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8/01/18 20:13:12
Name 솔직한사람
Subject 고2 이과생 과학
올해 고2가 되는데요, 독학합니다,
물화생지 공부를 어떻게 할지 고민이 되네요
일단 책을 사야하는데 참고서나 문제집 아무거나 추천좀 해주세요
그리고 지구과학은 정말 필요없다는데 안해도 무방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1/18 20:19
수정 아이콘
이제 졸업하는 고3 학생인데요.
물1 화1 생1 지1 중에 대부분 학생들이 1과목을 세개 고르는거 맞구요, 내신이 문제가 아니라면, 물1 화1 생1 지1 중에
필요 없는 한 과목을 버리셔도 됩니다. 대부분의 대학 들이 과학을 세과목을 보기때문에 몇몇 학생들은 두과목을 버리고
물2 화2 생2 지2 중 택1 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안정적인 선택은 1과목 3개 2과목 1개를 모두 대비하시는것이 안정적입니다.
지1이 싫으시다면 지1 을 포기해도 되구요, 난이도는 지1과 생1이 같거나 지1이 쉽고 화1 물1 순서인듯 합니다.
Nothing better
08/01/18 20:26
수정 아이콘
학교에서 하는 세과목만 하세요 이왕이면 내신이랑 수능 같이할수 있으면 좋죠
08/01/18 20:37
수정 아이콘
고2라면 어차피 내신으로 물1/화1/생1/지1 을 다 배울테니 다 해보다가 한과목이 영 자신없다싶으면 버리세요
경험상 물1은 과목이 싫어서 버리는 경우가 대다수이고, 화1/생1은 버리는사람이 드물지만 버린다면 역시 마찬가지 이유일것이고,
지1은 과목이 싫어서라기보단 뭘버려도 상관없을때(즉 4과목 전부 다 자신있을때) 버리는 경우가 많더군요
참고로 자신이 가고자하는 과도 생각해보세요.. 예를들어 공대가려고하면서 물2는 커녕 물1부터 버려버린다면 정말 고생하게될겁니다
아, 그리고 소위말하는 서연고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대학은 1만 4개쳐도 무방합니다. 꼭 2를 칠필요는 없어요 (이것도 자신이 목표한 대학을 보면서 선택하시길)
08/01/18 20:45
수정 아이콘
난이도는 지>생>화>물 이죠...
아 근데 물리는 개인에 따라 편차가 크더군요.
아예 손도 못대는 학생이 있는가하면(주로 여학생들), 아니면 공부 따로 안해도 룰루랄라 50점 찍는애들...

지구과학은 올플딕이 제일 좋습니다.(그나마) 아니면 숨마쿰라우데도 좀 좋구요.
생물, 화학은 하이탑이 대세인데 올플딕도 좋습니다.
물리는 하이탑은 절대 사시지 마시구요. 솔직히 물리는 제대로 된 참고서가 정말 없습니다.
그나마 도움되는거라면 저는 개인적으로 EBS 수능특강이 그나마 괜찮았던것 같습니다.

그리고... 고2때는 절대 과학에 신경쓰지마세요. 솔직히 내신이야 시험 기간에 2주 정도만 바싹하면 충분합니다.
과탐은 그냥 평상시에는 손놓으세요. 물리만 아니면 3학년때 해도 1등급 맞을수 있습니다.
나를슬프게하
08/01/18 21:09
수정 아이콘
물리I : 물리 하이탑은 처음 물리하시는분들에겐 그다지 추천드리고 싶진 않습니다. 내용이 너무 장황합니다-_-. 물리I은 내용이 장황한 참고서는 그다지 필요하지 않습니다. EBS 책 사셔서 독학+강의 추천드립니다. 다만, 역학부분(앞단원)은 혼자서도 충분히 할만합니다만, 뒤로가면 독학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나옵니다. EBS책에 빠진 내용도 많고요. 이런 경우에 EBS 강의로 부족한 부분 보충하시고요. TEXT는 EBS와 별 차이가 없습니다. 왠만하면 강의도 있고 최근의 트렌드도 잘 반영되어 있는 EBS 사시는게 좋을거에요(정확히 말씀드리자면 TEXT에 실려있는 문제는 트렌드를 반영하지 못하는게 아니라 수능유형과 거리가 있는 문제가 좀 있습니다)

화학I : 하이탑이 매우 자세한 편에 속하긴 합니다만, 화학I은 하이탑 조차도 아주 세밀한 내용에서는 빠진 내용이 좀 많습니다. 이게 좀 골치아픈게 화2를 선택하신 분들은 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만, 화1 평가원,수능문제에서 꽤나 심도있는 내용이 출제되기 때문에 공부를 깊게 하시는게 좋습니다만, 아쉽게도 화1을 그렇게까지 아주 깊게 다루어 주는 교재가 시중에는 없습니다. 아마 화2랑 중복되는 내용이 있기 때문이라고 예상합니다.
이것보다 더 큰 문제는 순수한 화1 내용조차도 매우 심도있게 출제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애초에 기출문제를 심도있게 분석하면 알수있는 내용-즉, 기존의 지식을 가지고 깊게 분석하면 알수 있는 내용이기 때문에 굳이 하이탑 입장에서는 따로 다루어 주지 않은 것으로 생각합니다만.....솔직히 말해서 이정도로 분석하기에는 학생들의 눈높이로 봐서는 조금 힘든 감이 있습니다.
그나마 화I을 조금 벗어나는 내용정도는 숨마쿰라우데...로 보충할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숨마쿰 화I은 서점에서 잠깐 서서 본게 전부라 자세히는 모르겠습니다) 화I은 왠만하면 괜찮은 사설학원 강사 고르셔서 강의한번 들으시는게 좋습니다. EBS강의도 화I 내용안에서 꽤나 심도있게 출제되는 부분은 잘 못잡더군요.

생물I : 하이탑 하나만 제대로 하면 거의 완벽하게 할수 있습니다. 다만, 제 기억으로는 판막과 관련된 내용을 조금 더 보충해야 할 필요가 있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이 부분은 자이스토리라고 시중 평가원, 수능 기출문제를 모아놓은 문제집이 있는데 그 문제집 푸시면 모두 보충하실수 있습니다(단, 기출문제는 고2때 풀지 마세요. 기출문제는 출제경향 분석이 가장 우선순위 목표인데 개념도 제대로 안잡히신 상태에서 풀고나면, 막상 고3때 기출문제 분석하려고 하면 문제의 답이 기억나버리는 애로사항이 있습니다-_-; 어자피 고2때 출제되는 모의고사, 내신 수준에서 그정도 세밀하게 나오진 않습니다. 물론 학교 선생님이 가르쳐 주셨다면 출제될수도 있습니다)

지구과학I : 지구과학 선택자는 아니였습니다. 지구과학 선택할 생각이 없으시다면 고2 내신+모의고사는 하이탑+EBS 조합만으로도 왠만하면 만점 나옵니다-_-;(내신문제가 모의고사 문제보다 어렵게 나온다면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네요) 과목 자체가 그리 어렵지 않기 때문에....

참고로 처음 배우실때 가장 어려운 과목부터 순서대로 배열하자면 물리>생물>화학>지구과학 입니다만...(개인별 편차는 있습니다~)나중에 가시면 화학>생물>물리>지구과학 으로 바뀝니다-_- 물리야 내용만 알면 수학하듯이 풀면 되는데 화학, 생물은 가끔 요상한 문제가 출제되기 때문에-_-;
夜空ノムコウ
08/01/18 23:25
수정 아이콘
KanRyu님// 정말 3학년때만 해도 1등급 맞습니까? 상위 4%만 받을 수 있다는 1등급을 3학년 때만 시험기간에 잠깐잠깐 하면 받을수 있다는 겁니까? 좀 일반적인 답변을 해 주셔야죠. 특히나 06수능이후로 그전의 수능이 탐구를 기본 요구사항으로 봐왔다면 06부터는 대입 당락을 결정짓는 중요한 과목으로 떠올랐는데 말이죠.
Nothing better
08/01/18 23:54
수정 아이콘
夜空ノムコウ님// 고2때 내신준비 철저하게 한다는 가정하에 하신 말씀아니실까요?
항즐이
08/01/18 23:56
수정 아이콘
지구과학... 과학의 결정판....
지구과학 2를 배웠던 경험은 정말 짜릿?했습니다.
[couple]-bada
08/01/19 03:16
수정 아이콘
3학년때만 해도 된다는 건.. 언수외의 기본기가 탄탄하여 공부시간의 대부분을 과학탐구에 쓸 수 있을때에 해당하는 말입니다. 물론 쉽지 않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3103 컴퓨터 업그레이드에 대한 질문입니다. [1] shie1671 08/01/19 1671
33102 피지알 프리 bbs에 올린 글이 사라졌습니다. [1] 이프위너1905 08/01/19 1905
33101 영화를 찾고있습니다. [2] 하나더!1622 08/01/19 1622
33100 다소 유치한 질문일수도 있는 질문 던져봅니다. [5] 박지성1790 08/01/19 1790
33099 Iccup 질문드립니다! [1] Aqua1887 08/01/19 1887
33098 군대갈때 가져갈 물품이요... [3] 아웅2132 08/01/19 2132
33097 인터넷 창이 자동으로 켜집니다 [3] 새벽거리2248 08/01/19 2248
33096 좀 웃긴 질문일수도 있는데요.. 왜 맵핵이나 비매너를 보면 '초x'이라고 하는거죠? [7] 우라님1928 08/01/19 1928
33095 도가 없는 검도의 강함은 어느정도 인가요? [4] 종종종그그미1955 08/01/19 1955
33094 어디가 좋을까요?? [3] 김치찌개2097 08/01/19 2097
33093 파주나 인근 지역에 사시는 분들께 질문드립니다 [2] 타나토노트1842 08/01/19 1842
33091 인터넷결제로 먹을수 있는 음식이 피자밖에 없나요? [2] 에릭5125 08/01/18 5125
33090 OT때 술 못먹고 노래 발라드 부르면... [20] EzMura3742 08/01/18 3742
33089 코를 자꾸 만져서 부어버린 것 같은데.. [1] UZOO2068 08/01/18 2068
33088 김택용, 현재 본좌라 불릴만한 선수인가요? [11] 하늘을담은바1755 08/01/18 1755
33087 이경기좀 알려주세요 [3] khw7111580 08/01/18 1580
33086 고2 이과생 과학 [9] 솔직한사람1663 08/01/18 1663
33085 스타리그 명경기 추천해주세요 [1] 신동v1563 08/01/18 1563
33084 system32파일 손상 [2] 공미본좌2097 08/01/18 2097
33083 스타크래프트 질문 Brave질럿1561 08/01/18 1561
33082 10만원대 초반의 스피커 [3] kapH1580 08/01/18 1580
33081 다음 두 메인보드의 차이를 명확하게 설명해 주실분 계신가요? [1] 나키1718 08/01/18 1718
33080 혹시 피부곰팡이 걸리신분 계신가요? ㅡ.ㅡ [5] KanRyu2258 08/01/18 225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