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1/27 09:34
제가 사는 곳을 기준으로 한 것이라 '평균'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방세 1) 고시원 - 15~30 (원룸이나 하숙에 비해 거주 환경이 좋지 않음.) 2) 원룸 - 20~40 (보증금이 붙는 경우도 꽤 있음. 물론 쇼부칠 수 있음.) 3) 하숙 - 35~45 (대신 식대 절약) 2. 식비 *폐인의 길을 걷는다면 하루 천 원도 가능합니다만,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한다는 가정하에서 쓰는 액수입니다. 사실 제가 바로 하루 천 원입니다. -_-;; 1) 모두 사먹을 경우 - 1회 최소 3천원. 아침은 간단히 때운다고 가정하면 하루에 7~8천 원. 학교 식당을 적극적으로 이용할 경우 하루 5천원. 2) 자체적으로 취사할 경우 - 한 끼에 1~2천 원 잡으면 됩니다만 생각보다 시간이 꽤 깨지죠. +정기적인 끼니 이외의 식비 하루 1~2천원. = 월 20~30만원 3. 활동비 차비 - 일주일에 두 번만 이동한다고 쳐도 1회 당 왕복 2천원이므로 4천원. 한 달이면 2만 원 가까이. 일주일에 한 번씩 술자리나 약속을 잡는다고 치면 적어도 5~6만 원은 깨짐. 기타 등등 있으니 아껴 쓴다고 치고 10 만원 계 - 45~80. 물론 아껴쓰면 저 이하로도 얼마든지 가능합니다만, 사람다운 생활을 한다고 치면 대략 저 정도.
08/01/27 09:56
부산사시는분이면 경희대 가려고 서울까지가서 자취하는건 다운그레이드라고 생각됩니다.
부산사시는 친척분이 부산에서 살꺼면 연고대급 아니고서야 부산대가 최고다라고 하시던게 기억나네요. 앞으로 서울에서 사실 생각이라면 또 모르겟군요.
08/01/27 10:54
앞으로 부산에서 사실꺼고 직업도 그쪽에서 구하실거라면 부산대가 낫죠. 제가 잘 모르지만 부산은 부산대 인맥도 꽤 후덜덜 하지 않나요?
08/01/27 12:27
현역이 부산대와 경희대를 동시에 합격해놓고 고민하는거면 몰라도, 이왕이면 다니던데 다니세요^^ 부산살땐 부산대 좋은줄 몰랐는데 외지에 나와보니 역시 부산대는 부산대더군요. "인풋 = 대학의레벨" 은 아닌듯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