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3/13 00:11
반도체 제대로 이해하기라는 책이 있습니다. 실제 반도체 회사에 근무하셨던 분이 쓰신 책인데 그나마 초보자가 이해하기 쉽게 쓰여진 책입니다.
다만 최소한 대학 이공계학과 물리학 수준의 배경지식이 있어야 이해가 가능하시리라 봅니다. 이 외에 이보다 쉽게 쓰여진 책은 저로서는 아직까지 본 적이 없습니다. 화학전공자로서 반도체에 관심이 많으시다면 반도체공정쪽으로 길을 잡으시는 게 좋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실제 메모리를 만들기위해 동원되는 학문의 분야는 정말 엄청나게 다양해서 반도체 회사에서 일하시는 분들이 그런 것들을 다 알고 일하는 것은 아닙니다.
08/03/13 12:23
뜬구름 잡는 질문에 뜬구름 잡는 대답을 드립니다. ^^;;;
쉽게 설명하면 어떤 전압 혹은 전류의 변화(=입력, 혹은 초기 신호)를 직류 전원(꼭 직류가 아닐 수도 있지만, 시스템 전체에 에너지를 불어넣는, 전체 power)을 이용하여 증폭시키는 것이 1단계, 이러한 신호의 증폭을 이용하여 NOT, AND, OR 연산을 할 수 있는 회로를 만드는 것이 2단계, 이러한 NOT, AND, OR연산을 결합하여 보다 상위의 연산 혹은 기억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3단계쯤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예를 들어 DRAM의 동작 원리 같은 경우 위의 1, 2, 3단계를 꼭 도식적으로 따라가는 것은 아닙니다만) 애당초, 왜 신호 증폭이 가능하냐? 이건 오래된 3극 진공관을 보시면 직관적으로 이해가 되실 겁니다. 즉 전기장의 세기는 거리와 관련이 있기에, 3개의 전극의 기하학적인 모양과 배치에 따라 신호 증폭이 가능한 거죠. Bipolar, JFET, MOSFET, HBT, HEMT 등등에서 논의되는 내용은 천차만별이어도 결국 뜬구름 잡는 레벨에서는 비슷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입력 신호를 증폭하는 방법은 사실 다른 분야에서도 많이 찾아볼 수 있죠. 포인트는 얼마나 신뢰성있게 입력 신호를 증폭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이고, 그게 해결이 되면 (그리고 단위 소자를 저렴하고 많이 만들 수 있게 되면) 그걸 이용하여 전자 회로 (혹은 컴퓨터) 대신 광자 컴퓨터, 양자 컴퓨터, 바이오 컴퓨터 등등을 만들 수 있겠죠. 아직은 SF 작가들의 영역이기는 하지만, 그리 멀지 않은 것 같기도 합니다. (화학 컴퓨터도 원리상으로는 불가능할 것 같지 않습니다만) 사족입니다만, 전자 회로의 경우 증폭은 단순 증폭이 아니라 뒤집은 증폭(NOT)입니다. 단순 증폭만 가능할 경우 연산 기구를 만드는 것이 쉽지 않은 것으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08/03/13 13:55
저도 전공자가 아니어서 뜬구름 잡는 정도밖에 이해하지 못했는데, 제가 이해한 부분을 설명하자면,
전류가 들어오면 1, 아니면 0 으로 생각할때 전류가 들어오면(입력값이 1인경우) 전류가 안 흐르도록 하는 회로 (NOT회로) 전류가 하나라도 들어오면(여러 입력값 중 하나라도 1인경우)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회로 (OR회로) 전류가 다 들어오면(여러 입력값 전체가 1인경우)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회로 (AND회로) 이 세가지 종류의 회로를 조합해서 사칙연산 회로, 저장 회로 등 다양한 목적의 회로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full adder, half adder, flip-flop 등등이 기억이 나는군요. 자세한 사항은 검색하면 나올 듯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