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12/21 01:30
일단 이런 종류의 문제를 잘 풀기 위해서는 주어진 내용을 단순화시키고
글쓴이의 근거와 주장이 무언지를 먼저 파악해야 합니다. 기존의 주장은 남성 라커룸에 남성 기자는 출입 허용, 여성 기자는 출입 불가 1)--> 성차별 2)--> 여성 기자의 남성 라커룸 출입을 허용해야 한다. 글쓴이는 이 주장을 반박하기 위해 첫번째 연결고리가 잘못되어 있음을 주장하는 것입니다. 글쓴이의 주장은 여성 라커룸에 남성 기자는 출입 불가이므로 남성 라커룸에 여성 기자 출입 불가는 성차별이 아니다. 이런 경우 숨은 전제를 찾으라는 문제는 그 전제의 옳고 그름에 상관없이 어떤 전제가 추가된다면 (옳다는 가정하에) 글쓴이의 주장이 좀 더 그럴듯하게 들리는지를 알아내는 문제입니다. 아마도 여기서는 크게 두 가지의 경우로 나눌 수가 있는데 1) 기존의 주장을 약화시키는 경우 숨은 전제는 "동일 행위가 단지 하나의 성에 허용된다는 사실은 성차별의 증거로서 불충분하다." 즉 이 전제가 참이라면 기존의 주장의 신빙성이 떨어집니다. 2) 자신의 주장을 강화시키는 경우 숨은 전제는 "성차별은 하나의 성이 다른 성에 대해 하는 행위의 허용 여부에 비대칭성이 있을 때만 주장될 수 있다." 즉 이 전제가 참이라면 자신의 주장의 신빙성이 높아집니다 (동시에 기존의 주장의 신빙성이 떨어집니다). 이 경우가 앞 선 경우보다 좀 더 전제가 강력합니다 (따라서 참이기를 보일 가능성이 떨어집니다). 이런 문제의 포인트는 숨은 전제가 참일 필요가 없다는데 있습니다. 단지 전제가 참일 경우 글쓴이의 주장을 보다 강화시키는 그 어떤 것을 찾으시기만 하시면 됩니다. 보통의 경우 글쓴이가 사용한 구체적인 예를 정당화시키는 보다 일반적인 주장 또는 표현을 찾으시면 됩니다. 한가지 덧불이자면 나중에 혹시 GMAT 공부하실 일 있으시면 이런 종류의 문제를 Critical Reasoning 섹션에서 많이 보게 될 겁니다.
07/12/21 01:43
부연해서 풀어 쓰자면
1)의 경우 우리 모두가 알다싶이 (논쟁할 때 요런 표현 자주 쓰죠^^) 동일 행위가 단지 하나의 성에 허용된다는 사실만으로 성차별의 증거로서 불충분하잖아. 따라서 남성 라커룸에 남성 기자는 출입 허용, 여성 기자는 출입 불가라는 사실 만을 가지고 성차별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좀 무리가 있지 않을까? 2)의 경우 성차별이란 모름지기 하나의 성이 다른 성에 대해 하는 행위의 허용 여부에 비대칭성이 있을 때만 성립될 수 있는 거거든 따라서 남성 라커룸에 여성 기자 출입 불가가 성차별이 되는 지를 알기 위해서는 여성 라커룸에 남성 기자가 출입 가능한 지를 살펴 보아야 해. 그런데 우리 모두 알다시피 여성 라커룸에 남성 기자는 출입 불가능하거든. 따라서 남성 라커룸에 여성 기자 출입 불가는 성차별이 될 수 없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