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8/31 20:25
말실수라고 하기엔 그렇고 엄재경해설도 실험을 통해 가스채취가 느려진다는 결과를 얻은 걸로 아는데요. 상이한 결과가 나오다니 놀랍네요. 뭐가 맞는걸까요. 허허.
07/08/31 20:28
그 맵이 파이썬 2시, 이재호선수의 진영이였던것으로 기억합니다.
근데 실제론 모르겠지만 눈으로 봤을때는 확실히 느려지는듯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심시티는 한끝차이입니다..
07/08/31 21:23
사실뭐 말실수 한두번하신것도아니고..
그냥 넘어가려니 하세요. 또 엄재경 해설만 비판한다고 뭐라하실분계실까봐 다른해설분이나 다른사람들도 말실수 종종 하곤하죠.
07/08/31 21:24
루나를 포함 다른맵도 심시티에 따라서 확실히 가스채취량이 조금씩은 차이가납니다.
루나 2시에서 마재윤선수가 맨날 스포닝을 그위치에 건설하는걸 보면 알수있죠.
07/08/31 21:27
예전 오리지널 로템에서 2시 같은 경우는 확실히 건물을 지으면 빨라집니다.
다만 일꾼이 건물을 짓지 않아도 일직선(가스건물과 90도 방향이나 180도 방향으로 직선으로 채취할때)인 경우에는 오히려 건물을 짓지 않는게 빠르다고 합니다. 위의 실험 루나의 경우를 봐도 차이가 거의 없지요. 엄재경해설은 이걸 말씀하신 거지요. 원래 꼬불꼬불하거나 곡선으로 채취하는 곳에서는 건물로 보정했을때는 당연히 빨리 채취하는것 정도는 알고 있으셨을겁니다. 저도 그 방송을 직접 육성으로 들었습니다만 이런 뉘앙스가 강했지요. 굳이 곡선으로 채취하는것까지 말할 필요는 못 느끼셨을것입니다. 그러니 당연히 제외시켜서 말씀하셨겠지요. 설마 이런 기본적인 사항을 모르시진 않을것입니다. 어쩌다 이런 말까지 나오는지 모르겠네요.
07/08/31 21:32
... 글쎄요. 미네랄이라면 채취대상이 다수이므로 '속도차'가 존재한다고 생각할수 있습니다만,
개스통은 중간의 길과 관계없이 개스가 들어오는 주기가 일정하므로, 그 심시티로 인해 개스통 안이 잠깐이라도 비게 된다면 차이가 발생하지만 그런 경우가 아닌 뒤에야 심시티에 따라 무조건 '느려진다'고 보기는 힘들것 같습니다.
07/08/31 23:37
루나에서의 실험과 엄해설님이 언급한 것과는 좀 차이가 있는 것 같네요.
엄해설님이 지적한 것은 루나에서처럼 가스 최적화된 심시티가 아닌 좀 비딱하게(?) 건물을 지어서 눈으로 보기에 일꾼이 돌아서 가스 채취하는데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말한 것 같습니다. 물론 그것이 겉으로 보기에만 그렇게 효율이 떨어지는 것처럼 보이고 실제로는 더 빠르다든지 하는건 모르겠습니다만.. 겉으로 보기에 충분히 문제 삼을 수 있는 부분이었죠..
07/09/01 03:18
파이썬2시에서 가스통밑에 건물을 짓는건 가스를 더 캐려고 하는게 아니라 미네랄 최적화죠..
파이썬 같은경우는 워낙 가스통이 가까워서 건물 안지어 줘도 됩니다.. 다만 12시를 제외하곤 미네랄끝부분을 돌아서 캐는데 그걸 건물로 어느정도 최적화 시킬수가 있죠.. 그리고 파이썬2시에 주의할점은 서플라이는 가스통밑에 붙어서 지어도 되지만, 스포닝풀은 해처리에 붙여서 지어야 하죠.. 제가 첨 가스통 바로밑에 지었을때 드론들이 한참 돌아서 가스를 캐는걸보고부터 게임이 말려서 집중이 안된적이 있었다는... 그리고 파이썬2시에 가스통밑에 건물지으면 일꾼들이 살짝 돌긴하겠지만 워낙 가스통이 가까워서 그렇게 차이가 안날거 같은 개인적인 생각이 드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