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08/31 19:01
저 같은 경우에 그냥 그거 나오믄 틀리고 치우자고 했었던...
빛관련해서는 광전효과였던가?? 그거만 공부하고 넘겼었죠..;;
06/08/31 19:33
그 파트가 맨마지막에 나오는데 맨 마지막에 나오는 파트 치고 비중이 매우 적은 편이기도 하고.. 종로월례부터 수능까지 공식만 철저히 외우고 그 공식에 들어가는 변수의 의미만 잘 파악해놓아도 95%의 문제는 풀리더라구요. 수능에선 한문제정도는 꼭 나오긴 하던데.. 저도 대충넘어갔던 기억이;;
06/08/31 19:38
-_- <- 광자파트가 가장 쉬웠어요.......-.-
콤프턴효과니 드브로이효과니 그냥 이해만 하고 가뿐히 외워 주세요.. 빛의 이중성만 이해하면 쉬울텐데 ㅡ.ㅡ 그리고 그림은 외우시던가 이해 주세요..거기 파트가 원래 그래요.. 아참 그리고 앞부분이랑 많이 연관됩니다.... 혹시 이과시면 물리2 들으시나요? 라이먼계열 발머계열 하면서 나오는 광자파트 듣다보면 물리1은 그으냥 이해 되용 ㅇㅇ/ 참고로 전 빛의 간섭 부분이 가장 어렵던데 ㅠㅠ .....2005년수능 물리1등급이.....ㅠㅠ
06/08/31 19:47
선생님들한테 설명을 듣지 말고 그 쪽에 관한 책을 읽어보십시오. 그 부분은 그렇게 이해하는 게 더 좋습니다. 과학자들이 왜 고민을 했고 어떤 해결책들을 찾아냈는지.....
06/08/31 19:52
과학자들은 양자역학이 나오기 전에는 파동하고 입자가 서로 전혀 상관없는 현상인줄 알았습니다.
파동은 물결이나 소리 같은 매질의 흔들림으로 에너지가 전달되는 과정이고, 입자는 원자 같은 게 모여서 이루어진 것이었으니까요 그런데 과연 빛은 파동이냐 입자냐? 옛날 과학자들은 이게 궁금했던 겁니다. 그래서 실험을 하고 가설을 세우고 했습니다. 일단 간섭 실험을 통해서 빛이 파동이다! 라는 게 정설이 됐습니다. 그런데 광전효과가 발견된 겁니다. 이게 웃긴게 빛에 의한 현상인데 파동으로는 설명이 안됩니다. -_-; 그래서 다들 고민했습니다. 이거 왜 그러지? 그래서 아인슈타인이 아주 엽기적인 해답을 내놓습니다. 아인슈타인은 이걸로 노벨상도 받았습니다. 아인슈타인은 "빛은 입자의 성질도 가지고 있다!" 라고 주장합니다. 그리고 그 설명을 받아들이면 광전효과가 아주 잘 설명이 되죠. 그러자 과학자들은 혼란스러워 합니다. 뭐냐 빛은 그럼 입자냐? 간섭은 어떻게 설명해? 그러자 아인슈타인은 '빛은 둘 다야. 파동이면서 입자야 ' 라고 얘기합니다.
06/08/31 19:57
과학자들이 미심쩍어 하면서도 아인슈타인의 아이디어를 받아들이고 잇을 때, 이번엔 드 브로이가 주장합니다.
"빛 너만 특별한 줄 아냐? 너만 파동이면서 입자가 아니다. 다른 입자들도 파동이다" 네 이제 완전 패닉인 겁니다. -_-; 이로써 입자와 파동의 구분은 무의미해졌죠. 우리는 똑같은 현상을 다르게 보고 있던 것이었습니다. 이 발견들로 인해서 양자역학이 발견되었고 우리가 고전역학으로 설명할 수 없었던 수많은 현상을 설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지금 쓰고 있는 컴퓨터도 양자역학에 매우 크게 빚지고 있죠... 알고 보면 재밋는 세계입니다. ^^
06/08/31 20:17
(주)과학과문화 '양자역학의 모험' 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꽤 두껍긴한데 그림이 대부분이고, A라는 사람이 B에게 대화형식으로 한마디씩 설명해주는 식으로 계속 써져있기때문에 이해도 쉽고 보기에 전혀 부담없는 책입니다. 저같은경우 이 책을 보고나서 양자역학에 대한 기초개념을 많이 잡았었습니다. 두껍긴하지만 다 볼 필요는 없구요, 한 100페이지정도만 술술 넘겨봐도 어느정도 입자와 파동, 빛의 이중성, 양자역학의 기초 등등에 대한 개념이 잡힐겁니다. (100페이지가 무슨 국사책같은게 아니라 말했듯이 만화책같은 구성이라 금방 봅니다.) 어렵다기보다는 기존에 배웠던 뉴턴역학과는 전혀 생소해보이는 내용이 나오기때문에 이게뭐지 하고 느낄수있고, 선생님들이 강조를 안하시는 이유는 사실 이부분에서 그다지 어려운 문제가 출제되지는 않기 때문일꺼 같네요. 그냥 제가 괜찮게 봤던 책이라 추천해봅니다 ^^
06/08/31 20:51
저는 EBS에서 개념총집합이란 강의를 듣고 쉽게 이해했던 기억이 있는데 올해강의구요 선생님 이름은 정진선선생님이구요, 저도 첨에 이해가 잘 안가서 그 부분만 들었었는데 도움이 많이 됐었어요
06/08/31 21:02
물리2 하는 사람이라면 그다지 어려움없이 이해를 할 수 있을텐데 아쉽네요.. 그 부분은 지금 교육과정의 폐해가 아닐지 싶습니다. 정지전압부분은 전기장을 이해하면 쉽게 알 수 있는 부분인 것 같은데 말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