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12/01/04 17:09:05
Name
Subject 자녀를 낳으신다면 무엇을 우선적으로 가르치고 싶으신가요?
밑에 속독법 관련 질문이 있어서 들은 생각인데 어릴 때부터 배우면 다독도 자연스레 하게 될 것 같고

여러모로 인생 사는 데 있어서 굉장히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은데요.

예전부터 자식을 낳으면 주산을 꼭 가르치고 싶다고 생각했었는데,

다른 미술이나 음악학원도 괜찮을 것 같긴하지만 학업 능력의 향상에 (물론 제가 배운 적은 없고 듣기만 한 거지만)

주산이랑 속독 배우면 굉장히 도움이 많이 될 것 같습니다.

주산&속독 어떻게 보시나요?


물론 무엇보다도 인간이 돼야 함은 기본이겠지요. :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Vacant Rain
12/01/04 17:10
수정 아이콘
밖에서 노는 법이요.

요즘 아이들은 통 밖에서 노는걸 보질 못해요..
지금만나러갑니다
12/01/04 17:10
수정 아이콘
전 무엇보다 책과 친해지게 만들고 싶습니다!
책과 친한 아이들이 공부도 잘하는걸 많이 봐왔거든요.

그리고 맞고 다니면 안되니까 태권도 같은 운동은 꼭 가르치고 싶네요.

더불어 욕심을 조금만 부리자면 악기 하나정도도..
만수르
12/01/04 17:11
수정 아이콘
다른건 몰라도 태권도나 합기도는 가르칠 생각입니다
12/01/04 17:11
수정 아이콘
주산은 배웠지만 별 쓸모를 모르겠고, 속독은 나쁘진 않았습니다. 뭐 이런 아동교육도 트렌드가 있어서 그거 탈피하기가 좀 힘들죠.
사케행열차
12/01/04 17:14
수정 아이콘
바둑이랑 악기요.
레지엔
12/01/04 17:21
수정 아이콘
속독은 약간 크면 생각해볼만 하고(너무 어린 나이에 하면 웅변학원같은 악영향을 줄 수 있고 그래서 중학생 이하는 받지 않는 곳도 있더군요), 주산은 꽤 괜찮은 것 같긴 합니다. 저라면 우선적으로 예절 교육을 다양한 책을 통해서 익히되 왜 그러한가, 과거에는 어떠했는가, 이게 무슨 의미를 가지는가와 같은 것을 같이 공부하게 하고 싶습니다. 그러면 자연스럽게 매너, 독해, 주관의 확립, 논리성을 모두 가르칠 수 있을 것 같거든요.
12/01/04 17:21
수정 아이콘
음악과 친해지게 하고 싶어요.
춤이나 악기 노래? 가르친다기보다는 놀이삼아 배우게 만들고 싶어요
Siriuslee
12/01/04 17:22
수정 아이콘
경제관념... 이요
벌렸죠스플리터
12/01/04 17:22
수정 아이콘
가르친다면 역시 인성,
그 방법은 동물을 통해서 기르고 싶습니다.

제가 어렸을때 동물하고 거의 수없이 지냈는데 그 때문에 동물에 대한 무서움도 없었고..
일부러 계속 동물을 곁에두도록 하고 배려심기르도록 했다고 부모님이 말씀하시더군요..

Skill이라면 역시 패시브스킬..
악기,미술,춤,체육(태권도나 합기도,검도중 하나는 꼭 가르치고싶네요..)

이것저것 다 시켜보고 가장 좋아하는걸 시키고싶네요..

어렸을떄 장래희망이 정말 2년단위로 바뀐거같은데 (화가,만화가,장교..)
결론적으로 지금은 거의 다 해보고있네요 크크......

아, 속독은 따로 가르치기보다 좋아하는 책을 읽게 해주고싶네요..
지금은 1년에 몇권도 안읽는데 어렸을때는 정말 일주일에 몇십권씩 읽은거같네요..
(다 전래동화나 이야기책이였지만.. 100권셋트같은것..크크)

그러다보니 나중에 공부할때도 국어는 큰 어려움없이..수능때까지 항상 상위권이였던거같네요..

요약하면 책! 특기! 동물!
나나리지
12/01/04 17:24
수정 아이콘
수영, 노래, 악기, 춤요..
memeticist
12/01/04 17:24
수정 아이콘
속독은 책과 친해지는 것에는 별로 영향을 못미치는 것 같습니다. 책을 읽어도 기억에도 잘 안남고요. 독서는 가르치기보다 책과 친해지는 환경을 만드는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부모가 모범을 보여야겠죠.

악기는 가르치고 싶지만 전적으로 아이의 의사에 달린 일이죠. 싫다는 걸 억지로 시키고 싶지는 않아요.
고양사람
12/01/04 17:29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어릴때부터 농사(?)까지는 아니여도 스스로 식물재배하는 것은 가르쳐 보고 싶네요 !
Vantastic
12/01/04 17:31
수정 아이콘
지가 하고 싶은거요.

독서는 집에 TV 없애고 부모 2명이 먼저 독서하는 습관을 들이면 자동으로 자녀들도 따라오더군요.
부모는 TV앞에 앉아있고 자녀들은 방에 들어가서 독서하라는게 난센스..
12/01/04 17:31
수정 아이콘
운동/악기/영어 세개요
공허진
12/01/04 17:32
수정 아이콘
피지알이라 스타가 나올줄 알았는데 아니군요
저도 무도 한가지 책 악기 네요
어릴때는 단증따기가 쉽더라고요
책은 만화책으로 시작해서 전문서적으로 발전시키기 예를들어 만화삼국지에서 소설 정사테크+한문
악기는 연애에 필수라고 꼬시려고요 크크 [m]
새강이
12/01/04 17:35
수정 아이콘
무술 악기 영어 구기종목 인성..
아레스
12/01/04 17:36
수정 아이콘
음악
Zakk WyldE
12/01/04 17:39
수정 아이콘
기타, 바둑
Go_TheMarine
12/01/04 17:40
수정 아이콘
영어>피아노>검도 를 우선순위로 놓겠습니다.
정성남자
12/01/04 17:43
수정 아이콘
책/악기/성의 소중함 교육/축구

주산이나 속독 안배워도 다 재능있으면 잘하고 없으면 못하게 되있다고 생각해요.
자연스레 몸에 배는 것을 억지로 가르치면 안좋다고 생각해서요. 특히 속독은 필요없다고 생각하네요.

요즘은 너무 성이 문란해서 성의 소중함에 대해선 정말로 집중적으로 인식시킬겁니다.
Monde Grano
12/01/04 17:57
수정 아이콘
생존을 위해 수영을 가르치고 싶었고, 지금은 가르치고 있습니다.
그거 말고는 자기 적성을 찾을 때 까지 이것저것 조금씩 배워보도록 하곤 있습니다.
저글링아빠
12/01/04 18:04
수정 아이콘
그냥 부모가 똑바로 살면 됩니다..

뭘 가르치는 건 별로 중요하지 않더군요.
누렁쓰
12/01/04 18:28
수정 아이콘
일단 인성이나 신앙, 언어는 기본이니..
저는 기능적인 능력중에서 피아노가 1순위입니다. 어렸을 때 배워놓는 피아노는 커서 엄청난 재산이 되더군요.
동네노는아이
12/01/04 18:32
수정 아이콘
개념이요.
가을독백
12/01/04 18:38
수정 아이콘
저는 지금 제 조카가 방학일때 조카를 상대로 연습중(..)인 교육이 있습니다.
거짓말 안하기, 사소한 것 지키기, 쉽게 포기하지 않기.

다른분들에 비해서 쉬운듯 하지만 제가 생각할때 저 3가지만이라도 제대로 지키고 산다면 차후에(성인이 된 후)큰 도움이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12/01/04 18:55
수정 아이콘
책읽기와 피아노요.
12/01/04 19:49
수정 아이콘
인성은 기본중의 기본이라 제외한다면
농구요 !!
아들아 너만은 키가 180이 넘어라 !!
딸이면 같이 요리하면서 요리 실력 키워주고 싶네요.
사실 제가 요리 잘하는 여자를 좋아해서...
12/01/04 23:21
수정 아이콘
많은 경험과 자극을 통한 호기심이요.
12/01/05 16:27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23716 자동차 접촉사고 후에 진상부리는 사람들의 심리에 대해서. [4] 나는정이에사자다크항2169 12/01/04 2169
123715 KOF 질문입니다. [10] 못된고양이3068 12/01/04 3068
123714 제주 여행에 관해서 질문입니다. [3] 정 주지 마!1805 12/01/04 1805
123713 간첩 선동용 문구 번역 부탁드려요 [16] 한선생1686 12/01/04 1686
123712 PC본체 훔친커플들 신상파악이 안된다는 뉴스를 봤는데요.. [3] 아레스2116 12/01/04 2116
123711 야구모자 추천좀요 [1] 갓의날개1915 12/01/04 1915
123710 게임 아이디 해킹관련 질문입니다. 망디망디1338 12/01/04 1338
123708 ,,,, [31] 달구2727 12/01/04 2727
123707 처음 스타 시작할때 일꾼 어떻게 나누세요? [6] 걔삽질2439 12/01/04 2439
123705 남자 6명이 엠티(?)가서 뭘 하면 좋을까요 + htc evo 4g+ 케이스와 필름에 관한 질문입니다. [16] 새강이2350 12/01/04 2350
123704 KOF98 아직 있는 오락실 어디있나요? [7] 언뜻 유재석1695 12/01/04 1695
123703 아이패드 유튜브 버퍼링 해결 하신분 있나요? [4] Suiteman2602 12/01/04 2602
123702 천안 백석대 근처에 프린트할 만한 데가 있을까요? [3] 행복a2918 12/01/04 2918
123701 수출의 장점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2] 캐리건을사랑2687 12/01/04 2687
123700 자녀를 낳으신다면 무엇을 우선적으로 가르치고 싶으신가요? [30] 2125 12/01/04 2125
123699 친척분 환갑선물 어떤것이 좋을까요? 민선예4851 12/01/04 4851
123698 여러 많은 글짓는 인생선배님들에게 질문드립니다. [3] 진돗개1735 12/01/04 1735
123697 안드로이드 일정 관리어플 추천해주세요^^ [5] 몽유도원2454 12/01/04 2454
123696 속독법 배워보셨나요? [29] PoeticWolf3814 12/01/04 3814
123694 400만원 정도의 자금으로 재테크 문의입니다. [3] SugaryCider1851 12/01/04 1851
123692 나는가수다 박완규씨 고해 어떻게 보셨나요? [15] Eluphant Bakery2307 12/01/04 2307
123691 엑셀, 파워포인트 2010 좀 공부해보려고 하는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1] 발업질럿의인1563 12/01/04 1563
123690 음원 보유량이 가장 많은 사이트는 어디인가요? [10] 오고고럽3659 12/01/04 365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