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3/27 00:42
교수님께서 의도하신것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싶으시다면, 채권수익률과 만기수익률, 표면이율(Cr),각 기간마다발생하는 현금흐름(Cft),채권의 원금상환방식에 따른 종류와 실제 계산식을 아셔야하고,채권의 내외적 요인과 그것들이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셔야 합니다. 특히 가격과 이자율의 상반관계가 왜 나오는지 그래프를 보고 이해하고, 더 깊이 들어가서 여러 구조이론을 아셔야 하는데 솔직히 이 리플란에 다 적기는 힘드네요.
너무 너무 많은데... 대충 설명 드리면 원래는 채권시장에서 가격을 기준으로 거래하기는 하나 각 채권간 현금흐름에서 발생하는 수익률의 차이를 직접적으로 나타내지 못하는 큰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좀 더 실효성을 둔 비교(?)를 위해 채권투자 시에는 가격보다 수익률 개념(시장 이자율과 만기수익률을 거의 동급으로 놓습니다)을 주로 사용하죠. 그리고 채권가격결정은 식을 말씀하시는거 같은데, 보통 3가지 공식이 있는데, 대학교 경제학 교과서에선 주로 채권장수식을 사용합니다. 공식은 이 지면에 쓰기가 좀 애매한데요.직접 찾아보시면 잘 나올겁니다. 화폐경제학 들으시나 보네요.아마 처음에는 이해하기가 참 힘들겁니다.물론 첨 보시는 분들에겐 분산파트보다는 쉽죠. 채권의 모든건 그래프에 전부 다 나와 있습니다. 나중에 다 배우시겠지만, 맥컬리,수정,실효 듀레이션과 컨벡서티 같은건 너무 생소하게 보일지 몰라도 스스로 그래프를 그려보시면서 공부하시면 전부 다 알수 있을겁니다.경제학은 그래프죠~~ 학생때가 그립네요..ㅠㅠ 수업 열심히 받으세요.
08/03/27 15:14
잠시 시간이 남아 간략하게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1.채권발행이유-돈이 필요해서죠. 2.그럼 돈이 필요한데 채권만 되느냐?-아니죠.주식발행,대출받는거,채권발행등등 중에서 회사가 그때 그때 필요한방법으로 조달하는거죠. 3.그럼 채권발행가격은 어떻게 결정되느냐? 삼성전자가 10억이 필요하다.그래서 10억을 채권으로 조달하려 한다라 가정 채권에는 액면가,액면이자율,만기 이렇게 크게 3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삼성전자가 액면가 10억,만기 3년 액면이자율 10% 로 채권을 발행하려 합니다.그럼 누군가 이걸 사줘야 하겠죠. 그런데 그걸 사려고 하는 사람중에 질문하신 리니티니님이 지금 현금 10억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할때 님같으면 어떻게 할것인가 이것만 생각해 보면 금방 답나옵니다. 그럼 어떻게 답을 내면 되는가? 현재 시중은행 이자율과 비교해 보면 됩니다. 현재 시중은행 이자율이 12%라고 한다면 절대 10억 다 주고 삼성전자 채권 안사죠.은행 넣어놓지.. 삼성전자도 발행하는 측면에서 이거 다 알죠.따라서 10억보다 적은 금액으로 발행합니다. 만약 시중은행 이자율이 7%라고 가정하면 당연히 10%이자 주는 삼성전자 10억 투자해야죠. 은행넣어놓아 7%이자받는거 보다 유리하죠.따라서 사려는 사람이 많겠죠.그러면 당연히 가격이 뛰겠죠. 10억+@로 발행됩니다. 그런데 시중은행이율이 10%라고 한다면 무차별이죠.(물론 완전 100%무차별은 아닙니다.도산위험때문에..그런데 이런거 무시하고..) 따라서 이경우는 10억에 발행됩니다. 결론 두줄 신한은행은 1년 이자율 7%적금상품이 있고 하나은행,국민은행외 울나라 모든 은행은 10%적금상품이 있다면 어디에 넣겠습니까? 이런현실에도 신한은행이 7%적금상품을 팔려고 한다면 적은 이자율수준을 만회할 만한 무언가를 내 놓아야 하겠죠.. 재무회계나 재무관리책보면 채권가격 구하는 거 나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