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7/06/14 02:09:08
Name 침묵도 목소리
Subject 바둑이 배우고 싶습니다
바둑의 기본지식은 알고있습니다. 고등학교때 바둑부를 들엇엇거든요...
단지 바둑부가 수학선생님이 수학관련부를 만들기 위해 가짜로 운용되는 부여서
딱 기본만 배웠어요 ㅠㅠ; 어쩐지 들어오라고 계속강요하시더니....

그래서인데 바둑 입문서 딸 18급이 볼만한 입문서 없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6/14 03:25
수정 아이콘
제목만 보고 카드게임 바둑이 말씀하시는 줄 알았습니다 답변이 아니네요.. 죄송 ;;
덧. 바둑'을' 로 바꾸시면 뜻이 명확해 질겁니다 ^^
디미네이트
07/06/14 07:09
수정 아이콘
솔직히 말씀드려서 최근에 바둑책을 구하기는 많이 힘든 것 같습니다. 인터넷 서점 대부분이 절판/품절로 나옵니다. 아마 직접 교보문고라던가 큰서점 찾아가셔도 없는 경우가 많을듯 합니다. 게다가 내용도 솔직히 말하자면 엉성하기 짝이 없습니다. 대부분 그냥 대충 예전 내용 엮어서 유명한 기사 이름만 빌려서 책을 내는 듯하니까요. 옛날 일본 기사들의 책들이 참 좋긴한데, 구 하서 바둑 시리즈 1~20 이외의 책들은 대부분 번역 상태며 편집이며 심한 경우에는 바둑에 바자도 모르고 그냥 일본어 번역만 한 느낌이 드는 정도입니다(특히 오성 출판사에서 낸 사카다 시리즈랑 오다케 히데오 시리즈는 심각하죠. 유일하게 한국에서 구할 수 있는 사카다 시리즈라 어쩔 수 없지만...)
또한 입문서 수준은 대부분 거기서 거기이며, 냉정하게 말하자면 입문서만 봐서는 바둑 두는 데 아무런 도움이 안 됩니다. 물론 축, 장문 등 기본적인 개념을 잡는 데는 입문서가 유용하긴 합니다만, 실전에서의 활용을 모르고서는 의미가 없으며, 또한 그런 것은 실전을 통해서만 배울 수 있는 거니까요.
정말 바둑의 다섯 가지 룰 이외에 아무것도 아는 게 없는 상황이라면 입문서 아무거나 하나 사서 보시기 바랍니다. 혹시 구하실 수 있다면 하서 바둑 시리즈 1권 '조훈현 바둑 입문'이나 정확한 제목이랑 출판사는 기억이 안 나지만 '사카다 에이오'의 바둑 입문서가 있습니다. 조훈현 바둑 입문은 초반부터 종반까지 초보가 알아야할 기본 개념들이 잘 잡혀있고요. 사카다의 입문서는 실전적인 사카다답게 돌을 공격하는 방법의 기본이라던가 실전에 도움이 조금이나마 될만한 내용들이 많습니다.
입문서 보신 다음에는 기본 정석 해설해 놓은 책 아무거나 한권 읽으시면 될 듯 합니다. 일단 처음이니 수순 외우시는 것만으로도 바쁘실 듯 합니다. 그리고 초보들의 실전에서는 솔직히 정석 무시하는 경우가 많아서 활용도가 낮을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정석이라는 것이 초반에 있어서 돌을 가장 효율적으로 움직이는 방법을 정리한 것이기 때문에 알아두면 유리한 점이 많습니다. 실력이 오르시면 단순히 수순 이외에도 정석 이후의 변화라던가 정석이 생겨난 배경 등을 익히시면 좋습니다. 정석 같은 경우는 일본 기사 이름이 붙은 것보다는 이창호, 조훈현 등 유명한 한국 기사 이름이 붙은 것을 택하시면 될 듯 합니다. 아무래도 일본 기사 책은 좀 옛날 거라서 정석에 관해서는 현재에 통용되지 않는 내용들이 좀 있으니까요(실력이 붙은 뒤라면 오히려 이러한 책들이 도움이 됩니다.)
그 뒤에는 무조건 실전밖에 없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바둑의 내용은 그야말로 천변만변이기 때문에 실전을 통해서 익히는 수밖에 없습니다. 다만 돌의 모양이나 효율에 관한 내용인 맥점/행마 이런 것에 관한 책을 구해서 보시면 좋습니다.
그 뒤에 바둑에 대해서 어느 정도 알게 되고 나면 자연히 자신이 부족한 부분이 어디다라는 것을 느끼게 되실 겁니다. 그럼 그 부분에 관한 책을 사서 읽어보시면 됩니다.
그러나 바둑 관련 책을 구하기 어렵다는 점, 책이 바둑의 모든 것을 담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여유가 되신다면 차라리 바둑 학원을 다니시라고 말씀 드리고 싶네요. 실전을 두어줄 상대가 있고, 실전에서 모르는 부분에 대해서 물어볼 사람이 있는 게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인터넷 바둑에서 바둑 고수를 한 명 알게 되는 것도 한 방법이지만, 아무래도 바둑 학원의 사범님들과는 지식의 깊이라든가 정맥에 관한 내용이라든가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겠죠.
연합한국
07/06/14 09:57
수정 아이콘
음.. 어둠의 방법이지만..
삼본바둑시스템인가.. 뭔가.. 하는게 요새 어둠의 경로상에서
많이 떠돌아 다닙니다. 각각 스텝을 보여주면서 설명을 해주는데
체계가 아주 잘 잡혀있고 내용도 심도 있어서 인터넷바둑
3단까지는 이것만 가지고 공부해도 쉽게 갑니다.
(제가 원래 10급두다가 이거 보고 한달도 안걸려 2단 되었습니다.
그 다음부터는 혼자 이거만 보고 하기는 약간 힘들긴 해요.)

책으로 공부하시겠다면 초반 정석관련 책 -> 포석 관련책 -> 행마 순으로
공부하는걸 추천합니다. 사활이나 맥등은 나중에 천천히 해도 어느정도
커버가 되거든요.

그리고 정말 바둑을 한 취미생활로 발전시키고 싶다 느끼시면 학원에
다니세요. 저도 아주 어릴때 3개월정도 갔던게 전부라 딱히 뭐라
평할수는 없지만, 바둑은 체계적으로 배우면 어느정도까진 아주 빠르게
배울 수 있는 놀이라서 학원은 상당한 도움이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행운을 빌게요.
(저랑 나이가 비슷하신듯하니, 빨리 느실겁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28158 여름방학동안 해외 여행을 가고 싶습셒습니다. [10] felblade2090 07/06/15 2090
28157 혹시 화학과 분들 계시나요??;;; [5] 하우알유2160 07/06/15 2160
28156 요 컴터사양 용산 조립하면 가격얼마정도 나올까요?? [5] 야생초2128 07/06/15 2128
28155 핸드폰은 어디서 사는게 좋은가요?; [3] Naraboyz1688 07/06/14 1688
28154 시작프로그램 정리좀 도와주세요 [7] 단양적성비1932 07/06/14 1932
28153 자바 소스 수정 부탁드립니다. 마르샤1825 07/06/14 1825
28152 대학교 1학년 여름방학 어떻게 보낼까요? [7] Bikini3851 07/06/14 3851
28151 인적성 검사 문제중 안풀리는 게 있어요. [9] 주식갬블러3550 07/06/14 3550
28150 헬스및 운동 고수님들! 도움을 주십시오!! [14] 밀가리2169 07/06/14 2169
28149 광마우스 쓰시는분들께 질문드립니다... [10] 오소리감투2211 07/06/14 2211
28148 대학교 컨닝 때문에 미치겠네요.. [27] Bikini6183 07/06/14 6183
28147 맞춤법 질문이요 [5] 민최강1650 07/06/14 1650
28146 스토킹에 대하여 [3] 발그레 아이네2192 07/06/14 2192
28144 펭귄1.15에 대해서 [2] 테루2838 07/06/14 2838
28142 서양식 RPG입문에 관한 질문입니다. [7] Mr.Children2384 07/06/14 2384
28141 휴대전화개통에 대한 질문입니다. [2] 치우천2118 07/06/14 2118
28140 10개월 투자로 재미를 볼수있는 펀드에 뭐가 있을까요? [4] 조성화2183 07/06/14 2183
28139 바둑이 배우고 싶습니다 [3] 침묵도 목소리1868 07/06/14 1868
28138 이음악 아시는 분~~ [2] 나백수..1677 07/06/14 1677
28134 맹인들의 다른 감각에대한질문 [2] 쭈니1742 07/06/14 1742
28133 수학문제 하나 질문입니다 <수1> [4] 낭만토스2200 07/06/14 2200
28132 자바 소스 에러좀 고쳐주세요. [3] 마르샤1599 07/06/13 1599
28131 팀플길드나 채널 질문드립니다 [2] 씨부다2173 07/06/13 217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