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1/16 22:27
애초에 과목들도 쉽지 않고..양도 많죠..막연히 어렵고 많은게 아니라 하면할수록 더 알아야 될 부분이 나오고 잊어버리는부분도 나오고 심리적충격도 꾀 큽니다..또 1년단위로 시험시행이 잡혀있기에 한번 삐끗하면 1년동안 다시 준비해야하고..고등고시대부분2차도 있기때문에 2차의 어려움은 말로표현하긴 좀 그렇고...남들만큼 공부하고 서술형 시험봐도 교수의 채점기준에 따라 당락이 결정되는 경우나 한과목이라도 일정점수가 되지않으면 전체평균이 아무리 좋아도 불합격인점도 있겠죠..
공부난이도+시험시행제도등등 여러요소가 있겠네요;; 너무 추상적인가요;;^^;
07/01/16 22:28
분량이 많아요. --;
게다가 고등학교 시험처럼 딱 부러지는 답이 존재하는 문제가 아닙니다. 상대평가이니 열심히 한다고 다 되는건 아니죠. 우리나라 머리 좋은 사람들 다 모여서 경쟁하는거니까요. 성공하면 좋은거지만 실패하면 남는 거라곤 아무것도 없죠. 그야말로 올인......
07/01/16 22:58
똑똑한 애들은 3년정도 바짝해서 대학졸업하기도전에 붙습니다. 2년반공부하고 작년에 행시합격한 제친구(83년생)말로는 공부할량이 많은건 사실이나 다 하기나름이라는군요. 젤 중요한건 공부량 보단 공부방법이라는것..
07/01/16 23:10
공부 양 많고, 어려운데다가, 나름 실력에 자신있는 인재들이 주로 응시하고, 거기다 상대평가에 경쟁률도 높으니... 말 다했죠 -_-
07/01/16 23:15
분량은 엄청나게 많고 난이도도 어렵고 경쟁자들의 수준도 최고 수준이죠. 사법시험의 경우 봐야할 책 쌓으면 본인 키 정도는 가볍게 넘고도 한참 남을 듯 합니다. 그것도 빠삭하게 다 알아야 하니까요. 통상적으로 행정고시가 고등고시류 중에서 제일 분량이 적은 편인데, 그래도 몇 년 씩 걸립니다.
07/01/16 23:29
국가 최고 고시인 만큼 -고위 공무원 난이도가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일단 분량면에서도 윗분 들이 말씀하신대로 기본서와 문제집 판례등을 보아야 하며 학설도 두드러진 것이 아닌, 대부분 대립되는 입장에 있기에 머릿속에 잘 간추려서 이해를 해야 하고 또한, 시험에서 교재에 나온 내용이 아닌, 판례에 곁들인 형태로 출제되는 경향을 보이기에 단순한 암기가 아닌 폭넓고 깊은 이해를 갖추어야 한다는 점이 어려운 이유입니다. 또한, 고등고시인 만큼 상대평가이기에 경쟁률이 높고 수험량- 운이 따라주긴 해야 하지만 에 따라 결정되기에 수험량을 높이기 위한 학습의 축적이 있어야 하며 동시에 문제의 출제 방향을 알기위해 공부 뿐만 아닌, 중요한 정책이나 사회 경향을 살펴보아야 하며 동시에 몸의 컨디션을 조절하여 장기적인 레이스에 대비해야 하는 등 다각도로 많은 준비를 갖추어야 하는 어려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