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1/12/01 21:10:54
Name PokerFace
Subject 우리나라가 최빈국에서 경제대국으로 성장할수있었던
가장 큰 원인 혹은 원동력은 무엇이었을까요

한때는 전세계에서 최고로 가난한나라중 하나였다가

지금은 경제규모 11위의 대국으로 성장하였고

그 성장속도는 전세계나라중 최고라고 일컬어지는데

한국이 다른나라 다른빈국과는 달리 가질수있었던 원인 혹은 원동력을 하나만 꼽자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From m.oolzo.com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1/12/01 21:12
수정 아이콘
천조국님의 혜화같은 전폭적인 지원이요.
블루베리
11/12/01 21:13
수정 아이콘
아이러니하게도 식민지 시절 많은걸 배웠죠.
Dear Again
11/12/01 21:14
수정 아이콘
국민성이요... 지기 싫어하고, 노력하고, 착취당해도 일하고, 자식들 교육 악착같이 시키고 ㅠㅠ
못된고양이
11/12/01 21:16
수정 아이콘
한미상호방위조약, 중위도의 적절한 기후, 일본의 존재, 외국의 성공모델인 새마을운동 도입과 그에 따른 국민들의 희생..
그 외에 여러가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했겠죠.
경제성장 이야기 나오면 늘상 박정희가 등장해서 깔대기가 그 쪽으로 가버리는데
박정희의 치적이라기 보다는 우리 아버지 어머니들의 근검과 희생 덕이라고 표현하고 싶네요.
모리아스
11/12/01 21:25
수정 아이콘
근성, 지기 싫으면서 비슷한 모형인 일본, 미군에 기댄 국방, 적절하게 터진 남의 나라 전쟁, 성장에 집중한 독재체제
11/12/01 21:26
수정 아이콘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하나만 꼽자면, 노동시간이요. 다른나라 두배는 되지 않나요? 그러면서 봉급도 적고.
지금의 경제발전은 부모님세대, 혹은 조부모님 세대의 엄청난 공 덕분이라 생각합니다.
국가와 기업을 이끌어가는 사람들의 공도 상당하겠지만, 그들의 공을 포장하기 위해 우리 부모님, 조부모님들의 공이 적게 평가되는게 너무 싫어요.
11/12/01 21:50
수정 아이콘
1. 적절한 위치 : 7~80년대에는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인 일본 옆에 있어서 이득을 봤고, 90년대 이후로는 덤으로 중국까지 있어서 이득이 됐죠. 북한 때문에 잿더미가 됐었지만 역으로 전쟁 후 그 때문에 미국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았습니다.

2. 대규모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함 : 태풍이 그냥 커피면 지진은 TOP죠. 더군다나 고베 대지진, 토호쿠 대지진 발생은 대한민국의 무역수지 개선에 도움이 됐습니다.

3. 노동 착취 : 전태일 열사가 분신하기 전에 보냈던 탄원서 내용을 보면 " 1일 14시간의 작업시간을 단축하십시오. 1일 10시간 - 12시간으로, 1개월 휴일 2일을 일요일마다 휴일로 쉬기를 희망합니다. 건강진단을 정확하게 하여 주십시오. 시다공의 수당 현 70원 내지 100원을 50%이상 인상하십시오 " 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4. 대한민국은 생각만큼 못살지 않았음 : 6.25 직후에야 나라가 풍비박산이 나 세계 최빈국 어쩌구 수준까지 떨어졌었지만 1960년에 이미 세계 GDP 순위 29위를 찍었었습니다. 이거 얘기하면 대부분 놀라시더군요.
올빼미
11/12/01 21:53
수정 아이콘
인구와 교육에 대한 가치관. 헌데 전쟁후7년만에 gdp29위는 놀랍네요.
왼손잡이
11/12/01 21:54
수정 아이콘
머리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발전 계획을 추진한 박정희를 찬양할것이고,
손발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信主님 말씀처럼 우리의 할아버지 할머니, 어머니 아버지의 고생을 찬양할 것이고,
가슴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이런 말도 안되는 짓을 정말로 이뤄낸 국민성을 찬양할것입니다.

어느 하나라도 없었으면 이뤄내지 못했을 복합적이고 인위적인 기적이죠.
11/12/01 22:05
수정 아이콘
다른 가난한 나라 사람들은 근성없고 열심히 일 안해서 가난한가요? 부모님 세대가 열심히 일한 건 맞지만 최종적으로 그런 부모님들에게 방향을 지시하고 이끈 건 박정희 정부라는 건 부정할 수 없습니다. 딴 나라 사람들도 열심히 일합니다. 하지만 지도자가 흑심을 품거나 잘못된 방향을 지시하면 16시간이 아니라 24시간을 일해도 가난을 벗어날 수 없습니다. 부모님 세대를 깎아내리려는 건 아니지만 박정희 정부를 무시하고 부모님들에게 공을 돌리는 건 수학 문제를 푼 건 머리가 아니라 열심히 움직인 손가락이니까 손가락에게 공을 돌려야한다는 것과 다를 것이 없다고 봐요.

또 노동 착취라는 것도 예를 들어서 공부 못하는 학생이 전교1등 쫓아가려면 전교1등보다 공부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봅니다. 선진국처럼 똑같이 8시간 일하고 복지타령하면 언제 선진국 따라잡나요. 또 착취라고 하기도 뭐한 게 부모님 세대가 피땀 흘린만큼 그 과실로 자식들인 우리가 풍족하게 살아가고 있잖아요? 긴 노동시간은 어쩔 수 없는 과정 중 하나였다고 봅니다. 물론 전태일 같은 분 덕분에 좀 더 부의 분배가 공평하게 이뤄진 것도 사실이고요.
왼손잡이
11/12/01 22:35
수정 아이콘
박정희 정부를 부정하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습니다. 오로지 민중이 역사를 이끌어 간다고 의식하시는 사회주의철학을 가지신분 아니고서야..
오로지 박정희 덕분이다! 라고 말을 하는게 우스워서 반론하다보면 꼭 그런식으로 극단적으로 몰아가는 분들이 계시더군요.
박정희는 한게 없다. 라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우습기는 마찬가지구요.

머리 굉장히 중요하죠. 머리가 없으면 생각을 못하니까요. 그럼 그 뇌로 일합니까? 결국 땀흘리고 과로로 죽고 고생한것은
손발입니다. 그럼 다른 가난한 나라 사람들은 박정희가 없어서 그렇게 발전을 못하고 우리나라만 발전한겁니까?

위에 썼듯이 이 사안은 저마다 다른 감성으로 바라볼수있는 굉장히 복합적이고 인위적인 기적입니다. 어느 하나가 특출나다고 해서 절대로 이루어질수 없는 일이에요.
11/12/01 23:22
수정 아이콘
1. 미국과의 관계
- 남아메리카와 달리 동아시아는 냉전시대에 쇼윈도 역할이었죠. 이건 서독도 마찬가지구요. 그래서 특히 지원이 많이 들어간게 있습니다.
- 특히 베트남 전쟁. 이거야 뭐...더 말이 필요 없죠.

2. 국민의 노력
- '평등'에 대한 의식이 강해서, 남한테 지고는 못살죠. 그래서 교육열이 강하지요.
- 한글의 역할도 무시할 수 없다고 봅니다. 모두가 글을 읽을 줄 안다는건 진짜 큰 재산이지요. 정말.
- 다른 나라도 열심히 일 합니다. 다만 이만큼 평등의식이 강한 나라는 드물다고 봅니다.

3. 지도자/정부의 역할
- 부패하긴 했지만, 다른나라 지도자보다는 덜 부패했다고 봅니다. 안 부패하다는게 아니에요. '덜'이라는 거지요. 부끄러운 협상이긴 하지만 한일협상 하고 나서 받은 돈이 어쨌든 100% 그들의 주머니에 들어간건 아니잖아요.
- 일제시대에 이들은 교육을 받았습니다. 특히 군부는 더더욱요. 가장 똑똑한 집단이었지요 그 시대에는. 그들이 잡는게 반발이 적을 수밖에 없는 구조였다고 봅니다(초기에는. 70년대로 넘어가면 바뀌어가지요)



저는 1번이 50%, 2번이 30%, 3번이 20% 정도 아닐까....라고 생각합니다.
이 지역이 투닥투닥하고 센 나라가 많긴 하지만, 여기 있어서 이나마 발전했다고 생각해요. 그게 아니었으면 미국이 이렇게까지 밀어주지 않았겠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0846 한미 FTA에서 몇가지 질문드립니다. [2] 쒜킷!2184 11/12/02 2184
120845 WCG 2011 Grand Final 질문입니다. [6] 실버벨2169 11/12/02 2169
120844 토론게시판 관련 건의사항입니다 Marionette1759 11/12/02 1759
120843 겨울에 입을 면바지 메이커 추천 부탁합니다 [2] 초록추억2252 11/12/02 2252
120842 컴퓨터 업글에 대한 질문좀 드릴께요. [6] pickmeup2049 11/12/02 2049
120841 국내 가수가 부른 애니 와 게임 주제가 및 ost 뭐가 있을까요? [25] 라이디스3133 11/12/02 3133
120839 종편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7] 효민2183 11/12/02 2183
120837 대법원과 검찰의 관계를 알고싶습니다 [6] 뜨거운눈물2085 11/12/01 2085
120834 인터넷상에서 나오는 동영상들만 소리가 작게 나옵니다. [2] 구라타1802 11/12/01 1802
120833 선형대수 행렬의 대각화 질문드립니다. [2] linux4502 11/12/01 4502
120832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진 운석이 우리집 앞마당에 떨어진다면 소유권은? [13] 더이상은무리2820 11/12/01 2820
120830 시험선물 질문입니다. [5] 동계올림픽1675 11/12/01 1675
120829 발가락이 딱딱해지고 차가워지는 증상이 뭘까요.. [4] 아레스2131 11/12/01 2131
120828 갑자기 궁금한점이 생겼네요 [2] 천지간판1656 11/12/01 1656
120827 박경완선수 사태는 현재 어떻게 된건가요? [3] 너는강하다2244 11/12/01 2244
120826 종편채널 어떻게 보셨나요??? [6] 베일2208 11/12/01 2208
120825 C언어 질문합니다!! [7] 필요없어1661 11/12/01 1661
120824 pgr 로그인 끊김 문제 [8] 멍충이2346 11/12/01 2346
120823 해외 시계 구매 대행을 할 생각인데...어디서 사야 가장 저렴한가요? [1] 다음세기3397 11/12/01 3397
120822 한참을 뒤지다가 결국 pgr로 ㅠㅠ 개봉중 괜찮은 영화 좀 추천요~!! [17] 내사랑 복남2133 11/12/01 2133
120820 미국과 동맹을 맺어 나라가 거의 망하다시피하거나 속국으로 전락한 [16] PokerFace2329 11/12/01 2329
120819 라디오스타 역대 최고는 뭐라고 생각하세요 [26] PokerFace2958 11/12/01 2958
120817 우리나라가 최빈국에서 경제대국으로 성장할수있었던 [18] PokerFace2146 11/12/01 214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