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08/02/12 01:16
파워는 가급적 좋은걸로 가시는게 좋습니다..."파워는 혼자 죽지 않는다" 라는 명언이 있지요..-_-;
파워는 karlstyner님이 말씀하신 스파클텍도 괜찮고 스카이디지탈이나 히로이치 제품도 괜찮습니다. 총알이 충분하시다면 시소닉도 고려할만 하고요.. 다나와최저견적은 각 부품별 최저가만 뽑은것이기때문에 실제구입가는 최저가보단 더 나옵니다. 조립비는 보통 20000원정도로 알고있고요..저 견적으로 보면 3박스가 나오는데 박스당 택배비4000원이 붙습니다. 모니터는 5000원일지도 모르겠네요...^^; 윈도우는 조립PC같은 경우 설치해달라고 하면 DSP버전을 깔아줄겁니다.물론 따로 비용이 들어가고요.. XP Home은 8~9만원대..XP Pro는 14~15만원대 정도로 나오네요.. 참고로 DSP버전은 아래링크를 참조하세요. http://kin.naver.com/knowhow/entry.php?d1id=5&dir_id=5&eid=cCxhTiz2yn6TzJSvX9X7wtAubFfNkwHN&qb=RFNQ
08/02/12 01:34
저 정도 스펙에 400W 급이면 약간 간당간당하군요.
USB 외장기기를 많이 쓰실 경우에 위험(?) 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죽었다 깨나도 저 가격에는 구매하실 수 없다는거.. 아시죠? 음.. 용산에서 하루종일 발품을 팔면서 부품을 하나하나 사모으면... 가능할수도 있겠군요;;
08/02/12 01:44
22인치 lcd는 국내회사제품도 싸고 좋은 제품 많이 있습니다. 굳이 치메이사 수입품을 쓸 필요는 없어보이네요.
국내상표라도 패널은 대만패널을 많이 쓰지만 a/s등을 고려할때, 수입해서 대행판매하는 제품보다는 그냥 국내 중소기업상표로 나온 제품을 고르시는게 어떨까 싶습니다. 기가바이트 보드도 괜찮긴 하지만 리비전 놀이나하는 기가바이트보다는 MSI 쪽을 더 권하고 싶네요. 파워서플라이는 karlstyner님이 추천하신 스파클텍 FSP 괜찮습니다. VGA는 유통사가 유니텍인데 A/S쪽으로는 악명높은 곳이라 어떨지 모르겠네요. 구매는 다나와에서 견적뽑고 최저가 업체 한곳을 정해서 몽땅 주문하시면 지금 견적낸 최저가와 그리 큰 차이는 나지 않습니다. 더 가격을 낮춘다고 부품 하나하나 최저가업체에서 주문하면 각각의 배송료때문에 훨씬 비싸지죠. 조립을 맏기시면 보통 2만원정도 추가됩니다. 이름없는 업체가 불안하시다면 예전부터 용산에서 이름 좀 있는 업체로 컴퓨존 http://www.compuzone.co.kr 아이코다 http://www.icoda.co.kr 조이젠 http://www.joyzen.co.kr 등이 있습니다. 이들 사이트에 가셔서 온라인견적을 내고 주문하시면 됩니다. 가격은 부품각각이 최저가업체들보다 좀 비쌉니다만 초기불량a/s 같은 쪽이나 신뢰도면에서 더 안정적입니다.
08/02/12 06:58
22인치는 TN패널 뿐이라 비추합니다. TN이 아니더라도 사이즈가 애매하고, 해상도도 애매해서 쓰시는데 불편함이 많으실 겁니다.
CPU도 현시점에서 6750은 합리적인 선택은 아닙니다. 약간의 가격거품이 있다지만 울프데일쪽이 낫다고 생각합니다. 파워는 AONE보다는 스파클택이나 최소 마닉클래식을 추천합니다(스카이 디지털은 비추합니다. 안좋은건 아니지만, 가격거품이 심하죠. 사실 파워계의 듭보잡중 하나인데..) 다나와의 컴조립업체는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최저가업체인데 조립비 1만~2만을 받는 업체, 평균가업체로 조립비는 없는 업체, 평균가인데 조립비를 받는 업체.. 견적에 따라서 최저가에 조립비를 받는 경우가 쌀 때도있고, 평균가에 조립비가 없는 쪽이 쌀 때도 있습니다만, 보통의 평으로는 약간더 비싸더라도 평균가에 조립비 없는 업체들이 평이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