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1/07 13:53
4년제 대학 컴퓨터 전공자가 학원을 다닌다는 건 좀 그렇군요 -_-
나쁘다기 보단 그런 일이 일어나는 게 좀 안타까운 ... 전혀 전공 수업을 못 따라간다면 학원다니는 것도 괜찮을 거라 생각은 합니다. 공부에 흥미가 없고 기초도 없고 준비 자세가 안 되어 있다면 강제로라도 혹은 돈이 아까워서라도 일단 공부는 하게 될테니까요 어떤 분야이든 마찬가지이겠지만 개발자의 실력은 경험에 비례하게 되어 있습니다. 머리 좋고 나쁜 것은 영향을 덜 미칩니다. 무조건 많이 코딩 해 봐야 됩니다. 제가 처음 공부할 땐, 책을 보면서 웬만한 예제는 다 직접 코딩 해 봤습니다. 어느 정도 기초가 된 후에는 프로그래밍 카페 같은 데서 숙제 해달라고 하는 사람들 숙제 다 해 줬습니다. 실력이 좋아서 남들 숙제해 주고 이런 게 아니라, 저도 모르는 것 공부해 가면서 한 겁니다. (아 물론 다른 사람들 숙제를 해 주는 건 결코 좋은 일은 아닙니다만 ...) 꼭 숙제가 아니더라도 Q&A 게시판 같은데서 남들이 어려워 하는 문제를 먼저 부딪쳐 보는 게 좋을 거란 생각이 듭니다. 어차피 본인도 똑같이 부딪히게 될 것이거든요. 어느 정도 실력이 쌓이면 파트타임 잡을 구해 보세요. 굳이 시간 대비 인건비 같은 거 너무 따지지 말고(조금은 따져야 합니다-_-) 경험한다는 정도로 . 학부 수준에서는 이 정도 단계이면 수준급에 오를 거라 생각합니다. 물론 처음 시작은 힘듭니다. 실력은 서서히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애벌레가 변태한 뒤 허물어 벗어 갑자기 변화하듯이 어느 순간 실력이 늘어난 것을 느끼게 됩니다. 결론은 참을성과 꾸준한 코딩연습입니다.
08/01/07 14:42
윗님 말씀에 동의합니다.
간단한 프로그램이라도 직접 그리고 많이 짜보는것이 중요합니다. 자주 쓰이는 함수라든가 알아두면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코드는 따로 정리해두면 훨씬 좋겠지요. 책을 보거나 학원을 다니거나 스터디 그룹을 형성해서 함께 공부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건 역시 님께서 스스로 얼마나 흥미를 가지고 열심히 할 수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누가 시키지 않아도 밤 새워가며 코딩도 해보고 버그도 잡아보고 할 수 있는... 길게 내다보고 열심히 하시길 바랍니다. 이 쪽 분야는 알면 알수록 공부해야 하는게 더 많아지는 곳이거든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