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1/19 19:06
급성 류마티스열을 앓고 난 뒤에 생기기 때문에 류마티스성이라고 지칭합니다.
심장에 있는 판막에 석회침착이 생기는 건데 가장 많이 생기는 건 승모판 협착, 그 다음이 대동맥판 협착입니다. 이 두 판막에 협착이 생기면 좌심방과 좌심실에 많은 부하가 걸립니다. 증상은 주로 호흡곤란들이겠구요. 환자 스스로 할 수 있는 관리법은 특별한 게 없습니다. 일단 안정을 취하는 게 최우선일테고. 저염분식이같은 게 심장의 부하를 줄이는 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 내과적 치료로도 잘 관리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사의 지시에 잘 따르시고 약을 처방받게 된다면 잘 챙겨드시도록 신경써주세요. 여담으로 이러한 판막질환이 생기면 안면홍조에 호흡곤란, 상기감 등이 나타나 갱년기 증상과 혼동할 수도 있습니다.
12/01/19 19:08
류마티스성 판막 질환이라는 용어는 류마티스에 의한 판막의 질환 정도로 해석할 수 있겠습니다. 즉.. 어떤 판막이 어떻게 안좋다는 용어라기보다는 판막에 문제가 생기셨는데 그 이유가 류마티스성이라는 것이지요.
사람 심장 순환은 우심방-(삼첨판)-우심실(폐동맥판)-폐동맥-폐-폐정맥-좌심방-(승모판)-좌심실-(대동맥판)-대동맥 으로 이어지게 되는데 이렇게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나간 피가 전신으로 흘러 산소를 공급하게 되지요. 숭문판이라는게 아마 승모판을 말하는것 같고 류마티스성 심질환에서 승모판이 가장 잘 침범된다고 알고있습니다. 승모판과 대동맥판이 협착되셨다면 심장내에 피가흐르는 중요한 길목이 좁아지셨다고 생각하시면 쉽겠습니다. 그 정도가 심해지면 피가 순환되는데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심장은 나름대로 그것을 보상하기 위해 좀 더 강하게 펌프질을 하다보면 심장근육이 비대해지고 또 그로인해 순환이 더욱 되지 않는 악순환이 될 수 있습니다. 아마도.. 치료법이 있다기 보다는 고혈압이나 당뇨등을 조절하시면서 주기적으로 검사를 받아 관찰하는 정도가 전부 일 듯 하며 일정수준 악화되게 되면 수술적인방법(판막치환술)이 필요할 수도 있을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올해 국시를 본 꼬꼬마이기때문에 대략적으로 아는정도만, 어찌어찌 될 수도 있다 정도를 말씀드린것이고 질병의 경과나 예후 치료법등은 전문의 선생님들에게 정확히 들으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