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1/27 00:30
1. www.threewar.com 추천입니다. 공략, 각종 설명 아주 잘되어있습니다.
2. 적의 레벨이 우리 군대의 평균레벨에 근거해서 산출되기에 노가다는 할 필요없습니다. 3. 레벨을 천천히 올릴수록 게임에서 상대적으로 이득을 보게 되어있습니다. (적의 장비 레벨때문에)
07/01/27 00:48
앗 저도 몇년만에 조조전 다시 시작한 참이에요
저는 키울 케릭터 정하는거 없이 진행만 쭉 하다보니 항상 같은케릭터들 레벨만 높아지더군요 -_- 일단 초반부터 기병 하후돈한테 적당히 몰아주기를 추천합니다 후반에 방천화극+거울갑옷(+옥쇄) 하후돈이 적 평균레벨보다 5~15는 높게 잡혀있다면 정말 수월해져요 출진장수 모두의 레벨 평균에 따라 적의 레벨이 어느정도 결정되기때문에 적진을 휩쓸수있는 여건이 되죠 전위 초선은 항상 둘다 키우게되네요...둘다 공격회피가 엄청 뛰어납니다 기병은 하후돈 장료에 궁기병계는 어쩌다보니 하후연, 조비, 장합을 다 끌고 다닙니다만...이건 좀 아닌것같고 궁병하나 키우시기를 -_-(느리다고 안데려갔더니 궁병 키워본 적이 없습니다...쩝) 보병은 초반에 이전정도를 키워나가는것도 좋지만 저는 후반에 방덕 나올때까지 노터치... 그리고 모두가 강추하는 유엽은 키워본 적이 없습니다-_-... 키우자고 마음먹어도 귀찮아서.......... 순유,곽가,순욱은 쭉 키워나갔고요 만총,정욱,가후는 적당히 후반에 데려나갔어요 마법 쓰는 클래스는 안키우다가 후반부에 데려나가도 레벨 따라잡는데 어려움이 없을겁니다 레벨 높은 우리편 소보급만 해도 그냥 레벨업 해버리니...-_- 조조전은 영걸전급의 '캐'노가다 없이도 진행하는데 어려움은 없을거에요 우리편 전체적인 레벨이 낮으면 적 레벨도 그만큼 낮춰지니까요 그래도 적 전멸하면서 우리편 레벨 높여가는거를 권하기는 하겠습니다 그리고 조조는 적당히 키운다에 한표 던질게요 데리고다니는 장수들중 하위 3명정도의 레벨이면 될것 같습니다 다양한 능력을 갖춘 클래스의 조조지만 차라리 저는 기병, 책사를 더 올리는걸 선호하거든요 (조조가 레벨이 낮아봤자 우리편 소보급하고 심심할때 풍진,화진 써주면 갑자기 오르는 레벨에 정신 못차립니다 -_- 적당히 놔둬도 금방 올라요)
07/01/27 01:12
1. 만총&순유는 둘 다 키워주시는게 편할겁니다.
2. 순욱&정욱은 둘중에 하나만 키워도 상관없습니다. 나중에 사마의도 나오는데다가.. 저는 정욱을 빼는 편입니다. 3. 곽가나 가후는 둘중에 하나만. 이것도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됩니다. 요술사 계열을 빼고 순욱정욱 둘다 키워도 됩니다. (사실 독연이 그렇게 좋은거 같진 않더군요) 4. 유엽은 개강추캐릭입니다. 뒤로갈수록 공성전의 경우 상대 대포차들이 짜증나는데다가.. -_- 옥새를 끼고 금화관포면 이건 뭐.. 한번에 세네마리씩 죽입니다. 5. 저는 전위는 항상 살려서 씁니다만.. 봉황깃옷 얻으려고 죽이시는 분들도 있더라구요. 전위는 웬만하면 살려서 쓰세요. 엄청난 회피력으로 방덕과 함께 몸빵역할을 톡톡히 할겁니다. 단, 물위에선 수적들의 탁류에 녹지만.. -_-;; 6. 초선은 키워도 되고 안키워도 됩니다만 키운다면 정말 무서운게 또 초선입니다. 박망파에서도 유용하게 쓰이고.. 나중에 이 현혹이 또 쏠쏠하죠. 7. 궁병, 궁기병계는 서황, 우금, 하후연, 장합, 조비가 있는데 이중에 한명만 키우면 됩니다. 하후연을 추천합니다. 사실이나 중간모드일때는 관우가 나오지 않으므로 서황까지 키워주셔도 좋습니다. 공격력이 그렇게 강력하진 않지만 엄청난 사거리로 많은 도움이 되죠. 8. 보병계는 조홍, 이전, 악진, 방덕이 있지만 방덕이 젤 낫더군요. 공격력도 가장 세고. 제가 다 키워봤는데 그냥 체력으로만 보면 이전이 가장 높습니다. (-_-) 뭐 그래봤자 40~50차이지만요. 9. 기병계는 하후돈, 조인, 장료, (관우) 가 있는데. 조인만 빼고 모두 키우세요. 10. 조조, 허저는 당연히 키워야겠죠? 11. 음.. 빼먹은게 잇나요? -_- 깬지 좀 오래됬더니..
07/01/27 01:47
2. 조조전은 분명히 노가다가 필요없는 게임입니다. 15,30 전후에서 상대방 장수와 레벨 차이가 나면 전직 때문에 그 체감 난이도가 배로 느껴지실 겁니다. 전위 살리는 판에서 가후, 장수이 렙 15가 넘어있을 때 엄청 괴롭더군요.^^
반면 장점도 있는데 책략계의 경우 고급 기술을 좀 더 빠른 타이밍에 쓸 수 있기에 렙 높을 수록 수월하게 풀어나갈 수 있습니다. 제가 주력 멤버를 포함한 '전 장수' 퇴각수 0에 레벨 50으로 게임을 마치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모든 게임 적군 최후 턴까지 남겨가며 미친듯이 노가다(복양 전투1,2에서 한 명 남겨 놓고 퇴각하기, 동탁 추격전, 박망파, 적벽 등 불리한 전장에서 전멸시키기 등)를 했는데 2명 빼고 전부 50되더군요. 나머지 둘 조홍이랑 조인이 47,49던가... 사실, 가상 다 깨 시작 레벨도 높고, 보물도감도 완성되있다 이러면 2장에서 뜨는 주작도 경험할 수 있을겁니다.
07/01/27 01:56
1. 그리고 제 15명 취향은 아래와 같습니다. 골고루 키우기.
보병, 궁병계가 상대적으로 키우기는 귀찮지만 잘 키워놓고 아템을 갖춰준다면 기병계>보병계>궁병계>기병계의 상성 활용에 정말 좋습니다. 매니아 분들은 보병 하나 빼고 책사계 하나 더 추천하시겠지만요. 또 책사들의 경우 효율적인 면에서는 분명 도사계보다 책사계가 낫지만 이것저것 스킬도 써볼겸(현무 스킬 재밌어요;;) 네 클래스 하나씩 키워보세요. 군주 : 조조 기병 : 하후돈, 장료, 조창(가상 모드 : 관우) 보병 : 이전, 방덕(죽일 때 : 악진) 무도가, 산적 : 전위(죽일 때 : 초선), 허저 궁병, 궁기병 : 서황, 하후연(죽일 때 : 장합) 책략 : 사마의, 순욱, 순유, 곽가(죽일 때 : 가후) 포차 : 유엽 3. 기본적으로 동렙에서 스킬이나 공격이 성공할 경우 경험치 10이 오릅니다. 렙 차이가 날 수록 많이 오르구요. 따라서 단순 공격보다 위험 부담이 덜 한 '책략'을 쓸 수 있는 장수들은 렙이 뒤쳐져도 따라잡기가 훨씬 쉽습니다. 조조 클래스 자체가 뭐든 중간은 한다는 군주계이니 그냥 평균 따라서 키워 놓으면 나쁠 건 없습니다. 전 오히려 키우는게 좋아요. 의천검 든 조조는 검들고 깡깡 소리 내며 막으니^^;;
07/01/27 02:23
제가 추천하는 캐릭터는..
군주 : 조조 기병 : 장료, 하후돈, 관우 보병 : 악진 - 방덕생기면 방덕으로 체인지 궁,궁기병 : 서황, 하후연, 장합 책사계열 : 만총, 순유, 순욱, 가후, 사마의 *저는 장합을 포차로 바꾸고 보병계는 방덕만 키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