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5/17 01:26
예전에 낙태에 관해 태아를 생명으로 봐야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펼친적이 있었습니다.
저는 태아로 봐야한다고 생각했는데, 교수님께서는 제게 태아로 봐서는 안되는 쪽 주장을 해보라고 하셨습니다. (논술을 쓴다기 보다는 서로 증거자료를 준비해와서 토론을 하는 방법이었습니다.) 제 경우가 도움이 될지는 모르겠지만, 내가 만약 태아를 생명체로 본다고 주장하였을때에 존재하는 아킬레스건을 전 집요하게 물고 파헤쳤습니다. 논술과 토론을 할 때 어떻게 보면 치사해 보일지도 모르겠지만, 자신의 약점을 감추고 상대방의 약점을 극대화 시키는 방법이 아직은 순수한(?) 대학생들을 상대로 토론하기에는 좋은 방법이었습니다.
07/05/17 01:38
제 경험으로 가장 난감했던 논제가 전쟁찬성론자의 입장에서 전쟁반대론자의 입장을 비판하여라는 논제였는데,차마 전쟁찬성론자의 입장이 될수가 없어서 양비론을 펼쳤습니다. 결과는 선생님한테 많이 깨졌구요.
어떤 친구는 인구감축효과가 있다는 논거로 상당한 호평을 받았다죠.
07/05/17 09:43
논술은.. 자기 의견을 개진하는 능력을 선보이는게 아닙니다.
한마디로 자기 의견이 어떻든, 그냥 옆으로 밀어 놓고 "객관적"인 사실을 끌어내 주관성을 객관성으로 만드는게 논술입니다. 천하님이 말씀하셨든, 아무리 상식적으로 말도 안되는 주장이라도, 객관적인 근거가 그것을 받혀준다면 되는게 논술.
07/05/17 11:02
윗분들이 얘기하신대로 논술은 님의 의견이 옳은가 그른가를 평가하는 것이 아닐겁니다.
어떤 주장을 얼마나 논리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가를 보는 것이죠. 님이 그 의견에 찬성하는가 반대하는가와 관계없이, 의견을 논리적으로 펼치는 능력이 중요한 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