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7/02/02 02:10:46
Name
Subject 학벌에 대한 열등감을 어떻게 떨쳐버릴 수 있을까요?
그냥.. 문득 답답해져서 새벽에 몇 자 적습니다.

저는 흔히들 얘기하는 서울 중하위권 대학에 재학중입니다.
02학번이구요, 군대 다녀왔고 이제 3학년으로 올라갑니다.
이번에 장학금도 탈정도로 학점 관리도 괜찮은 편이고, 교우관계도 원만한 편이고.. 대외적으로는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몇 달전부터 디씨에 각 학교의 게시판이 생기더군요.
워낙 스타를 좋아해서 피지알과 스겔을 자주 갔던 저였기에, 그리고 제가 다니고 있는 학교 게시판이 생겼다는 소리에 그때부터 디씨 학교 게시판을 자주 가게 되었습니다.

처음에는 그냥 정보나 얻자라는 생각이었는데.. 그 곳에 가보신 분은 알겠지만 익명성을 무기로 정말 많은 타학교에 대한 욕설과 비난이 난무하는 곳입니다.

철없는 나이 어린 고등학생들의 악의적인 글에도 괜히 발끈하는 저를 보며, 또 한편으로 타학교들을 무시하는 우리학교 학생들의 글을 보며 고개를 끄덕이는 저를 문득 느낀 순간.. 참 내가 이정도밖에 안되는 사람인가라는 생각마저 듭니다.
겨울방학, 이것저것 참 바쁘게 하루를 끝내고 집에와서 디씨 학교 게시판을 심하면 한시간 이상 둘러보는게 제 일상이 되었습니다. 참... 어이가 없습니다.

방금 즐겨찾기에서 디씨를 지웠습니다.
이대로 그 곳에 있다간 더 혼란감만 생길 것 같아서요..
그러나.. 그동안 그래도 괜찮은 학교라고 생각했던 제가 몸담고 있는 학교에 대한 열등감과 아쉬움이 남아버렸네요.

저 참.. 바보같죠? 나이도 이제 20 중반인데.. 하핫.
그냥.. 웃기네요 이런 글 쓰고 있는 저도.. 질문 글이라기보단 독백에 가까운 글이 되었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촉호파이
07/02/02 02:22
수정 아이콘
자신이 이런생각을 가지고 있는데 남이 조언한다고 해서
달라질까요? 일단 터무니없는 훌리들의 비방은 무시하세요
대학문턱도 못밟아본 고등학생들 참 많습니다 디씨 대학갤..
멋지게 성공하셔서 보란듯이 웃어주세요
가장확실한 방법이 아닐까 싶네요
막장재수
07/02/02 02:29
수정 아이콘
이런말이 있죠
1학년 서울대 이하 버로우
2학년 연고대 이하 버로우
3학년 인서울만 시켜주세요
잠자는숲속의
07/02/02 02:41
수정 아이콘
안타깝습니다.

물론 학교를 욕하거나 비하하는 그런 사람들이 너무나도 안타깝지만,
동시에 글쓴분의 생각도 조금은 안타깝습니다.

무엇보다, 그런 나이어린 생각하는 애들에게 이런 생각을 하시길 바랍니다.
"인서울 대학 들어가기 쉽지가 않단다 얘들아... 글구 남자애들아.. 군대가서 뺑이치고 나오면 다 똑같을거다..." 라구요.
그냥 웃어버리세요. DC의 개념없는 아해들은 자신의 무능함의 배설구로 DC를 이용하는 경우가 허다하지 않습니까^^.

물론 학벌이라는 하나의 기준이 우리나라에서 얼마나 큰 기준이 되는지는 저자신도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대학을 들어가신 목표가 무엇이었는지 다시한번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대학은 SPECIALTY를 키우기 위한 최상위교육기관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제 글쓴분은 하나의 전공을 깊이 파고 들어간 SPECIALIST가 되실 분입니다.
자신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세요. 자신이 남들보다 무엇하나라도 잘하는 것이 있다면 (전공에 관하여)
그것을 하나의 무기로 삼으시길 바랍니다.

제 개인적인 경험담을 하나 적을께요. (벌써 10년도 더된 이야기지만서두...흑)
제 전공은 Animal Science입니다. 동물과학... 나름 멋지네요.하하..
쉽게 말해서 축산과 입니다. 기피하는 과중 아마 1순위 아닐까요?
1학년 1학기때 일입니다. 첫 수업중 교수님께서
"우리과는 원래 축산과였다"라는 말씀에 40명중 대략 15명이 일어나 나가버리더군요.제가 과대였었기 때문에 누가 나갔는지 얼추 기억하고 있습니다. 다들 그런 생각이었나 보죠 (개인적 생각으로)
"내가 12년 (재수생은 몇년 더 추가...) 뼈빠지게 공부해서 축산과 가랴?"

저요? 솔직히 그때는 장담할 수 없었습니다. 저 자신도 약간은 실망했으니까요. 그러나 지금은?....

네, 저는 제 전공이 축산이었다는 것이 너무나 자랑스럽습니다.
할수만 있다면 나중에 축산과계열의 교수로서 임용되고 싶습니다.
현재 저는 유학중입니다. 분야는 조금은 다른 보건쪽(Public Health)쪽이지만, 세부전공이 영양(Nutrition)입니다. 이제 다음학기에 박사과정으로 들어갑니다.
저의 학사시절의 경험이요? 여기중 누가 치즈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어떤 쇠고기, 우유가 품질이 좋은건지... 아무도 모릅니다. 근데 저는 알죠. 전공이었으니까요!! 교수들도 저한테와서 물어봅니다. 어떤고기가 상태가 제일 좋니? 축산가공물들에 들어있는 첨가제중 어떤게 왜 필요하니?
자부심을 느낍니다. 그 자존심 강한 백인들도 저한테 만큼은 범접(?)할 수 없는 영역이 있으니까요.
축산을 전공한 보건학 전문가... 나름 의미가 전달 되었을까요?

개인적으로 남학교 비방하는 사람들 치고, 실생활 잘 해내는 사람, 전 별로 못봤습니다. 결국은 자신이 얼마만큼 하느냐를 보여주는 것이 제일이라고 생각하시고, 남은 대학생활 열심히 하시기 바랍니다.

사족으로, 어쩌다보니 글쓴분을 다그치는 듯한 글이 되어버렸군요.
너그럽게 용서해주시고, 힘내세요!
KimuraTakuya
07/02/02 03:39
수정 아이콘
서울대를 가지 않는 이상,, 학벌에 대한 자괴감은 누구나 가진다''' 라고 아시는 선생님이 말씀해주셨습니다,, 학벌도 중요하지만,, 자기가 얼마만큼의 능력을 가졌느냐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부신햇살
07/02/02 09:49
수정 아이콘
서울대를 다녀도 법경에 대한 열등감이 있는걸 보면...누구나 다 그런거 아닐까요?
FtOSSlOVE
07/02/02 09:58
수정 아이콘
서울대생도 학벌에 대한 열등감을 느끼기도 합니다.
어차피 다 상대적인 거에요.
세상속하나밖
07/02/02 10:25
수정 아이콘
막장재수님 리플 공감..... 에휴..
인서울도 못했으니...............................
에휴...
John Abruzzi
07/02/02 11:26
수정 아이콘
dc가봤는데 정말 심하죠
서울대생이 가다가 지방대생 때리면 어떻게 되나요? 이러고
07/02/02 12:14
수정 아이콘
성공만 하면됩니다
몽정가
07/02/03 00:05
수정 아이콘
자신의 가치를 올려 봅시다!
함께요!
지방대생...ㅠ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5299 중.고등학교 개학했나요? 용산e-스테디움에 자리 있을지 궁금합니다. [1] January1663 07/02/02 1663
25298 영어 잘 하시는분~ 영어 가사 해석 좀 도와주세요! 화려한프로토2017 07/02/02 2017
25295 납치사건???? [4] adel2151 07/02/02 2151
25294 대학 토익 강좌.. [1] 보라도리1570 07/02/02 1570
25293 컴퓨터가 자꾸 재부팅됩니다 [4] 캐리건을사랑2292 07/02/02 2292
25292 프린트 질문이요 Daylight1541 07/02/02 1541
25291 메인보드에 IDE커넥터 1개 이면 odd1개랑 ide하드 1개 부착 불가능인가요? [2] 성안길1867 07/02/02 1867
25290 USB 인식이 안 되요. [1] 천검살라딘=ㅁ=2094 07/02/02 2094
25287 my chemical romance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3] DeepImpact2099 07/02/02 2099
25286 대학가서 게임.... [3] 다음™2307 07/02/02 2307
25285 현재 v32007플래티넘을 사용하고 있는데, kaspersky 어떤가요? [6] 곰달수2240 07/02/02 2240
25284 학벌에 대한 열등감을 어떻게 떨쳐버릴 수 있을까요? [10] 4350 07/02/02 4350
25282 이번 msl 결승 시간과 장소 혹시 잡혔나요? Kim_toss1539 07/02/02 1539
25281 논술 준비 어떻게해야하나요? [2] 두꺼비사냥꾼1699 07/02/02 1699
25280 자기만의 공부방법을 갖고있는 분들이 계신가요? [11] 그대만바라볼1998 07/02/01 1998
25279 중국어냐....일본어냐..... [31] IloveAuroRa3807 07/02/01 3807
25278 곰플레이어 질문이요 [1] 찰스왈왈2062 07/02/02 2062
25277 디카 파나소닉 FX07 구입하려고해요. [2] 꽃을든남자1565 07/02/01 1565
25276 팝송을 클래식 기타로 편곡한 책을 구할수 있나요? 군대가기 싫어2095 07/02/01 2095
25275 토론게시판의 대선구도 글을 보고 궁금한점. [3] 애무부장관1556 07/02/01 1556
25274 mbcgame vod 보기가 잘 안되네요.. 쿠럇토™2128 07/02/01 2128
25273 테란을 할때 기억해야 할것은 뭐가 있을까요.. [4] 섬전양상1398 07/02/01 1398
25271 이정도 사양에 가능한 게임을 알고 싶습니다 [3] 불타는 저글링1915 07/02/01 19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