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06/14 09:17
펀드는 주식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직접투자하는 것이 아니고, 펀드매니저에게 돈을 맡기고 간접투자를 하는 것이지요. 아무리 펀드매니저라 할 지라도 앞으로 10개월동안 확실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주식을 매수,매도 할 수는 없습니다.
현재 1700 대가 꼭지일 수도 있고, 2000, 3000 로 가는 대세상승의 시작일 수도 있습니다. 이걸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고위험고수익인 투자는 돈을 많이 벌 확률도 높지만, 돈을 많이 잃을 확률도 높습니다. 지금은 주가가 계속 올라서 돈을 번 사람들만 보이지만, 지금 지수에서 200~300 포인트만 빠져도 -30%이상되는 펀드는 수두룩 할 겁니다. 반대로 2000포인트 넘으면 +30% 넘는 펀드도 쏟아지겠죠. 올해 초 많은 전문가들이 중국펀드는 작년에 너무 많이 올라서 위험하니까 비중을 줄이는 것이 좋다고 했고, 우리나라도 1500포인트 넘었을때 조정이 올거라는 전문가들이 많았지만, 올해들어서도 상하이지수는 계속 오르고 있고 우리나라는 1700포인트를 가뿐하게 넘었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될 지는 본인 판단입니다. 계속 오를 거라고 생각되면 투자하는 것이고, 내릴 거라고 생각되면 환매하는 거죠. 직접투자 > 주식형펀드 > 배당주펀드 > 채권형펀드 > 은행예금 순으로 고위험고수익 순위를 매길 수 있겠네요. 최근에 펀드에 투자하는 사람이 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5%가 넘는 은행 특판예금으로도 돈이 많이 몰리고 있다고 합니다. 분명히 아셔야 될 것은 50%~100% 벌수도 있다면, 50%~100% 잃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많은 전문가들이 자주하는 말이고,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도 펀드는 3년정도 장기투자하는 마음가짐으로 은행금리보다 나은 기대(연10%~20%)를 가지고 투자하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적립식펀드의 최대장점인 코스트 애버리징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장기투자를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펀드나 재테크에 관한 서적을 몇 권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예)적립식 펀드 수익률의 비밀, 코스트 애버리징(평균투자효과) 주식형 펀드의 경우 일정시점에 3억 원을 넣고 3년을 기다리는 것과 1억 원을 3번(년)에 걸쳐 넣는쪽과 어디가 수익률이 더 높을까? 가입할 때 시점의 주가는 1000, 이후 1년 뒤 주가는 1100, 2년째는 900, 그리고 3년 후에는 다시 1000으로 돌아왔다고 가정해 보자. 1. 주가지수와 똑같이 움직이는 인덱스 펀드에 3억 원을 일시불로 넣고 3년을 기다렸던 투자자의 투자수익은 0이다. 주가가 1000에서 시작해 1000으로 끝났기 때문이다. 2. 1억원씩 세번에 나눠넣은 투자자의 투자수익을 살펴보면 약 300만 원의 투자수익이 발생한다. 약 300만 원 = 1억 원 ×(1100-1000)/1000 + 1억 원×(900-1100)/1100 + 1억 원×(1000-900)/900 -대한민국 20대, 재테크에 미쳐라 중에서-
07/06/14 20:39
10개월 기대수익 10% 정도라면 괜찮은 펀드이며 지금현재 증시가 정점이다 조정이다로 말이 많으므로 10개월 단기라면 은행의 cd연동 고정금리쪽이 더 좋습니다. 요즘 은행마다 6개월정도의 단기간에 6%정도의 이율을 지급하는 특판상품이 생기고 있으니까요.
윗분이 인용하신 -대한민국20대 재테크에 미쳐라- 와 -주식투자의 정석- 책을 추천합니다. 단기간으론 큰재미 보기 어렵습니다...
07/06/14 20:40
펀드닥터 라는 사이트에 가시면 국내 판매중인 펀드에 운용수익과 운용사의 실적이 순위별로 정리되어있으니 질문에 어느정도 답이되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