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7/12/09 23:11:56
Name ilovenalra
Subject 스콜라철학/일원론적세계관에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윤리공부를 하다가 궁금한 점이 생겼는데
딱히 지금 물어볼데가 없어서 질문드려요 (네이버에도 없더라고요 ㅠㅠ)

교부철학이 플형님의 사상을 수용해서 이원론적세계관이잖아요
이데아계랑 현상계로 나뉘는데 이게 각각 신의 세계랑 인간의 세계라고 하더라고요
그럼 여기서 신의 세계를 저는 천국이라서 생각해서
기독교에서 하나님을 믿으면 천국간다 이런거랑 비슷하게... 이해하겠는데요

스콜라철학에서는 아리형님껄 받아들여서 일원론적 세계관이라는데
그럼 신의세계와 인간의 세계가 현 세계로 합치된것으로 본다는 것인가요????
어떤 개념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도와주세요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진리탐구자
07/12/09 23:36
수정 아이콘
중세철학을 잘 아는 편은 아니라 성실한 답변을 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네요. 일단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의 차이라고 한다면 현상계를 바라보는 태도입니다. 매우 도식적으로 말하자면 플라톤에게 있어 현상계가 이데아의 모사로 '짝퉁'으로서 별 의미를 가지지 못하는 반면,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있어서 현상계는 이데아의 인식의 원천(이러한 태도는 경험론의 맹아적 형태를 보여주고 있습니다)으로 보다 중요시됩니다.

아퀴나스는 바로 플라톤 중심적이었던 중세 교부철학에 아리스토텔레스적 요소를 절충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즉, 아리스토텔레스가 현상계를 통해 형이상학계를 인식할 수 있다는 이론을 제시했듯, 이데아로서의 '야훼'에 대한 접근이 과학적 탐구 - 여기서의 과학은 근대적 의미의 과학이 아니라, 합리적 분석 방법으로서의 과학입니다. - 에 의해 가능하다는 것이지요.

전공자가 아니기 때문에 적확한 답변이 되지는 못할 것 같습니다. 제가 아는 사이트 중 armarius.net라는 곳이 이런 질문하기에 좋으니 한 번 가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다이야키
07/12/10 00:24
수정 아이콘
진리탐구자님께서 아이디답게 잘 설명해주셨는데요
마지막 질문에 대해 한말씀드리자면,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를 구한 것이 교부철학이었다면, "우리 안에 계신 하느님"을 찾기 시작한 것이 스콜라철학적인 발상이라고 할 수 있겠죠.
진리탐구자
07/12/10 00:58
수정 아이콘
다이야키님// 힐쉬베르거의 서양철학사를 보면 플라톤 파트는 '이데아 속의 세계', 아리스토텔레스 파트는 '세계 속의 이데아'로 되어 있지요. 흐흐.
스프링필드
07/12/10 01:04
수정 아이콘
같은 윤리하는 사람으로써 조금더 쉽게 설명 드리자면 (진리탐구자님 말씀이 저도 어느정도 이해가 안되서..)
중세의 신권은 점점 추락하는 형태로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중세를 두부분으로 나누면 초반기가 교부철학인데..
당시에는 신의 존엄성과 당위성 그런것들을 높이기 위해서 교리로서의 체계 즉 2원론적 세계관을 이용해 경건함을 강조한 반면
후반기로 접어드는 스콜라철학에서의 토마스 아퀴나스시대에는 중세 초반기보다 조금더 합리적인 사고관이 성행했던 시기입니다.
(같은 중세로서 신중심의 세계관은 맞지만 사람들의 이성이 어느정도 깨어났다고 해야하나요..)
이런 측면에서 토마스아퀴나스는 2원론적 세계관을 가지고있던 교부철학에 어느정도 합리적인 이성적 체계로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차용한것이지요 (플라톤을 완전 버렸다고 하긴 뭐하고 절충..)

교과서의 내용을 빌리자면 아우구스티누스는 신앙>이성(신앙이 이성을 노예로삼고 끌고다닌다. 이유는 신앙에 대한 질문에 대해 어느정도 답변을 해주기 위해)라면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앙=이성(사실은 신앙이 이때도 조금더 큽니다만 편의상 =로 표기..) 즉 신앙과 이성의 조화를 추구한거죠.
이성의 지위가 높아진셈이죠.

그리고 조금더 이해하기 쉬운 도식을 생각하자면
10 x 10 그래프가 있다고 생각하면
중세의 신앙과 이상은
신앙 y=-X+10
이성 y=1X+0

으로 생각하면 좋겠습니다. 이 그래프에서 이성이 신앙을 뛰어넘는 순간 르네상스. 만인사제설 등등이 발현되는 시기라서 생각하시면 편할겁니다..

(제 설명이 이론적이나 논리적으로는 옳지 않을 수가 있지만 문제 맞히는데는 이정도만 알아노면 완벽..)
ilovenalra
07/12/10 01:06
수정 아이콘
모두들 감사합니다^^ 정말 많은 도움됬습니다!!!
스프링필드
07/12/10 01:12
수정 아이콘
흠.. 생각해보니 그래프는 차라리 신앙 = -1/4X+10 이성 = X 가 더 낫겠네요... 신앙은 생각보다 완만하게 떨어진다는.. (마지막후반기에는 갑자기 하락하지만..)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1987 동영상 파일을 gif파일로 바꾸는방법 [싸이월드메인] 펠레2677 07/12/11 2677
31985 뮤직비디오를 찾고있어요. 송기범1590 07/12/10 1590
31984 방송국 아르바이트에 대해 아시는분~ [8] 오월2583 07/12/10 2583
31982 목 허리 어깨의 좋은 운동좀.. 신이 건들고 간1614 07/12/10 1614
31981 영어 번역에 관한 짧은 질문요, [11] SwEeTy1504 07/12/10 1504
31979 영화질문좀할께요 [6] wAvElarva1838 07/12/10 1838
31978 문국현이 왜 유명한가요? [16] 별빛2062 07/12/10 2062
31976 야간알바나 술집알바 질문드려요.. [1] sO.Oy1530 07/12/10 1530
31975 해석좀 해주세요 ㅠ [6] 짱머거1709 07/12/10 1709
31974 팀플맵인데 커세어의 웹이 있는 맵 [5] 앙앙앙1710 07/12/10 1710
31973 커세어 리버상대로 저그가 이긴경기추천부탁드립니다. [4] ArtOfakirA1905 07/12/10 1905
31972 고등학생이 룸쌀롱도 가요? [56] Nothing better9150 07/12/10 9150
31971 웹관련 직종을 배우고싶은데... 무엇부터 배워야 하나요? [1] 박대영1425 07/12/10 1425
31969 전과문제말인데요 [7] worcs2719 07/12/10 2719
31967 이거 도대체 어디서부터 꼬인걸까요? [6] KaKaRuYo1931 07/12/10 1931
31965 딴지일보가 망한 이유는 뭔가요?? [4] 뽀록도실력이2565 07/12/10 2565
31964 wow에 대한 질문 [9] GreeNSmufF2114 07/12/10 2114
31963 신피지투어에 관해서 물어볼게 있습니다.. [7] 익스트라2159 07/12/10 2159
31962 블루스톰 입구막는 방법요,,, [5] SwEeTy2371 07/12/10 2371
31961 물리 - 자전거의 복원성/안전성(?) 에 대하여 발로하는콧털1547 07/12/10 1547
31960 포토샵으로 홈페이지를 만들면.. [2] 참소주1521 07/12/10 1521
31959 경제학이나 경제에관심많으신분들한테질문입니다. [7] 올빼미1495 07/12/09 1495
31957 스콜라철학/일원론적세계관에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6] ilovenalra2034 07/12/09 203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