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1/04 16:50:17
Name 진돗개
Subject 여러 많은 글짓는 인생선배님들에게 질문드립니다.
개인적으로 '글'을 적는것에 관심이 많은 철없는 20대입니다.

하지만 요즘 미래에 대한 고민을 하다하다 보니 제가 가지고 있는 특기라고 해봐야

'글을 적는것'과 '사진을 찍는것' 두개 뿐이라는걸 깨달았습니다
(뭐 게임은 논외로 치구요..)

그리하여 이곳에 많은 글짓는 인생선배님들에게 감히 여쭙습니다.


선배님들이 '글'로써 돈을 버는 법은 어떻게 됩니까?

너무 노골적인가요.

금액은 상관없이 어떤 글을 적고, 그 글이 어떤식으로 돈으로 환급되어 돌아오는지 알고 싶은 마음에 이렇게 글을 적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2/01/04 17:37
수정 아이콘
제가 인생 선배는 아닐 것 같으나 글로써 돈을 버는 법은...

(1) 시, 소설일 경우에 문예지 게재만으로는 연봉 2~300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무난합니다.

(2) 네임드 시인/소설가의 경우에는 다양한 잡문 의뢰가 들어옵니다.
(본인 주 장르 외에는 잡문이라고 생각하죠.)
산문, 어린이 동화, 스토리 작가 등등 네임드마다 다르지만 500~1000 사이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3) 아니면 강사라든가... 대학교 강사, 문지문화원 사이/한겨레 문화센터 같은 곳에서 강의.

(4) 그 다음에는 진짜.. 없어요.
PoeticWolf
12/01/04 17:53
수정 아이콘
글을 써서 돈을 버는 법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솔직히. 기고를 하면서 원고료도 받고는 하지만, 그게 수입 전체에 비하면 미미해서 감히 '나 글로 먹고 산다'고 말할 처지는 아닙니다. 하지만 저도 역시 글로만 먹고 사는 사람이 되려고 계속 노력하는 중이라, 제가 아는 방법 몇 가지는 소개해드릴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분명히 여기에도 글로만 먹고 사시는 분들이 있을텐데... 그분들의 의견이 뒤에 달릴 것을 예상합니다.

일단 뻔하지만 글과 관련된 직업을 가지세요. 사진까지 잘 찍으신다니, 좋은 기자가 되실 것 같습니다. 전 사진 못 찍어서 빠꾸 많이 먹습니다. '필력' 자체를 늘리시려면 잡지 기자가 좋고, 세상을 두루 보려면(글감 확보랄까...) 시사/신문쪽이 좋습니다. 이름 있는 곳에 가면 잘쓰는 선배들에게 직접 배워서 좋고, 소규모 출판사/잡지사에 가면 인력이 부족해 글을 엄청 쏟아내야 해서 좋습니다.. 가급적이면 둘 다 있어보시라고 하고 싶어요.

전 전문지에 있으면서 글을 토해내는 법을 익혔고, 좀 아티스틱한 곳에 근무하면서 한글을 처음부터 다시 배웠던 거 같아요. 잘 쓴다고 생각해 들어갔다가 어찌나 빨간 줄을 먹었는지;;; 그런 곳에서 지내다 나중에 '빨간줄' 하나 없이 잘썼다라는 말 들었을 때는 기분 최고죠.
하지만 기자 생활을 하면 '자기 글'을 쓰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어요. 출판사에 있어봐야 '머릿글' 정도 쓰는 게 고작이에요. 하지만 기사쓰고, 남의 글 교정교열/윤문하는 건 자기 글 자꾸 쓰는 거 이상으로 도움이 됩니다. 자기 글 스타일에도 영향이 갑니다. 게다가 잡지계는 사실 의외로 좁아서;; 조금 특이하게 잘 쓰면 소문도 잘 납니다. 제가 하는 기고도 그냥 제가 잡지기자로 쓴 글들 보고 연락하신 분들이 대부분이에요.(그렇다고 제가 소문이 날 정도는 아닙니다;;;; 그런 분들이 있어요...)

다만 이 쓰고 싶다는 욕구가 배출 안 되는 게 큰 문젠데;; 그건 혼자 계속 쓰는 수밖에 없는 거 같아요. 쓰시면서 유명한 잡지에 기고하겠다고 메일도 넣어보시고, 글 샘플도 넣어보세요. (하지만 그러려면 글거리가 많아야겠죠.. 준비되어 있지 않다면 계약하는 순간 헬게이트입니다...) 저는 빨간펜 후유증이 남아 있어서 아직 제 낙서를 어디 잡지사에 보낼 생각을 여태까지는 못했는데 올해는 시도라도 해보려고요.

말이 길어졌는데;; 제가 추천하는 건
1. 처음부터 기고/자기글로 먹고 사는 건 되게 힘들다.
2. 언론사 기자/전문지 기자/출판사 편집자 직종이 도움이 된다. 이름없는 곳이나 있는 곳 모두가 공부가 된다.
3. 남의 글을 쓰고(기사도 결국 남의 글입니다...) 교정보는 게 엄청 도움이 된다는 걸 믿는다.
4. 기자/편집자로 익숙해지면 자기 글을 슬슬 모아가면서 기고 활동을 능동적으로 시작해본다.
PoeticWolf
12/01/04 18:02
수정 아이콘
그게 아니면 .. 천재 작가로 등단하고 출판계의 집중을 받는 수가 있는데;; 그건 선택받은 자의 인생이라 저는 잘 모르겠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3716 자동차 접촉사고 후에 진상부리는 사람들의 심리에 대해서. [4] 나는정이에사자다크항2169 12/01/04 2169
123715 KOF 질문입니다. [10] 못된고양이3068 12/01/04 3068
123714 제주 여행에 관해서 질문입니다. [3] 정 주지 마!1805 12/01/04 1805
123713 간첩 선동용 문구 번역 부탁드려요 [16] 한선생1686 12/01/04 1686
123712 PC본체 훔친커플들 신상파악이 안된다는 뉴스를 봤는데요.. [3] 아레스2116 12/01/04 2116
123711 야구모자 추천좀요 [1] 갓의날개1915 12/01/04 1915
123710 게임 아이디 해킹관련 질문입니다. 망디망디1339 12/01/04 1339
123708 ,,,, [31] 달구2727 12/01/04 2727
123707 처음 스타 시작할때 일꾼 어떻게 나누세요? [6] 걔삽질2439 12/01/04 2439
123705 남자 6명이 엠티(?)가서 뭘 하면 좋을까요 + htc evo 4g+ 케이스와 필름에 관한 질문입니다. [16] 새강이2350 12/01/04 2350
123704 KOF98 아직 있는 오락실 어디있나요? [7] 언뜻 유재석1695 12/01/04 1695
123703 아이패드 유튜브 버퍼링 해결 하신분 있나요? [4] Suiteman2602 12/01/04 2602
123702 천안 백석대 근처에 프린트할 만한 데가 있을까요? [3] 행복a2918 12/01/04 2918
123701 수출의 장점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2] 캐리건을사랑2687 12/01/04 2687
123700 자녀를 낳으신다면 무엇을 우선적으로 가르치고 싶으신가요? [30] 2126 12/01/04 2126
123699 친척분 환갑선물 어떤것이 좋을까요? 민선예4851 12/01/04 4851
123698 여러 많은 글짓는 인생선배님들에게 질문드립니다. [3] 진돗개1735 12/01/04 1735
123697 안드로이드 일정 관리어플 추천해주세요^^ [5] 몽유도원2454 12/01/04 2454
123696 속독법 배워보셨나요? [29] PoeticWolf3814 12/01/04 3814
123694 400만원 정도의 자금으로 재테크 문의입니다. [3] SugaryCider1851 12/01/04 1851
123692 나는가수다 박완규씨 고해 어떻게 보셨나요? [15] Eluphant Bakery2307 12/01/04 2307
123691 엑셀, 파워포인트 2010 좀 공부해보려고 하는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1] 발업질럿의인1563 12/01/04 1563
123690 음원 보유량이 가장 많은 사이트는 어디인가요? [10] 오고고럽3659 12/01/04 365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