지만... 암튼 이게 거의 최선의 협상안이었던 것 같아요.
25/10/30 10:15
[속보] 美상무장관 "반도체 관세는 한미합의에 포함안돼"
https://n.news.naver.com/article/011/0004549634?sid=104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이 “반도체 관세는 한미 합의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우리 정부가 대만에 비해 불리하지 않은 대우를 받기로 했다고 발표한 것과 미묘한 온도차가 감지된다.
25/10/30 11:40
https://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67066
[트럼프, 한국과 9,500억 달러 규모 합의 발표... 폭스뉴스 보도, 한국 정부 발표와 상당한 차이 보여] 이건 또 무슨 일인가요???
+ 25/10/30 12:29
https://truthsocial.com/@realDonaldTrump/115459650821125830
한국은 미국이 부과한 관세 인하 대가로 3,500억 달러를 지불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또한, 막대한 양의 석유와 가스를 구매하기로 합의했으며, 한국의 부유한 기업과 사업가들이 한국에 투자하는 금액은 6,000억 달러를 넘을 것입니다. 한미 군사 동맹은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하며, 이를 바탕으로 저는 한국이 현재 보유하고 있는 구식이고 기동성이 훨씬 떨어지는 디젤 추진 잠수함 대신 핵추진 잠수함을 건조하도록 승인했습니다. 훌륭한 대한민국 대통령과 함께한 멋진 여행이었습니다! 트럼프가 SNS 에 적은 3500억 + 6000억 = 9500억 을 퉁쳐서 폭스뉴스 혼자 헤드라인으로 낸것 같습니다.
+ 25/10/30 12:24
https://www.whitehouse.gov/fact-sheets/2025/10/fact-sheet-president-donald-j-trump-brings-home-more-billion-dollar-deals-during-state-visit-to-the-republic-of-korea/
[Fact Sheet: President Donald J. Trump Brings Home More Billion Dollar Deals During State Visit to the Republic of Korea] October 29, 2025
+ 25/10/30 12:30
출처를 읽어보니 전체 금액에 대한 이야기는 없고, 개별 기업이 어느정도 투자하기로 했다는 내용만 있군요.
대한항공: 362억 달러 규모 보잉 항공기 103대 및 137억 달러 규모 GE 엔진 구매 대한민국 공군: L3해리스와 23억 달러 규모 조기 경보 통제기 개발 계약 체결 ReElement·포스코 인터내셔널: 미국 내 희토류 분리·정제 및 자석 생산 단지 파트너십 한국가스공사: 미국산 LNG 연간 330만 톤 장기 구매 계약 센트러스·한수원·포스코: 오하이오주 우라늄 농축 시설 확장 지원 합의 LS 그룹: 2030년까지 30억 달러 규모 미국 전력망 인프라 투자 약속 한미 '기술 번영 협정' 체결: AI, 6G, 바이오 공급망, 양자 혁신 등 협력 확대 아마존: 2031년까지 50억 달러 규모 한국 클라우드 인프라 투자 NASA 아르테미스 II: 한국 위성 탑재 및 우주 방사선 측정 임무 수행 양국: 핵심 광물 공급망 안정화 및 다각화를 위한 민관 협력 합의 HD현대·서버러스: 50억 달러 규모 미국 조선소 현대화 투자 파트너십 삼성중공업·비고 머린 그룹: 해군 함정 MRO 및 조선소 자동화 협력 한화오션: 50억 달러 규모 필리 조선소 인프라 투자 및 생산 능력 10배 증대 계획
+ 25/10/30 13:38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5204073?sid=100
[이준석, 한미 관세협상 타결에 찬사…"최선 가까운 결과"] 2025.10.29.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8573810?sid=100 [한동훈 "관세협상, 국민 세금 늘고 외환보유고 축소 운영될 것"] 2025.10.30. "안그래도 어려운 협상, 이재명 정권이라 10배 더 어려워" "실제 협의 내용 및 과정 국민께 상세하게 공개해야"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47/0002493183?sid=100 [한미관세협상 타결에 우왕좌왕 국힘, 공식입장도 못 정했나] 2025.10.30. (오마이뉴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