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3/14 20:34
숙제는 자신이 책을 찾아보면서 하시는 게 좋습니다.
질문을 하실 때는 자기가 어떤 자료를 찾아보고 어떻게 생각을 하였는데 어떤 부분이 이해되지 않는다.. 라는 조언을 구하시는 형태로 하십시오. 대뜸 질문 나열 후, 타인이 해결해 주기를 바라는 건 옳지 않습니다. (특히 3번을 보니, 확실히 학교 숙제 같은 거군요. -_-)
08/03/14 23:18
항즐이님// 물론 그렇지요^^ 근데 일단 제 숙제는 아니구요.. 아는 동생이 이번에 대학 들어갔는데 물리를 안하던 애라 그런지 어렵다면서 도와달라고 하더군요 근데 저도 배운지 좀 된지라 헷갈리는게 있어서...
나름 생각은 해서 답은 내 봤는데 확실하지가 않아서 질문한 겁니다^^ 일단 질문 2개 (3,4번)는 뺄께요. 지금 보니까 딱히 어디 물을 만한 질문이 아니군요^^ 근데 나머지는 질문 남깁니다. 기억이 오락가락 해서요;; 도와주세요 ^^
08/03/15 00:58
공기 저항을 어떤 식으로 정의하느냐에 따라 다를 것 같습니다만..
2. 번의 경우에는 확실히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같은 면적에 대해서 공기 저항은 보통 속도에 비례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kV) 생각해보시면, 공기 분자가 물체에 부딪쳐 발생하는 힘이 공기 저항이므로, 공기와의 접촉면이 단위 시간당 쓸어간 부피 (면적 과 속도의 곱)가 공기 저항의 크기를 결정합니다. 속도와 크기가 같다면 공기 저항이 다를 이유는 없습니다. 5. 종속에 도달한 상태에서는 mg 와 공기 저항이 서로 평형을 이루고 있을 겁니다. 따라서 공기 저항에 의한 가속도는 양 쪽 모두 -g 힘으로 보자면 질량 m이 큰 쪽이 더 큰 힘을 받고 있다고 보아야 하겠죠.
08/03/15 15:02
항즐이님// 우선 감사하구요 또 죄송합니다. 제가 좀 소심한 편이라 제 생각 쓰는것도 좀 저어되더라구요
앞으로는 이런일 없도록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