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이전 질문 게시판은 새 글 쓰기를 막았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Date 2007/11/12 10:09:13
Name 나를찾아서
Subject 듀얼코어의 정확한 개념을 알고 싶습니다..
전역을 아직도 80일이나남은 육군 헌병입니다 ㅠ.ㅠ
아직 군생활이 많이 남았지만 슬슬 요즘 컴퓨터의
추세를 알려고 컴퓨터에 대해서 알아보고 있는대
모르는 부분이 많내요...
요새 듀얼코어, 듀얼코어 하는대
정확한 개념을 모르겠습니다...
여러가지 검색을 해본 결과
더 헷갈리내요 ㅠ.ㅠ
대충 알기로는 클럭속도를 올리기에는
현 기술에서 한계에 달아서
이제는 속도보다는 길을 넓힌다는 개념으로
듀얼코어가 나왔다고 하는대
정확히 모르겠내요 ㅠ.ㅠ

그리고 클럭수도 보니 거이 2.4기가 2.2기가 던대
이전에 나온 3.2기가 단일 CPU보다 성능이 좋을수 있나요???
만약에 성능이 더 좋다면 어떤 원리로 좋아지게 된건가요???
그리고 그차이가 많이 큰건가요???

또 한가지 요즘 코어쿼드는 또 먼가요 ㅠ.ㅠ

그리고 제가 언뜻 듣기로는 4월에 새로운 cpu가 나와서
그전에 사면 손해라는 말인있던대 사실인가요???
지금 발매 되어있는 cpu들도 새로나온 cpu때문에
가격이 떨어져서 지금 사면 손해라는대 맞는 말인가요??
제가 2월전역이라 그말이 사실이면 좀 기달렸다가
살려고요...


마지막으로 비디오 카드에서 용량이 256메가인대 512메가보다
월등히 많이 비싼게 많더군요...
저의 생각으로는 용량이 많은게 성능이 좋다고 생각하는대
가격이 왜 거꾸로 되었나요???

초보적인 질문을 많이 해서
죄송합니다 ㅠ.ㅠ
그래도 불쌍한 군인 도와준다는 의미로
답변 부탁드립니다...


질문 요약


1. 듀얼코어의 정확한 개념이 무엇인가요??

2. 전에 나온 3.2기가 수준의 단일 CPU보다 2.2기가 듀얼코어가 성능이 좋은건가요?? 더 좋다면 어떤 원리로??
   성능의 차이가 크나요??

3. 코어쿼드는 무엇인가요???

4. 4월에 새로운 cpu가 나와서 지금 사면 손해라는 소문이 있던대 사실인가요??

5. 비디오 카드 용량이 2배 차이인대도 용량이 적은것이 더 비싼 이유는 무엇인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연합한국
07/11/12 10:36
수정 아이콘
1,2번은 전문가분이 말씀하시는게 정확할거 같구... 오타하나만 지적하자면 코어쿼드가 아니라 쿼드코어라는것..
그리고 쿼드코어는 듀얼이 2개의 프로세서이듯 쿼드는 4개. (옥타는 8개)

5번은 비디오카드 용량이 크다고 좋은건 아니라는것.. 특히나 shared같은경우는 오히려 용량이 크면 더 버벅댈 수도 있다는것.
(비디오카드는 카드종류에 따라 성능이 결정되구요, 용량은 2번째로 봐야할 옵션. 특히 무슨 디자인 작업이 아닌 게임구동시엔.)
나를찾아서
07/11/12 10:54
수정 아이콘
shared는 무엇인가요??
연합한국
07/11/12 10:56
수정 아이콘
그래픽카드의 자체용량이 없이 시스템에서 메모리를 가져와 그래픽작업을 수행하는 형태의 그래픽카드에요.
노트북용 VGA중엔 GMS 950, nvidia go 6150등이 그런형태.
나를찾아서
07/11/12 10:58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07/11/12 11:18
수정 아이콘
간혹 듀얼코어면 속도가 두배다. 라고 이해하시는 분이 있는데 그건 컴퓨터 구조를 잘 못 이해하신거고, 쉽게 말씀드리면 듀얼코어는 기존에 cpu가 하나 있던게 두 개 놓여지면서 '병렬처리'가 되기 때문에 동시에 많은 작업을 할 때라든지 필터링이 많은 그래픽 작업 등에 유리한거지 속도가 두배가 되는건 아닙니다.(물론 체감적으로는 속도도 빠르다고 느껴질 수는 있겠습니다)
NickHyun
07/11/12 11:33
수정 아이콘
간략히만 답변하겠습니다. ^^;
1. 듀얼코어의 정확한 개념이 무엇인가요??
=> CPU가 두개인개념입니다. 2배로 빨라졌다는 개념이 아니고 Crom님이 설명하신것처럼 병렬처리 구조인것이죠. 대략적인 수치로는 1.3~1.7배정도의 성능이 나옵니다.

2. 전에 나온 3.2기가 수준의 단일 CPU보다 2.2기가 듀얼코어가 성능이 좋은건가요?? 더 좋다면 어떤 원리로??
성능의 차이가 크나요??
=> 성능의 차이는 공정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NetBurst구조에서 Micro.무슨 구조로 변경되었습니다. 낮은클럭이되 한클럭당 처리 되는 효율을 올린것이죠. 성능의 차이는 어마어마 합니다 -_-;

3. 코어쿼드는 무엇인가요???
=> 인텔에서 펜티엄 셀러론 CPU 등이 있듯이 CPU명을 정하였습니다. 새로이 정한것이죠. 코어쿼드 => Core 2 Quad 가 정확한것이죠.
펜티엄 -> Core 로 바꼇다고 보시면 간단하구요. CoreDuo Core2Duo CoreSolo 등등이 있습니다.

4. 4월에 새로운 cpu가 나와서 지금 사면 손해라는 소문이 있던대 사실인가요??
올 말에 QX 계열의 C2Q가 나올예정입니다. 4월에 나오는 CPU는 뭔지 모르겠군요. 1월에 펜린기반 CPU가 새로이 등장하기 시작하는 타이밍은 맞습니다. 그러나 컴퓨터는 필요할때 사는게 최적입니다 -_- 기다리다보면 한도 끝도 없죠.

5. 비디오 카드 용량이 2배 차이인대도 용량이 적은것이 더 비싼 이유는 무엇인가요??
Core를 보셔야합니다. 비됴 카드마다 Chipset 회사가 다르고 클럭이 다릅니다. 용량만 보고 구입하시지는 않을꺼라 믿습니다 ^^
Eternity
07/11/12 12:47
수정 아이콘
좀 더 부연하자면, Intel의 펜4 후기 시절의 CPU 설계가 넷버스트 방식인데요.. 클럭당 처리속도는 그대로 두고 계속 클럭 속도를 올리는 방식으로 성능을 올려나갔습니다. 그러다 문제가 생긴 것이.. 계속 클럭 속도만 올리다보니 CPU 코어에서의 열이 심각한 수준으로 올라갔습니다. 자연히 오버클럭을 추구하는 하드코어 유저들의 비판 또한 만만치 않았구요. 와중에 AMD에서 듀얼코어 CPU들을 내놓자 인텔에서도 스미스필드를 필두로 듀얼코어를 내놓습니다만, CPU 코어 하나일때에도 무식한 열을 자랑했었는데, 코어가 둘이니 말 다한거죠.

그래서 Intel은 예전 펜3 시절의 설계개념으로 돌아가서, '클럭당 성능'을 높여서 전체 성능을 끌어올리는 방식으로 바꿉니다. 그런 설계개념으로 나온 것이 Core CPU들입니다. Core2Duo 콘로가 작년 이맘때쯤 대세가 되었죠.

그러므로, 이전까지 클럭빨만 무식하게 높은 펜티엄4 CPU들과 Core CPU들의 '숫자비교'는 의미가 없습니다. CPU구조가 다르거든요. Intel 펜4 시절에 AMD CPU들의 클럭이 낮다고 해서 펜티엄4 CPU들의 성능이 AMD CPU들보다 뛰어나지는 않았던 것과 비슷합니다. 펜4 시더밀같이 클럭속도 3기가를 우습게 제치는 CPU라 하더라도 Core CPU들보다 성능이 높은 게 아닙니다. 3기가 시더밀과 2.2기가 콘로를 두고 보면 성능은 당연히 2.2기가 콘로의 압승입니다.
Eternity
07/11/12 13:01
수정 아이콘
그리고.. 비디오카드의 비디오램은.. 물론 크면 클 수록 좋은 게 맞습니다만, 정작 중요한 건 그래픽카드의 '칩셋'입니다.

1. 가장 중요한 건 그래픽 코어 (GPU라고도 하죠) 입니다.

2. 다음에 보셔야 할 것이 코어 클럭, 램 클럭입니다.(보통 비디오카드의 스펙을 보실 때 처음 나오는 속도가 코어 클럭, 그 다음 속도가 램 클럭입니다. 이른바 '변종'이라고 해서 자체 오버클럭되어서 나오는 제품들도 있지요.)

3. 그 다음이 쿨러(원래 쿨러가 아니라 잘만 같은 전문 쿨러업체의 쿨러를 달고 나오는 애들도 있죠), 비디오램 용량 등 입니다.

비디오램이 크면, '넓은' 화면에 빠른 속도로 화면을 뿌려줍니다. 즉, 바꿔서 말하면 큰 화면, 초고해상도에서 작업하시는 게 아닌 이상은 대용량의 비디오램은 필요가 없다는 것이죠. 요즘 나오는 제품들은 대개 비디오램이 256MB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만, 이 정도면 현재 대부분 유저들이 사용하고 있는 해상도 정도에서는 아무 문제가 없습니다. 512MB 비디오램은 오히려 낭비죠.
07/11/12 13:13
수정 아이콘
일단, 요즘은 대부분 듀얼 코어 CPU 이상은 쓰는게 기본입니다. 병렬 처리에 최적화 된 응용 프로그램이라면 듀얼 코어에서 돌릴 경우 1.7배 이상의 속도 향상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컴 사용시에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 시키는 경우(기본적으로 뜨는 프로그램들만 해도 상당하죠)에 상당한 효과가 있습니다. 쿼드코어는 코어가 4개 즉, CPU가 4개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더욱 많은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면서도 버벅이지 않을 겁니다. 또, 응용 프로그램이 다수의 CPU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면 코어 수가 많을 수록 더 빨리 작업을 처리할 겁니다. 일반 사용자라면 쿼드코어까지는 필요 없을 것입니다.
나를찾아서
07/11/12 15:34
수정 아이콘
글을 올린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대 정성이 담긴 답변들을 보니
감사할 마음밖에 없내요...
여러분들 덕에 컴터를 보는 눈이
조금이나마 향샹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마술사
07/11/12 22:55
수정 아이콘
와...눈팅족인 저도 덕분에 좋은 정보 얻어갑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31265 맵제작 강좌관련 사이트는 없는건가요 ? [2] 미인1573 07/11/12 1573
31264 여러분이라면 둘중에 어떤걸 사시겠습니까?? [6] 계란말이1935 07/11/12 1935
31263 듀얼코어의 정확한 개념을 알고 싶습니다.. [11] 나를찾아서1945 07/11/12 1945
31262 펀드 관련 질문입니다. [2] Adrenalin2151 07/11/12 2151
31261 인터넷 카페 동호회 등등..어디가 제일 강세일까요? [4] 2100 07/11/12 2100
31260 편입 질문입니다.. [1] Art Of Life2146 07/11/11 2146
31259 소녀시대나 원더걸스 움짤 같은거 어디서 다운받나요 [7] ㄴkoreaㄱ2739 07/11/11 2739
31258 수능 질문...잠을 못자고 언어를 쳤을 때 점수가 좋았습니다. [9] EzMura2219 07/11/11 2219
31257 수면유도제에 대해.. [11] Never3861 07/11/11 3861
31254 고1인데 공부문제로... [7] 신이 건들고 간1728 07/11/11 1728
31253 여우형 여자 공략법좀... [12] 똠방각4096 07/11/11 4096
31252 예전 유머게시판에 [1] 기적소리만큼1501 07/11/11 1501
31250 커피메이커 사용 방법을 알려주세요... [2] Adrenalin2848 07/11/11 2848
31249 루나 PvZ에서 스타팅별로 포토러쉬하는 위치 & 핵 방지 프로그램? [2] Ms. Duff1647 07/11/11 1647
31248 박성균 선수가 어떻게 롬멜이라는 별명이 붙었죠? [4] KaKaRuYo2415 07/11/11 2415
31247 수능 당일날 아침 안먹어도 될까요? [13]  내 2521 07/11/11 2521
31245 창조론을 반박하려면 생물의 멸종을 예를 들면안되나요? [14] 리플의 신2100 07/11/11 2100
31244 인간이 꼬리뼈 물갈퀴 손톱 날개뼈 사실인가요? [2] 리플의 신2454 07/11/11 2454
31242 4차원 도형 이해가 안되네요.. [6] 리플의 신2530 07/11/11 2530
31241 [질문] 무료로 토익문제 매일 풀수있는 사이트 알려주세요 [1] 수험생1993 07/11/11 1993
31240 outlook express 삭제했더니 컴터가 다음과같은 문제점이. [1] yellinoe2031 07/11/11 2031
31239 학벌은 어느 정도까지 미세하게 반영되나요? [3] 이슬라나2210 07/11/10 2210
31238 윈도우 XP의 SP2로 업데이트 할 때 말이죠... [3] MC ONX1700 07/11/10 170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