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3/10 13:23
최근 세계증시가 유동적이라 펀드에 몰빵하세요. 라는 말씀을 드리기가 어렵네요.
1년간 얼마는 꼭 모아야 겠다고 생각한 목표치 금액만큼은 적금으로 여유자금은 적립식 펀드로 돌리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cma는 용돈을 쓰는데 이용하는 게 가장 좋구요. cma 계좌에서 체크카드 발급 받아서 편하게 사용하세요. 안정성과 수익성 어떤 부분에 조금 더 초점을 맞추실 지 생각해보세요. 1000만원은 반드시 만들겠다고 생각하시면 80~100만원씩 1년 적급 납입 나머지 여유 자금 중 40만원은 적립식 펀드 ( 해외펀드 + 국내펀드) 추가로 남는 돈은 cma계좌로 옮겨서 남겨 두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돈을 벌면 예상치 않는 곳에 돈이 들어가기 마련이니까요.
08/03/10 14:08
1년 아르바이트 하실꺼라면 제2 금융권 7%대 ( 지금은 없으려나. ^^ ) 적금을 추천해 드립니다.
꼭 펀드를 하고 싶으시다면 공부해서 월 10만원 정도를 적립식으로 드시는것도 재미 있습니다. ( 한두개 드시면 부담도 없고 공부도 되고 )
08/03/11 17:19
돈을 안전하게 지킨다라는 개념이 아니시라면... 수입을 초보자 입장에서 2:1로 나누는 것을 추천합니다. 100만원은 부근에서 적당한 상호저축은행(상호저축은행 중앙회 홈페이지를 찾으시면 모든 상호저축은행의 위치와 경영 공시를 찾을 수 있습니다. 5000만원 이하는 예금이 보호되니까 그렇게 걱정하지 않아도 되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저축하려는 은행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는 의미에서 여러 은행들의 공시를 비교해 보시고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을 고르셔서 정기 적금으로 드시고 나머지 50만원은 적립식 펀드를 드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적립식 펀드는 한 펀드에 다 넣지 마시고, 예를 들어 국내 일반 주식, 고배당 주식, 해외 국가 혹은 특정 섹터, 채권형, 글로벌 펀드 등등을 보시고 여러 개를 동시에 드세요. 10만원씩 서로 성격이 다른 펀드 다섯 개에 드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펀드를 여러 개 드는 것을 추천하는 이유는 지금 가장 필요하신 것이 자본 시장에 대한 이해라고 보이기 때문입니다. Variation과 기대 수익률이 어떤 식으로 움직이는지, 경제가 어떤 식으로 흘러가는지 몸으로 깨달으면서도 큰 손해는 보지 않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일 듯 합니다. 그럼으로써, 자신만의 수익률과 안정성의 조화에 대한 철학을 세우게 되시기를 바랍니다. PS) 적립식 펀드는 정기 적금처럼 무조건 매달 일정한 날에 넣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만, 임의식으로 선택하셔서 매월 직접 납입하시는 것이 좀 더 공부가 될 것입니다. 그러다 보면, 꼭 같은 날짜에 넣는 것은 아닌데, 하는 생각도 들고, 갖가지 궁리를 하게 되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