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6/12/27 00:53
글쎄요.
뭐 붙어본적도없고, 해설이나 캐스터분들이 pg하시는것도 본적이 없으니 자세히는 말씀 못드리겠습니다만, 일단 엠겜 옵저버 이우호님은 상당한 고수로 알려져있습니다. 이승원 해설도.. 어느정도 잘한다고 알려져 있구요. 물론 일반인 이상이겠죠. ^^ 일반인 기준에서입니다. 방송을 통해 봤을때.. 엄재경 해설은 게임을 많이 한다기보다는 게임 분석을 많이 하시는것 같습니다.
06/12/27 01:49
이우호 게임연출님이 피지A~B사이의 상당한 고수로 알고있고
임성춘 해설은 게이머 접은이후로 스타크래프는 아예 하지않는다고 어디선가 말씀하신걸 본 적이 있습니다. 그래도 옛날 하던 감각이있고 최신의 트렌드들 항상 경기 보며 꿰고 있을테니 조금만 연습하면 아직도 잘 하실 것 같네요
06/12/27 02:05
그리고 김동준, 김정민, 임성춘, 유병준 해설은 충분하게 조금만 게임 하면 피지 B 정도는 찍으실것 같은 분들입니다. 아무래도 선수 출신이니까요. 나머지 해설분들도 손이 따라주지 않아서 그렇지 저만큼의 실력을 갖추신 분들이 아닐까.
06/12/27 02:09
엄재경씨도 예전에 저그 고수급이라고 불리웠다던데
언제였는지 기억은 안나지만 게임은 접어야 겠다 라고 말한걸 들은 기억이 있어요 키읔
06/12/27 08:06
김동준 김정민 임성춘 유병준 해설은 지금도 a는 가뿐히 찍습니다.. 선수출신은 하던 가다가 있기때문에 pg b가 문제가 아닙니다;;; 2년간 군대갔다온 연습생이 pg a까지 무패로 가는것도 봤습니다..
프로 출신은 당연히 비프로 출신과의 차이가 좀 있고 이우호 옵저버와 이승원 해설은 상당한 고수로 알고있습니다. 김도형 엄재경 해설은 예전에 특별전시 보여준 게임이라면 그냥 일반인보다 조금 나은수준이고 김창선 해설역시 과거에 특별전에서 보여준경기력은 일반인과는 조금 거리가 있는 고수의 모습이였습니다.
06/12/27 11:09
약 1~2년전쯤? 이승원해설과 엄재경해설의 실력을 직접 배틀넷에서 본적이 있는데 이승원해설은 굉장히 뛰어난 실력을 갖고계십니다. 엄재경해설도 일반인에 비한다면 괜찮은 실력을 갖고 계시지만 뛰어나다고 까진 할수 없을꺼 같았습니다
06/12/27 13:10
예전에 임성춘이 간다 라는 프로였나?? 거기서 임성춘 해설이
직접 아마 고수들을 상대하지 않았었나요? 몇번 보지는 않았지만, 진 적은 없었던 걸로 기억 하는데..
06/12/27 14:40
예전에 쥐피플인가... 암튼 어떤 방송에서 엄재경 해설이 김태형 해설을 이긴 적이 있다고 하더군여.. 그 때 맵이 쇼다운이라 했으니 한 3~4년 전쯤일 텐데...^^;
06/12/27 15:26
지금이야 PG가 안되지만.. 아마 하게된다면 PG A 는 기본일걸요.. 엄연한 해설자인데 일반인보다는 당연히 차원이 다르죠.. 그분들은 수준높은 선수들의 경기를 매일 보고 분석하고 예측하시는 분들입니다. 우리처럼 심심할때 채널돌리다가 스타나오면 잠깐 보고, 공방가서 팀플한번 뛰는 수준이 아니죠.. 아마 지금 당장 프로팀에 들어가서 프로게이머 연습상대로 게임해도 손색없는 실력을 가지고 있다고 알고있습니다.
06/12/27 15:32
절대로 pg A 까지 무패로 못갑니다. 진짜 양민만 잡어서 노가다로 올리면 모르겠습니다만..피지수준을 너무 낮게보시나본대 지금 잘나가는 프로게이머들도 pg A올리는대 패 꽤 당하죠. 군대갔다와서 피지A무패로 찍은분 궁금하네요 아이디라도 .. 제가 이병민선수가 전성기때(박성준선수와 결승할떄쯤) 피지투어할때 봤었는대 3패찍고 A- 올리시더군요. 그후로 3위까지 올리는데 패 꽤했었습니다. 한창 지금 잘나가는 박지수선수랑 저도 피지에서 겜많이했습니다만 박지수선수도 A에서 승률 50%대였습니다
06/12/27 15:37
피지없어지니 너도나도 베넷가면 A A+이러는대 실제로 프로 준프로 연습생들 빼면 아마중에서 피지A이상 많이없습니다
전직 프로게이머 출신들이야 피지A는 가겠지만 무슨 무패로 A를 가느니 이런건 정말 아니라고 보네요
06/12/27 15:48
7차때 pg a만 200명이 넘었던걸로 압니다;; 그당시 병장휴가 나와서 일주일동안 살던데요. 뭐 패가 0 이고 랭크가 a인데 믿을수밖에 없죠 노가다를 했는지 대리겜을 했는지 여러명이 돌렸는지야 알수는 없지만
06/12/27 15:52
7차때면 작년 10월쯤인가요? 제가 군대오기전에 피지A딱찍었는대 랭크가 200이더군요 그래서 한번 살펴봤는대 무패는 없었습니다 . 제가 운좋게 피지A를 승률80%찍었는대 A에서 무패는 둘째치고 승률 70%넘는분들도 손에 꼽을정도였습니다. 뭐 무패로 A까지와서 패가 많아진건지는 모르겠습니다만 피지A를 너무 쉽게 보는거같아서 말씀드립니다 무패로 찍은 아이디 정말궁금하네요
06/12/27 16:34
전 예전 김원기vs이윤열 in아카디아 경기때 엄재경씨랑 김창선씨 해설하는거 보고 "저사람들 스타 해본적은 있는건가?" 라는 생각까지 햇엇는데
잘못 생각햇엇나 보군요 -_-;;
06/12/27 17:10
혹시 구겜아이 하시던분 계시나요??????
거기서 거의항상 10위안에 랭크찍던 쿨웬이라고 기억하시는분있나? 그게 이승원해설이에요. 그당시 고랭커가 삼성준 최연성 등등...
06/12/27 17:41
김철민 캐스터는 안습수준인걸로..
예전에 출동 임진수때 임진수와 함께 리플레이를 보는데 프로토스가 평범한 원겟 플레이를 하자 김캐스터께서 '게이트를 하나만 짓네요? 저는 불안해서 게이트는 항상 2개 짓고 시작하는데' 라고 하신게 잊혀지지 않네요.. 지금은 시간이 많이 지나긴 했지만 왠지 크게 발전하시진 않으시지 않았을까;
06/12/27 20:23
엄재경해설..
예전 맨처음 해설 시작하실때 (1999년?) 당시 레더 1400정도였다고 들었습니다. 당시 레더 1400이면 세계랭커 (1000등) 이었죠.. 7년전에는 상당한 고수였다는 거죠. 그러나 지금 실력은 알수 없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