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08/02/02 08:57:05
Name 밀가리
Subject [일반] 해외에서 무료로 한국tv를 시청하는 방법이 있었습니다...하지만...
안녕하세요. 해외에서 공부하는 유학생입니다.

방학을 맞이하여 한국에 들어와 휴식을 취하는데 한국도 매우 춥군요. 그래도 부모님의 음식이 있어서 기분은 좋습니다.


제가 사는 곳은 중국입니다. 중국 북경. 13억 중국의 수도에서 대학을 다니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와 중국의 관계가 점점 밀접해 짐에 따라서 한국사람들도 많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듣자하니 재북경 한국인이 10만명 정도 된다는 이야기도 있구요.


제가 이 글을 쓴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얼마전에 여기서 있었던 한 사건때문입니다.


여러분도 아시다시피 해외에서 tv를 켜면 한국tv를 못보죠. 그래서 해외에 계신 분들은 주로 인터넷으로 뉴스와 저같은 경우 pgr을 통해서 한국소식을 많이 듣는데요. 그래도 스타리그나 축구같은 경기는 생방으로 못봐서 항상 아쉬웠죠.

그러던 찰나에 중국에 한 인터넷tv회사가 차려집니다. 자세히는 모르지만 iptv어쩌구저쩌구하더군요. 아무튼 이 사이트에 가입을 하면 공중파부터 케이블 몇개 정도를 컴퓨터로 무료시청이 가능합니다. 해외에서 한국tv보고싶은 유학생들에게 큰 호응을 얻었죠. 사실 여기 이민오신분들은 접시하나 달면 되는거지만 유학생들이야 그럴 만한 돈도 없고, 단다고 해도 tv볼 시간도 없으니 낭비죠. 그에 비해 인터넷tv서비스는 보고싶은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간단하게 본다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저도 이 사이트를 이용해서 프로리그를 시청하기도 했죠. (엠겜은 나오더군요. 온겜은 안나오구요.)

점점 규모가 커지다보니까 이 사이트에서 더이상 무료운영이 불가능하다 생각했는지 비용을 받습니다. 비용이라고 해서 비싼건 아니구요. 한채널/한달에 1300원 정도 했습니다. 20여개채널은 13000원 정도 했구요. 저는 마침 한국에 들어와있어서 별로 상관은 없었는데요.

오늘 북유모(북경유학생모임)이라는 카페에 가니 오세아니아지역 한국공영방송 출판사쪽에서 불법운영으로 자사가 피해를 본다고 고발한다고 글이 올라왔더군요. 흠흠.


교민들 입장은 대체적으로 아쉬워합니다. 한국공영방송에서 피해를 보고 있지만 제가 아는한 인터넷으로 한국tv방영해주는 사이트도 없었고 말이죠.

대충 반응은 이렇습니다.
"그 사이트들이 불법이라믄 한국공여(?)방송총판인가에서 합법적으로 직접 방송해 주시든가요..불법이란거 대충은 알고 있었지만...에거 한국 TV보기 또 힘들것네.."  
"난즈한 언제부터 공영방송총판이 외국에 있눈 우리같은 사람 걱정을 했는지 결국은 지들 밥그룻 때문이 겠지..그나마 xxxx(그사이트)가 낳다 뭐.."


아래 비슷한 글이 올라왔는데 마침 중국에서는 이런일이 벌어졌군요.
좀 차이점이라면,
한국에 불법mp3나 p2p는 이건 개인이 합리적인 금액으로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지만 그게 싫어서 하는 행위이고요.그와 반대로 해외에서는 저런 사이트가 아닌이상은 현실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무리가 있다는 점인데요.(스카이라이프 접시다는 것만 30만원 정도 드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월 요금은 따로 받구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꿀호떡a
08/02/02 09:05
수정 아이콘
비단 TV뿐만 아니라, MNCAST를 위시한 UCC 사이트들 또한 해외에선 제대로 보이지 않지요.
항즐이
08/02/02 09:08
수정 아이콘
난즈한? .. 이 뭘까요?
그리고 낳다 -> 낫다. 의 수정 부탁드립니다.

가능하면 저렴한 가격의 서비스가 있으면 좋겠지만,
이미 많은 한국 드라마/영화/가요/게임 컨텐츠 들이 무단 도용 당해서 한류의 크기에 비해서 수익을 많이 못 올렸죠.
가뜩이나 중국 정부의 까따로운 규제 때문에 중국에서 한국 문화를 향유하는 것에 비해 수입이 적습니다.
아마 과거의 한-일 관계와 비슷할 것 같은데요. 위성 TV 스크램블 사건과 비슷할 듯 싶습니다.
당시 많은 해외TV 매니아들이 비슷한 불만을 토로했지만, 원론적으로는 어쩔 수 없는 일이죠.
컨텐츠 공급자의 미래 수익까지 해칠 수 있는 서비스를 공급자가 반대해서 금지하는 건 지극히 합법적인 자기 방어라고 할 수 밖에요.

저도 P2P나 여타 불법적인 것들을 사용하긴 합니다만,
법적으로 금지되어 사라진다면, 어쩔 수 없이 그만 즐기거나 돈을 벌어서 사서 봐야죠. 제가 억울해 할 일은 아닙니다.
마음의손잡이
08/02/02 09:18
수정 아이콘
어쩔 수 없이 그만 즐기거나...

웬지 무섭습니다. 우리 컨텐츠는 우리가 지켜나가자구요
항즐이
08/02/02 09:37
수정 아이콘
마음의손잡이님//

우리 컨텐츠라 함은 뭘 말씀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주로 한국에서 구하기 힘든 외국 드라마를 그렇게 즐기고 있습니다.
직접 구입하는 DVD도 있습니다. -_-;;
이사무
08/02/02 09:58
수정 아이콘
무형컨텐츠라고 마음대로 퍼가는 것은 당연히 금해야죠;
외국의 교민들에 대해서 방송을 해주고 안해주고는 당연히 수익성 여부에 따르는 거니 방송사가 알아서 할 일이고,
불법적으로 시청하던 사람들은 그만큼 책임(이라봤자 걸리면 안보는 정도죠)을 져야죠.

유형재화를 타국에서 안난다고 본국에서 그냥 가져다쓰다가 금한다고 하니 불평하는 것과 다를 바 없는 겁니다.
이렇게 말하면 매정해보이시겠지만, 저희 친누나도 이민가서 외국에서 삽니다. 남얘기도 아니고요.
하지만 그건 그거고(그쪽도 비디오 녹화해서 대여하는 시스템이 있다더군요; 아마 불법이겠죠) 불법적인 거에 대한 제재는 당연한 거라고 봅니다.
하늘을담은바
08/02/02 10:22
수정 아이콘
저도 중국에 사는 유학생입니다. 글쓴분이 말씀하신 사이트... 저도 애용하고 있었습니다만, 갑자기 유료로 바뀌는 바람에 저도 엠겜 며칠째 못보구 있는 중이예요.ㅠ.ㅠ
지금 저도 북유모 들어가서 한국공영방송 팀장이 쓴 글 봤는데, 참 웃기네요. 무작정 막기만 하면 다인가. 그럼 해외에서도 교민들이 한국방송을 볼수있게 하든지 해야지 그런거에는 털끝만큼도 신경안쓰고 지네들 밥그릇만 챙길려구 난리네요.
글루미선데이
08/02/02 10:26
수정 아이콘
국영방송은 뭐하나 모르겠습니다
토스희망봉사
08/02/02 10:34
수정 아이콘
TV 라는게 광고 때문에 무료로 볼수가 있는 건데 하여튼 난감 하네요
항즐이
08/02/02 12:05
수정 아이콘
하늘을담은바다님//

해외 교민이라 함은, 한국 국적의 해외 거주자를 말씀하시는 겁니까?
그들에게는 볼 권리가 있죠. 그 경우, 공중파 방송은 당연히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이 (이론적으로는)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공급 능력에 있어서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는 경우,
경계 밖에 존재하는 국민들에게 "필수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는 서비스인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을 수 있다고 봅니다.
밀가리
08/02/02 13:15
수정 아이콘
사실 여러분들 말씀들이 다 옳습니다. 불법적인 것도 맞습니다만,
교민들에게 마치 저 회사는 홍길동과 같은 존재랄까^^. 홍길동도 나라입장에선 도둑놈이지만 백성들한텐 환영받죠... 뭐 그렇다고해서 저 불법회사를 옹호하고 싶은 마음은 없습니다만, 사람이란게 본성 이기적이라 자신이 향유할 수 있는 서비스가 어느 아침에 불법이라하며 제공이 금지되면 투덜되기 나름이죠. 가령 불법인줄 알면서 무단횡단하는 도로가 있는데 그 도로에 육교가 생기면 돌아간다고 투덜되는게 우리네니까요.

제 생각으론 한국공영방송에서 교민들을 대상으로 합법적으로 한국tv제공서비스를 해줬으면 하는 바램이 있네요.
하늘을담은바
08/02/02 14:00
수정 아이콘
항즐이//저도 "필수적"으로 제공되어야하는 서비스는 아니라고 봅니다. 하지만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할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사실 글쓴분이 말하신 사이트외에도 인터넷으로 한국방송 서비스하는 곳이 몇군데 더있음) 교민들이 진정으로 바라고 원하는게 뭔지 알지도 못하고(사실 알려고 하지도 않음) 아무런 대책도 없이 무조건 막기만 하는거에 대해서 심한 반감이 생기네요.
Mynation
08/02/02 14:19
수정 아이콘
글루미선데이님// 우리나라에 국영방송이라면 KTV가 있겠죠. 혹시 의미하신 방송국이 KBS라면 KBS는 공영방송입니다. 국영과 공영은 엄연히 다릅니다.
항즐이
08/02/02 14:20
수정 아이콘
하늘을담은바다님//

그렇군요. 기술적으로 어렵지 않고 비용적으로 과하지 않다면,
"귀찮고 복잡해서" 하지 않는 건 직무유기겠죠.
08/02/02 15:01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전 안보고 안씁니다. 점점 한국인이라는 정체성이 사라져가고 있지 말입니다.

그래도 귀국은 하고 싶으니 취직좀 흑흑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28] jjohny=쿠마 25/03/16 17623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1817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56059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58805 4
104159 [일반] 지나가다 에어팟 맥스 사용해본 후기 [10] 김삼관2806 25/05/07 2806 0
104158 [일반] 트럼프를 분석하는것 만큼 무의미한건 없다 [34] 고무닦이4624 25/05/06 4624 7
104157 [일반] 2025년 올해의 백상 대상작품 소개 (스포) [26] 바람돌돌이5414 25/05/06 5414 1
104156 [일반] 카페인을 끊기위한 노력 [40] reefer madness6540 25/05/06 6540 8
104155 [일반] 그 날, 1편 예의바른 아저씨가 된 그 날 [12] 똥진국5632 25/05/05 5632 8
104154 [일반] 겉으로 밝아보이는 사람이 가장 슬픈 이유 [11] 식별8276 25/05/05 8276 52
104153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5)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4 [3] 계층방정3517 25/05/05 3517 5
104152 [일반] 방송인 백종원은 정말 끝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118] 럭키비키잖앙18309 25/05/04 18309 16
104151 [일반] 이미 지피티 이미지는 상업적으로 널리 쓰이네요 [28] 김아무개11037 25/05/04 11037 1
104150 [일반] 트럼프 내년 예산안에 과학계 '발칵'..."멸종 수준의 사건" [99] 전기쥐11202 25/05/04 11202 8
104149 [일반] 만독불침은 정말 있었다! [16] 如是我聞6613 25/05/04 6613 1
104148 [일반] 분식의 추억 [2] 밥과글5034 25/05/03 5034 5
104147 [일반] 사법고시 최연소+김앤장 -> 통역사 [33] 흰둥10773 25/05/03 10773 7
104146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4) - 미완의 꿈, 제무왕 유연 3 [5] 계층방정3348 25/05/03 3348 5
104145 [일반] 생각보다 심각한 미국의 마약 문화와 그것을 매우 경계해야 하는 이유 [51] 독서상품권10774 25/05/02 10774 22
104144 [일반] 환율 근황. [32] This-Plus11131 25/05/02 11131 0
104143 [일반] 아우라와 로봇 [19] 번개맞은씨앗4893 25/05/02 4893 1
104142 [일반] 도덕에 대하여 [12] 번개맞은씨앗7274 25/05/01 7274 6
104141 [일반] <우리가 빛이라 상상하는 모든 것> - 착각, 믿음, 이해. 모든 것을 담은. (약스포) [2] aDayInTheLife4975 25/05/01 4975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