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7/12/10 11:00
윗분 말씀이 제일 정확하고 특수과같은 경우는 전과가 불가한 걸로 알고 있습니다 (의치예,한의예,법학등등 법학은 확실하진 않구요)
추가로 특수과 같은 경우는 편입에서도 받지 않고 있습니다. 근데 아태물류가 특수과로 갈릴지는 잘 모르겠네요. 전과문제는 대학마다 다 다르기 때문에 과 사무실 전화해보시는게 가장 편합니다. 아니면 대학 홈페이지에 질문도 되구요.
07/12/10 11:18
수능못봤다고 나죽네하기엔 전과라는 아주좋은 비장의 카드가 남아있지요. 전과는 분명 전략을 잘 세우면 아주 이득볼 수 있습니다. 다만 1학년때 너무 놀자가 되서 계획 실패될 수 있는게 문제; 딴 학교는 모르겠고 저희학교는 법학까지는 전과가 되더군요.
07/12/10 12:42
아주대 생명공학->아주대 의대는 1년에 한두명정도는 전과됐다고 나오는데
경희대 한의예과로 작년엔 전과한 사람 없는거 같네요
07/12/10 13:22
인하대 학생입니다. 아태물류학부는 1년 전과가 총 T.O 가 2-3명정도 나는데 경쟁률 또한 엄청납니다. 학점은 4.5만점에 4.2는 나와야 할 것이고 높은 수준의 공인영어성적과 영어 Speaking 면접 과정을 거쳐야 하며 기준이 엄격해서 지원자가 많더라도 T.O를 꽉 채우지 않고 끝낸 경우도 있다고 들었구요. -_-
전과, 전과 . . 말로는 하기 쉬운데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 . 그 쪽 전공도 아니고 전과에 관심도 없어서 상세히 아는 것은 아니지만 인하대 내의 국제통상/경영계통 또는 공대 중 상위권 학과 아니면 합격자가 없다고 들었습니다.(이는 기준에는 포함되있지 않지만 입시에서 대학들이 자체규정을 두고 지방고들을 차별하는 것과 같다고 보면 되겠네요..;;) 대학에서 좋은 학점 받는 것도 쉬운게 아닙니다. 대학마다 학점 주는 수준이 물론 다르겠지만 제 생각에 인하대는 학점 짜게주는 것이 분명합니다 -_- 아무튼 정말 물류학을 전공하고 싶다면 전과노리는 것보다 재수하는게 더 가능성이 높을거에요. 전과 노리고 대학와서 성공하는 Case를 보지 못했습니다.
07/12/10 16:24
프로그래밍에 관한 말중에 하나인데요;;;
내가 어느날 기가막힌 아이디어를 떠올렸다면, 최소한 백명이상이 그전에 그아이디어를 떠올렸다고 생각하세요. 단지 상용화를 시키지 않았을뿐이니까. 쉬어보이는 길이 있다면 다들 그길을 노립니다. 경쟁은 없을수 없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