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1/20 00:16
관심있는 쪽인 게임이론에 대해서 말씀드릴게요. :)
전개형게임트리 만드신것은 제대로 만드셨습니다. 여기서 전략의 개념에 대해서 조금 잘못 알고 계신데요. 사실 이게 원론에서는 다룰 내용이 아닌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원론에서 전개형 게임의 전략의 개수를 가르치는건 제 학교에서는 못 봤네요. 봉창님의 교수님께서 말씀하신 것이 맞습니다. 봉창님께서는 A가 1,2,3을 각각 제안할때 승낙, 거절을 해서 3X2로 6가지로 계산하신것 같은데요. 실제로 게임이론에서의 하나의 전략은 교수님께서 말씀하신데로 실제로 일어나지 않았더라도 내가 취했을 행동을 모두 계산합니다. 그러므로 하나의 전략을 예로 든다면 (P1이 1을 제안했을 경우 승낙, P1이 2를 제안했을 경우 승낙, P1이 3을 제안했을 경우 거절) 이렇게 됩니다. 즉, 이런 전략 하나를 채택하고 게임에 임하는 것입니다. (승낙,승낙,승낙), (승낙,승낙,거절), (승낙,거절,승낙), ... , (거절,거절,거절) 이렇게 8가지가 총전략의 개수입니다.
12/01/20 00:18
신빙성있는 내쉬균형은 봉창님께서 말씀하신대로 1개제안, 무조건 승낙이 맞습니다.
보다 정확히 말하자면 P1의 전략 : 1개 제안 P2의 전략 : P1이 1개를 제안했을 경우 승낙, P1이 2개를 제안했을 경우 승낙, P1이 3개를 제안했을 경우 승낙. 이 완전 균형이 됩니다.
12/01/20 00:22
그리고 내쉬균형은 저 전개형게임을 전략형 게임으로 바꾸어서 해야하는데요. 이건 복잡하지 않지만 적기가 힘드네요. 내쉬균형만 적으면 더 알아보기 힘들것 같지만 적어보겠습니다.
(1개 제안/ 무조건 승낙) (1개 제안/ 1개나 2개를 제안할 경우 승낙, 3개는 거부) (1개 제안/ 1개나 3개를 제안할 경우 승낙, 2개는 거부) (1개 제안/ 1개를 제안할 경우 승낙, 2개나 3개는 거부) (2개 제안/ 1개를 제안할 경우에는 거부, 2개나 3개는 승낙) (2개 제안/ 1개나 3개를 제안할 경우 거부, 2개는 승낙) (3개 제안/ 1개나 2개를 제안할 경우 거부, 3개는 승낙) 이렇게 7가지가 내쉬균형이 됩니다. 원론에서 이정도 수준을 다룰것 같지는 않은데 이상하네요 -_-;;
12/01/20 00:23
전략의 개수에 대해서 본문에서 언급하신
[B의 전략이 (1개 승락하고 2개 승락하고 3개 승락), (1개 승락하고 2개 승락하고 3개 거절) 이런 식으로 되는건가요? 이런식으로 생각하면 엄청 많아질 것 같은데..] 이 부분이 맞습니다. 그래서 경우의 수가 조금만 늘어나도 전략의 개수는 천문학적으로 많아져요..
12/01/20 00:35
그래서 교수님께서 책에서는 관찰가능하지 않은 균형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는데 가르쳐주신 거였군요..
제가 경제학과도 아니라서 그냥 가르쳐주는 대로 받아적고 공부를 한건데.. 이게 원론수준을 뛰어넘는 건지 어떤 건지는 판단할 생각조차 안해봤네요.. 아무튼 정말 감사합니다.
12/01/20 00:55
우와... 앞으로 피지알에서 경제학 질문 올라오면 답변 달지 말아야겠습니다. 얼굴이 화끈 거립니다. 퀄리티가 ^^;;
그래도 답변 다는게 재미있으니까 흐.. 첫 번째 문제에서 혼동하지 말아야 할 부분은 회사가 연봉 10만달러를 제외하고 정상이윤을 50만달러 얻었다는 것입니다. 다른 요소비용에 대한 언급이 없으므로 이윤은 10만달러+정상이윤 50만달러 = 60만달러입니다. 1개의 특출난 기업은 100만달러의 이윤을 보고 있으며 이는 40만달러가 증가한 것입니다. 따라서 디자이너들의 전용수입 10만달러에 경제적 지대 40만달러를 더하면 특출난 기업의 디자이너 연봉은 50만 달러가 맞습니다. [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