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1/03 01:19
작년에 편입한 학생으로써 말씀드리자면...
무조건 학원 가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수학, 영어 전부 편입시험과 다른시험은 유형이 많이 다르기 때문에 편입전문학원에서 공부하시는게 좋을거라 생각합니다. 어느정도 수준의 학교를 가실건지는 모르겠지만 서울 안쪽 대학들은 쉽게 가기 힘들어요. 제가 알기로 이름있는 대학들은 학점은행제 평점 4.2 이상(~4.3이상), 영어시험 만점에서 1~2개 정도, 면접도 잘 보아야 합격할수 있는걸로 압니다. 게다가 TO가 얼마나 날지 모르니... 수도권대학들은 커트라인이 훨씬 낮겠지요 = )
08/01/03 01:43
컴공과에 가고싶다니 도움이 될지 모르겠네요;;
서울 상위권 대학 문과는 모집자체가 적어서 편입이 수능보다 어렵다고 까지 말할수있습니다.. 고대 경영 같은경우는 뉴욕대 다니다가 귀국한분이 쓴 원서가 인터넷에 돌아다녔던적도 있으니까요.. 거긴 문제 풀때 신이 내려야 가는곳입니다. 반면 자연계같은경우는 좀 덜한데, 연대 고대 경희대 산업대 시립대 의 경우는 전공을 가늠하는 시험이 있습니다. 연대 산업대 시립대의 경우는 그냥 전공시험만 보기 때문에 전공을 잘해야합니다. 컴공이시니 하는말이지만 저곳을 가려면 컴퓨터 과학개론 컴퓨터 구조 c언어 자료구조 알고리즘 정도는 패스해야 시험볼수있습니다. 1,2학년 과정이니까요.. 수학의 경우는 고등학교 수학이 아닌 공업대학교 과정의 수학입니다. 미분 적분 중적분 미분방적식 선형대수 공업수학 이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이건 답이 없습니다. 강의 없이는 불가능한데 강의를 오프로 듣느냐 온라인으로 듣느냐는 님의 선택에 달렸습니다. 시험자체는 어렵지 않지만 학문자체가 쉽지 않기때문에 좀 황당할겁니다.(숫자보다 기호가 많은 수학을하게됩니다.) 수학을 보는 학교는 중앙대 한양대 숭실대 세종대 홍익대 서강대 인하대 아주대 등이 있고 몇몇 학교는 수학시험을 따로 보진 않지만 면접때 수학문제를 풀게 할수도 있습니다. 또한 상명대 건대 동국대 몇몇과의 경우 수학을 요구하지만 컴공이면 상관이 없겠네요. 학교마다 모두 전형이 다릅니다만;; 대충 요약해보자면 영어 전형과 영어+수학 전형이 있으며 수학은 강의없이 불가능합니다. 강의를 온라인으로 듣느냐 오프라인으로 듣느냐의 차이만 있을뿐 혼자서는 불가능하므로 학원에가서 상담을 받아보시구요. 영어는 혼자서 그냥저냥 할만합니다만, 님의 실력이 어느정도냐에 따라 다릅니다. 토익 rc 450점이 넘어가는 실력이시라면 그냥 단어만 외우시고 기출문제 풀면서 문법실력만 좀 키우면 됩니다. 하지만, 저정도가 안된다면 학원에 다니시길 권합니다. 처음에 두달정도는 학원다니시는게 좋습니다. 산업대 시립대는 토익+전공시험 이며 연대는 전공시험 고대는 영어+전공시험 입니다. 중앙 한양 아주 숭실 서강 세종 인하 는 수학+영어 시험입니다. 이공계통은 수학이 계속 추가되는 추세라서 내년에는 수학을 보는학교가 더 늘어날것입니다. 한줄요약 학원가서 상담 ㄱ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