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11/17 11:40
과에 따라 틀리겠죠 무슨과세요?
실험실 하는거 보니까 이공계 쪽이신듯 하는데 학부생이 정식 저널에 논문내는것은 굉장히 어렵습니다.. 일단 교수님 ok 시키는것이 중요하겠군요
07/11/17 13:23
생각보다 어려울겁니다.
이미 발표되지 않은 주제여야 하며(그러기 위해선 어떠한 것이 발표되었는지 안되었는지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증거데이터의 확보를 위한 실험등..................공대학부생이 논문쓰는건 쉬운게 아닐겁니다.
07/11/17 14:55
학부생 때는 주로 선배들이 하는 연구를 도우면서 배우기만 하게 됩니다. 자기가 직접 주제를 잡아서 이끌어 가는 경우는 극히 드물죠. 그렇기 때문에 혹시 논문에 이름이 들어가더라도 도와준 선배가 첫번째 저자 (선배가 직접 쓰시겠죠)가 되고 두번째나 세번째 저자에 이름이 들어가는 경우는 있을 수 있습니다. 이것도 쓰는 거라면 쓸 수는 있죠.
하지만 첫번째 저자로 논문을 쓰기에는 학부생은 많이 부족합니다. 캐리어님이 적어주신 대로, 일단 선행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알아봐야 하고, 비슷한 분야에서 자신의 논문이 어떤 차이점을 가지는지 부각시킬 수 있어야 하고, 결정적으로 논문 하나를 쓰기 위해 실험 시간이 상당히 많이 들어갑니다. 학부 때 수업을 들으면서 잠깐씩 실험실에 들르는 정도로 하기에는 매우 벅찹니다. 석사 2년을 하면서도 논문 하나 낼락말락하는 경우가 많은걸요. 물론 분야에 따라 다르긴 합니다만.
07/11/17 15:11
실험실이라면 랩실이겠죠?
저희 학과를 기준으로 하면 보통 학부생때는 3학년때 랩실을 배정받는데 2학년때면 엄청 빠르네요 본론으로 들어가면 학부생과정에서 정식으로 논문을 쓴다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 3학년때 실습과목 중간고사프로젝트로 조별,개별 논문을 썼었는데 한 일주일 걸리더군요 물론 실험자체가 불가능했고 시간적여유가 없어서 각자 실험에 대한 주제를 설정 가상실험후 결과 예측 결과값의 오차를 반드시 넣어주고 왜 그런 결과가 나왔는지에 대한 고찰 이런식으로 썼었는데도 거의 일주일동안 엄청 힘들더군요 논문 형식자체의 어려움도 있고 또 물성치와 같은 고유값은 참고자료를 찾아가면서 해야하다 보니 학부생에게는 무리인듯 싶습니다. 물론 졸업작품대체용으로 하는 경우에는 조금 다른 경우겠지만요 또 랩실 생활이라는게 실습이나 작품을 위한 경우는 좋지만 개인적인 공부를 위해서는 오히려 마이너스효과일수도 있습니다(물론 타인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잘하시는 분들도 있습니다). 제 경험상 실험실생활은 공동작업 혹은 연구시간에만 있고 개인공부는 도서관가서 하는 게 좋을 듯 싶네요
07/11/17 15:51
국내 학술지라면야 뭐 학부생이라도 1저자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미리 국내에 발표된 상태만 아니라면야 연구실에서 기존의 연구 주제 하나 따라가면서 배운뒤 스스로 결과만들어서 발표하면 되죠. SCI 하위급이라면 적어도 논문에서 내세울 만한 독창적인 무언가가 한 가지는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에 학부수준에서는 어렵습니다. 영어실력도 어느정도 갖춰야 하기 때문에 좋은 데는 무리고 석사 기간에 최하위 SCI 수준이라면야 어느정도 노려볼 만 합니다. 단, 논문작성 목적으로 개설된 '테크니컬 라이팅' 과목을 충분히 공부하고 좋은 교수님을 만나면 SCI 상위급도 가능합니다. 교수님이 IEEE Fellow시고 학생을 가르치는 열정이 충분하며, 본인이 잘 따라 갈 수 있다면 석사 2년 기간에서도 IEEE Transaction에도 내는것이 가능합니다. 단 이런 교수님들은 꽤 유명하기 때문에 연구실에 들어가는 것 자체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 외의 경우 IEEE Transaction 이상에 내려고 한다면 박사코스 밟는것은 거의 필수입니다.
07/11/17 20:51
졸업논문은 머죠..? 졸업할때 논문 써야하는거 아닌가요.?? 물론 12학년땐 이제 논문 쓴다는거 안된다는거 알겟지만 4학년도 못쓰나요?
07/11/17 21:37
졸업논문은 학교마다 다른가 보네요 저희 같은 경우는 3학년때 공학설계(주제에 따라서 졸업작품이랑 동급인 경우도 많습니다)를 하고
4학년때 졸업설계를 하는 방식입니다. 물론 경영학부같은 계열은 졸업논문으로 심사합니다. 저의 경우 기계공학부이다 보니 차량제작이나 MAV이런 종류의 졸작을 합니다. 차량제작의 경우 학기중에 대회가 있는 경우 학과공부는 거의 포기상태로 하더군요. 이러한 졸업작품을 하게 되면 졸업논문은 제외가 됩니다. 단 졸업작품팀에 참가할 수 없거나 개인적인 사정이 있는경우에 한해서 졸업논문을 대체하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4학년중 한학기만 남고 복학하거나 팀구성이 어려울 때에 한해서만 졸업논문을 씁니다. 어떤게 더 편한지는 잘 모르겠지만 졸업작품은 실질적인 아웃풋이 나와야 하기 때문에 힘들더군요. '리플의 신'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